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국 이민

차이나 조회수 : 6,095
작성일 : 2015-10-04 23:31:53
중국 이민을 생각중인데 혹시 지인이나 본인이

중국으로 이민 가신분 있으시면 아무 조언이라도 듣고 싶습니다.

한국에서 시간을 좀 갖고 준비 하려고 하는데 중국에서 외국인이 살

때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IP : 125.178.xxx.15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4 11:43 PM (27.10.xxx.7)

    어느 지역 어떤 일로 왜 가시고 싶으신건지...
    한국인이 많냐 사업이냐 취직이냐 교육문제냐 등등 알아야 답변이 가능할 듯요

  • 2. 차이나
    '15.10.4 11:46 PM (125.178.xxx.159)

    지역은 광저우 쪽으로 일단 생각중이고
    중국인 상대로 장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 3. 광저우
    '15.10.5 12:02 AM (114.205.xxx.184)

    굉장히 더운 곳으로 가시는군요. 더운건 각오하셔야 해요. 광저우 밑이 둥관이고 둥관 밑이 션쩐(심천)이고 그 밑이 홍콩인데 그 벨트에서는 션쩐이 제일 살기는 좋은 것 같아요. 둥관은 중국제일의 음란지옥이었는데, 새로 부임한 광동성장과 시진핑이 대대적인 단속을 벌인 이후에는 거의 없어졌죠. 광저우는 중국 짝퉁시장의 메카에요. 뭘 파실지는 모르겠으나, 중국어 공부 계속 하셔야 하고 현지문화 익히지 않으면 안되고요. 중국가서 몇년 지내고도 중국어를 못하는 한국인들이 많아요. 한국사람들과만 지내다보니. 한심하죠. 중국이 위험하다는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떠돌지만 딱히 한국보다 위험한거 없어요. 그런데 처음에 몇년 살아보고 가시지 보아하니 중국에 대해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 덜컥 이민부터 생각하시나요? 중국은 살기는 상하이가 제일 좋죠. 아무튼 쓰촨, 윈난, 광시, 신장위구르, 티벳 이런데 가시면 어마어마한 자연을 경험하시게 될거에요. 미국, 호주, 북유럽 같은데 갈 필요가 없는.

  • 4. 차이나
    '15.10.5 12:15 AM (125.178.xxx.159)

    답변 감사합니다. 중국어는 계속 공부중이고 외국 3개국에서 십여년 살았던 경험이 있어서 현지어가 얼마가 중요한지는 잘 알고 있습니다.

  • 5. --
    '15.10.5 12:29 AM (180.157.xxx.193)

    우선 중국에 이민제도가 있나 모르겠네요.
    중국에서 10년, 20년 넘게 체류하시는 분들도 대부분 장기체류지 이민은 아니거든요.
    장기체류하려면 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일정 조건이 필요해요.
    중국에서 직장이 있거나 일정 규모 이상 사업을 해야 비자가 나오는데 생각보다 까다로웠어요.
    요즘 한류 바람을 타고 한국 프랜차이즈 카페나 식당, 상점이 정말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
    중국인 주머니에서 나오는 돈 벌기는 참 어려운 것 같더군요.
    참, 광저우는 광둥어를 쓰는 곳이에요.
    표준어를 써도 통하긴 하지만 광둥어를 알아듣지 못하면 소통이 답답할 때가 있더군요.

  • 6. ..
    '15.10.5 12:46 AM (175.223.xxx.80)

    중국인들 상대로 무슨 장사를 하실 계획이신가요?

    중국에서 수년동안 거주하며 일한 경험이 있으신지요?

    경험 없으시다면 중국에서 한국인들 상대로 장사를 하는 것이면 몰라도 중국인들 상대로 하는 것 왠만하면 말립니다.
    일단 여전히 외국인들 독자회사 설립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중국 공무원들 접대도 해야하고 법규 지켜가며 돈버는 거 만만치 않아요.
    현지인 도움 필요한데 대부분 사기꾼이고요.

    꼭 중국에 가셔야하면 광주나 심천 쪽 대학에 어학연수 일년간 하시면서 현지 분위기나 문화 경제 어떤지 배우시고요.
    그 곳 한국업체 현지 취업해서 최소 삼년간만 일해보세요.
    어떻게 해야할 지 보이실거예요.

    중국에선 되는 일도 없고 안되는 일도 없다고 해요.
    거기서 살아보시면 그 말이 어떤 의미인지 감이 오실 거예요.
    제가 중국에서 일할 때 십년 동안 일했던 직원 하나가 나가서 사업체를 차렸어요.
    나중에 그 직원이 일하던 업종이라 자신있었는데 피가 마르고 잠도 못잔다고 하소연하더군요.

    중국인들 채소 하나를 사도 꼼꼼히 손으로 만져보고 사요.
    한국인들은 중국 사람들 물건 팔고 사는 수완 못따라가요.
    이마트가 왜 중국에서 실패했는지 잘 연구해보세요.
    조선족들 가능한 쓰지말고 십년 이상 거래한 중국 업체라도 절대 믿지 마시고요.

  • 7. ..
    '15.10.5 12:50 AM (175.223.xxx.80)

    중국 경험없이 무작정 뛰어든다면 그냥 돈 버리는 거예요.

    한국에서 궁리하지 마시고
    일단 중국가서 시장상황 살피고 경험부터 쌓으세요.

