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4대강 이후 수돗물서 발암 위해도 기준 초과"

녹조라떼 조회수 : 1,001
작성일 : 2015-10-05 16:50:33
"4대강 이후 수돗물서 발암 위해도 기준 초과"



4대강 사업 낙동강 구간 합천보 상류 회천합류지 (사진=낙동강살리기 시민운동본부 제공)장기간 마시면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발암 위해도 기준치를 초과한 물질이 4대강 사업 이후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4일, 국립환경과학원의 '수돗물 중 미규제 미량유해물질 관리방안 연구Ⅲ'를 분석한 결과, 장기간 음용시 발암위해도 100만 명 당 1명 기준을 초과한 물질이 3종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발암위해도는 잠재적 오염물질에 30년간 노출될 경우 암이 발생할 가능성의 확률을 말한다.

발암위해도 기준 초과 물질은 니트로사민류 2종과 트리할로메탄류의 하나인 브로모포름 1종이다.

특히 수질감시항목으로 설정된 브로모포름의 경우 오염도는 기준치 이내이지만 발암위해도 100만 명 당 1명 기준(1.00E-06)을 초과했다.



트리할로메탄의 한 종인 브로모포름은 4대강사업 이후 검출빈도가 50%를 초과했다.

4대강 수계 24개 취수장 원수에선 브로모포름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70개 정수장을 3회 조사한 결과 108회가 검출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니트로사민류와 브로모포름은 오염도가 낮더라도 독성이 높아 위해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대표적인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류는 총 6종을 조사한 결과 이 중 발암위해도 기준을 초과한 물질은 2종이었다.

이중 N-니트로소디에틸아민(NDEA)는 휘발유와 윤활유의 첨가제, 산화방지제, 플라스틱 안정제, 연화제 등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IP : 122.36.xxx.2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수돗물 곰팡이 냄새때문에
    '15.10.5 5:12 PM (123.111.xxx.250)

    얼마전에 아는 사람 집에 가서 물한잔 마시고는 약간 신경증이 생겼어요.
    평상시 보리차를 마신다는데 그날은 보리가 떨어져서 수돗물을 끓여서 냉장고에 넣어둔것을 너무 갈증이 나서 마셨는데, 곰팡이 냄새가 역하게 올라오더군요.

    식수원이 오염돼서 정수기나 생수도 냄새만 느끼지 못할뿐이지 원수 자체가 오염된 상태라는 생각때문에 찝찝하던차에 수돗물에서 역한 곰팡이 냄새를 맡고나니까 그날 이후로는 음식할때 수돗물에 식재료가 닿는것도 찝찝해져서 정수기물로 다시한번 씻어내는 습관이 생겨버렸네요..
    물을 쓸때마다 여간 번거롭고 신경쓰이는게 아닌데, 그렇게 안하면 무언가 찝찝하고 불안해서요...-_-

    욕을 안할래야 안할 수가 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8237 안철수 ".. 아버지가 하지 말래서 안합니다..&quo.. 18 마마보이 2015/12/12 4,511
508236 NPR, 불교계와 대치하는 박근혜 정부, 박정희시대 답습하나 4 light7.. 2015/12/12 872
508235 450 85 외벌이 2015/12/12 16,867
508234 강아지한테 날계란 6 강쥐맘 2015/12/12 2,627
508233 왕년에 나 이정도로 잘나갔었다~얘기해 봅니다‥ 43 추억돋는 오.. 2015/12/11 6,275
508232 후회되는 순간이 있는게 인생인가요 4 2015/12/11 1,706
508231 중고가구...? 궁금 2015/12/11 599
508230 초6남자아이 발사이즈 2 초등 2015/12/11 1,386
508229 탈북자 방송이 늘어나지 않았나요? 2 음... 2015/12/11 1,147
508228 예비고2 사탐 세과목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1 ... 2015/12/11 1,117
508227 응팔 보며 떠오른 20년전 그 날 9 추억 2015/12/11 4,557
508226 중고가구...? 3 궁금 2015/12/11 1,024
508225 난생 처음 스키장 가요 준비물 도와주세요 4 촌스럽지만 2015/12/11 4,670
508224 집 잘살다가 한순간에 망하거나 누가 사망한 경우있는 분들계시나요.. 2 dasd 2015/12/11 2,856
508223 아들둘 좋은점은 뭘까요...?^^ 28 아들둘 2015/12/11 8,072
508222 이만기 총선 출마한다네요 49 12월 2015/12/11 3,764
508221 만 48세, 공부를 해서 가장 길이 보이는 진로가 어떤 것이 있.. 48 Mnemon.. 2015/12/11 8,887
508220 EBS에서 티파니에서 아침을 합니다. 6 .... 2015/12/11 1,351
508219 크로스백 추천해주세요 크로스 2015/12/11 562
508218 아기 음식물쓰레기통에 버린 엄마 잡혔네요 49 2015/12/11 15,046
508217 초등 면역력에 좋은 영양제 추천바랍니다 1 감기 2015/12/11 1,154
508216 12살 강아지가 무지개 다리를 건너는 중인거 같은데.. 23 ㅠㅠ 2015/12/11 5,848
508215 바삭마른문어 부드럽게 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2 허니문 2015/12/11 1,430
508214 바리스타 배울건데요 2 응삼 2015/12/11 1,344
508213 인테리어하려고하는데 도움주세요 12 고민중 2015/12/11 2,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