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잡채 미묘한 맛의 차이 뭘까요?

궁금이 조회수 : 7,187
작성일 : 2015-09-19 20:38:27
면발 아주 쫀득쫀듯 탱탱하구요. 야채도 씹히는 식감 좋구요.
고기아닌 야채만 넣어 두번째 만들어 먹는데
맛이 차이지네요. 오늘건 맛이 좀 떨어지네요.
그 미묘한 차이가 무엇에 의해 좌우되는지...
당면 300그램이면 보통 설탕 몇스푼
넣으시나요? 참기름,들기름,집에있는게 올리브유라
그걸로 야채볶았는데 올리브유 안쓰는게 나은가요?
미묘한 맛의 차이 어떤걸 주의함 될까요?
마늘가감에 따라 맛 차이 클까요?
참 설탕 유기농,흑설탕,백설탕 어느게 맛을 더 내나요?
IP : 58.143.xxx.78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발
    '15.9.19 8:41 PM (116.41.xxx.63)

    잡채는 고소한 참기름맛과 구수한 간장맛으로 먹는건데 올리브유향이 섞이면 맛을 많이 해칠듯요. 일단 한식은 올리브유가 잘 안맞아요.

  • 2. 마늘
    '15.9.19 8:42 PM (58.140.xxx.11)

    예전에 그럴듯해 보이는 잡채가
    맛이 영~ 아니길래
    마늘가루 솔솔 뿌렸더니
    진짜 잡채같은 맛이 나더라고요ㅎ

  • 3. 아 그렇군요.
    '15.9.19 8:53 PM (58.143.xxx.78)

    올리브유는 쓰지말것
    마늘가루를 첨가해 볼것
    잘 알겠습니다. ^^

  • 4. 마늘
    '15.9.19 8:57 PM (58.140.xxx.11)

    그런데, 가루보다도 마늘 찧어서 넣으시면 더 좋겠죠. 저 때는 해외였어서 마늘가루밖에 없었거든요ㅎ
    올리브유는 진짜 한식맛을 왜곡시키는 것 같아요.

  • 5.
    '15.9.19 9:01 PM (116.34.xxx.96)

    부재료 볶는데 올리브유 씁니다. 그리고 보통은 마늘은 쓰지만 마늘 가루는 안씁니다. 댓글의 내용은 맛의 문제가 안돼요.ㅎ
    원글님이 하셨던 잡채의 재료와 요리방법과 순서 쭈욱 적어 보세요. 지금 적은 원글로는 아무것도 파악 안됩니다.

  • 6. ㅎㅎ
    '15.9.19 9:01 PM (58.143.xxx.78)

    아 올리브유로 볶은 야채 결국 기름이
    맛을 왜곡시킨듯 합니다.
    담번엔 챔기름만으로 단순하게 만들어 볼께요.

  • 7. 황금레시피보고
    '15.9.19 9:08 PM (58.143.xxx.78)

    만들었는데 물10컵에 간장 2/3컵, 식용유 넣고
    끓는 물에 당면 300그램 투하 7분30초 끓임
    면은 탈탈털어 참기름섞어 채에 올려둠.
    당근,양파,부추 올리브유에 각각 소금뿌려 볶음
    나중 간장 반스푼,설탕반스푼넣어 섞어줌.
    대충 이렇네요.

  • 8. 황금레시피보고
    '15.9.19 9:09 PM (58.143.xxx.78)

    마늘 오늘은 안넣었는데 넣는게 맛 더 좋을것
    같습니다.

  • 9. ..
    '15.9.19 9:22 PM (126.11.xxx.132) - 삭제된댓글

    저는 잡채에 아예 마늘을 넣지 않아도 맛 있던데. .

  • 10. 후추
    '15.9.19 9:24 PM (114.206.xxx.28)

    후추
    넣으셨어요? 잡채의 독특한 맛에서 후추가 차지하는 역할이 커요. 설탕도 좀더 넣어보시고요.

  • 11. 저도
    '15.9.19 9:25 PM (112.162.xxx.39)

    윗님처럼 후추도 중요합니다
    달짝지근한게 맛있구요

  • 12. 저는
    '15.9.19 9:29 PM (126.11.xxx.132)

    마늘이랑 후추 넣은적 한 번도 없는데 맛 있는데
    원래 잡채에 마늘이랑 후추 넣는건가요?