  • 8. **
    '15.10.5 1:10 AM (180.158.xxx.176)

    중국은 이민이 없어요. 위에 댓글 쓰신분 말씀대로 장기체류 비자를 받던 해서 갱신해서 살아야하는곳이지요. 중국에서 회사 다녀보시며 경험해보시고 도전하시는건 어떨런지...
    한국에서 여행 다녀오신분들이 하는 얘기, 언론에 보이는 중국의얘기
    실제와는 다른 부분 많습니다.
    네이버 카페에 가보시면, 중국에서 자영업하시는분들의 카페, 중국 관련 동호회가 많습니다.
    가입해서 읽어보시면 아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실듯해요.

  • 9. 차이나
    '15.10.5 1:22 AM (125.178.xxx.159)

    여러 조언들 감사합니다. 공부 더 많이 해야겠네요.

  • 10. 위에
    '15.10.5 9:42 AM (218.233.xxx.2)

    광저우에서 광동어가 쓰인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근거없는 말은 하지 마세요. 광저우도 요즘 광동어 잘 안쓰고 홍콩 빼고는 보통화로도 다 통해요. 중국이야 워낙 방언이 많아서 보통화 하나로 소통이 쉽지 않은 곳이 있지만, 광동어를 배우는건 시간낭비에요

  • 11. --
    '15.10.5 9:56 AM (116.231.xxx.122)

    물론 표준어인 보통화를 모르는 상태에서 광둥어부터 배울 필요는 없죠.
    한국에서 광둥어를 배울 방법도 없구요.
    하지만 중국인 대상으로 사업을 하신다니 알아는 두시라고 말씀드렸습니다만...
    상대가 외국인인 걸 알면 표준어로 얘기하지만
    나는 보통화만 할 줄 아는데 상대방끼리 광둥어로 말하면 답답하더군요.

  • 12. 샤방샤방
    '15.10.5 11:32 AM (49.77.xxx.97)

    현재 중국에 있는데요..
    광저우는 남쪽이라 덥기도 하고 거긴 사기꾼이 많다고 들었어요..
    아무래도 도시가 크니 인간도 많고 사기도 많겠죠..
    암튼 제일 치안도 안좋다고 들었어요..
    제가 있는곳에서 보니 한국인지 조선족인지 음식업으로 장사가 잘되기도 하더라구요.
    공략을 잘하셔야 할듯요,
    그런데 조선족인지 중국말도 잘하시고 중국에 오래 사신분도 사기인지,
    가게를 매매해서 열었는데 몇달후 그 건물을 부시는 상황이라 할수 없이 접은걸 보았어요..
    중국인들은 굉장히 양심이 없더라구요..
    잘알아보시고 하셔야 합니다.
    중국에 나오면 한국사람이 많긴하고 한국음식점이 있긴해요.
    북경,상해,남경,소주,무석,광주,서안등 한국사람도 많을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4232 혼자 맥주집에서 맥주마시는데요 19 대학로 2016/01/01 6,554
514231 김어준 파파이스 80회 오늘 올라오나요? 아니면 한 주 쉬나요?.. 음음음 2016/01/01 1,717
514230 [질문]혈압약을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데 걱정이네요. 다른 .. 15 pressu.. 2016/01/01 4,232
514229 위안부 사태를 보니 구분이 가네요 1 사건 2016/01/01 923
514228 동네 영어학원 원장 직강... 12 원장이..... 2016/01/01 3,006
514227 외국갈때 갖고 갈수 있는 돈의 한계가 있나요? 3 궁금 2016/01/01 1,317
514226 담주에 의사랑 소개팅있는데,,저 키작은데 어쩌나요 14 에구 2016/01/01 10,079
514225 다시 태어난다면 남자 아니면 여자 어느쪽 선택하실건가요? 22 궁금 2016/01/01 2,890
514224 부모의 불행한 결혼 생활을 지켜본 분들. 16 레이얼 2016/01/01 6,841
514223 런던 불꽃 놀이 2 ..... 2016/01/01 1,250
514222 아이가 희망이다에서 설수현은 2 흠~ 2016/01/01 2,911
514221 네꼬아쯔메 하셔요? 마지막 고양이가 누군가요? 4 Christ.. 2016/01/01 925
514220 쑥과 마눌님? 2 .. 2016/01/01 1,279
514219 나이 먹을수록 생리할때 몸이 아프네요 10 ,,,, 2016/01/01 2,657
514218 제가 보기엔 교사와 은행원 중 은행원이 나은 거 같아요 28 /// 2016/01/01 9,758
514217 로봇청소기 질문있어요 2 좀 비싸네요.. 2016/01/01 1,221
514216 재수 없는 나라 TOP10 5 개한미국 2016/01/01 2,349
514215 교복 - 엘리트 vs 아이비클럽 - 차이가 있나요? 9 학교 2016/01/01 4,505
514214 피아노 소음 말인데요 4 2016/01/01 985
514213 다이어트 첫날부터 망했어요ㅜ 5 새해 2016/01/01 1,785
514212 친일후손들이 갖고있는노무현에대한불만 5 맞네 2016/01/01 990
514211 냉장고 추천해주세요 냉장고 2016/01/01 454
514210 의사 와이프는 키 큰 사람들이 많네요 24 엘리엇 2016/01/01 11,783
514209 이런 남친. 이해해야하나요? 5 두더지 2016/01/01 1,869
514208 카톡연하장 3 어머 2016/01/01 1,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