  • 13. 저는
    '15.9.19 9:35 PM (121.155.xxx.234)

    후추를 좋아해서 그런지 후추넣은게 더 좋아요
    맛의 차이가 확 있죠ᆞ
    마늘은 안 넣어 봤는데 한번 넣어봐야겠네요

  • 14. ..
    '15.9.19 9:37 PM (59.22.xxx.209)

    너무달지않게
    그리고 후추

  • 15. 설탕
    '15.9.19 9:43 PM (211.224.xxx.178) - 삭제된댓글

    우연히 여기 히트레시피보고 했는데 그게 설탕 많이 들어가는 레시피더라고요. 그대로 했더니 어디선가 많이 먹어본 정말 맛난 그런맛이 되더라고요. 다들 맛나다고. 불고기 양념이잖아요. 간장,설탕,마늘,후추,마늘...간장에 설탕이 많이 섞이면 맛난 맛이 나는듯요. 근데 개인적으로 전 디저트도 아닌데 음식에 설탕 많이 들어가는거 싫어해서 별로

  • 16. ~~
    '15.9.19 9:45 PM (112.154.xxx.62)

    항상 칭찬받는데..
    야채는 식용유에..후추마늘소금 간해서 볶아요
    당면은 간장 식용유 넣어서 삶아요
    무칠때 간장 설탕 참기름 식용유넣어서 막 섞어요
    마늘조금 후추 넣어 버무리고 마지막에 통깨요

  • 17. 설탕
    '15.9.19 9:45 PM (211.224.xxx.178)

    우연히 여기 히트레시피보고 했는데 그게 설탕 많이 들어가는 레시피더라고요. 그대로 했더니 어디선가 많이 먹어본 정말 맛난 그런맛이 되더라고요. 다들 맛나다고. 불고기 양념이잖아요. 간장,설탕,참기름,후추,마늘...간장에 설탕이 많이 섞이면 맛난 맛이 나는듯요. 근데 개인적으로 전 디저트도 아닌데 음식에 설탕 많이 들어가는거 싫어해서 별로

  • 18. 후추
    '15.9.19 9:58 PM (58.143.xxx.78)

    중요하군요. Kbs1 TV 황금레시피본건데요.
    업소분 흑설탕 쓰시더군요. 그 안에 캬라멜성분이
    뭔가 더 맛을 내나 싶었어요. ㅎㅎ
    마늘,후추만 넣어도 업되겠네요.^^

  • 19. ..
    '15.9.19 10:14 PM (118.36.xxx.221)

    제 잡채 맛있다하는데 백설탕말고 흙설탕
    섞어요..간장.다진마늘과 함께

  • 20. 아~
    '15.9.19 10:35 PM (175.209.xxx.188)

    제 요리선생님은
    다른 설탕은 본재료의 맛을 변화 시킨다고,
    요리에는 걍 백설탕 사용하라시던데…
    약식 만들때 흑설탕 쓰는것처럼,
    그리해도 풍미가 있을듯하네요.
    대신 단맛 조금이라도 내려면 양을 좀 늘여야겠네요.

  • 21. 원인은 고기
    '15.9.19 11:04 PM (222.104.xxx.189)

    고기 안넣고 야채만 넣는다는 얘기 맞죠?
    잡채 좋아해서 자주 만드는데 원인은 고기 같아요
    내가 잡채에 든 고기가 싫어서 빼고 했더니 영 맛이 안나더군요
    고기 싫어하셔도 고기가 약간 들어가는 거랑 안 들어가는 거랑은 맛이 많이 다르더군요
    한번 실험해 보세요
    그리고 고기 밑간에 마늘,후추 들어가서 따로 안 넣는데도 괜찮던데요

  • 22. 원인은 고기
    '15.9.19 11:08 PM (222.104.xxx.189)

    이어서 설탕,간장양 조금 줄이셔도 잡채 볶을땐 불끄자마자 무칠땐 채소가 따뜻할때 부추나 잘게 썬 파를 넣어서 숨만 죽여 먹으면 담백하니 여러가지 잡맛을 좀 줄여주는거 같아요
    부추나 파가 살짝 숨만 죽일 정도 ^^
    다 아시는 내용 너무 길게 썼나요?

  • 23.
    '15.9.20 1:21 AM (58.231.xxx.14)

    참기름만 넣으면 좀 쓴맛이 나는듯 해요.
    시골형님 잡채가 맛있는데 그 비결은 직접 짠 들기름인듯해요.
    저희집에 와서도 해보았는데 들기름을 넣었더니 확실히 더 구수하고 부드러운 맛이 나요.
    그리고 면을 찰지게 삶는 비법을 찾았는데요,
    면을 삶기전 따뜻한 물에 30분정도 불렸다가
    끓은물에 삶는데 이때 물을 국수삶듯이 잔뜩많이넣지 말고
    자작자작 할정도만 넣고 삶으면서 계속뒤집어 주세요.
    그 물이 다 흡수될때쯤 다시 한대접정도의 끓는물을 또 넣어주고 골고루 물이 흡수되도록뒤집어 주고 중간에 식용유 좀 넣어서 붙지않게 뒤집어주고.. 이렇게 면이 익었다싶을정도까지 반복하다가 좀 질기다 싶을때 불을끄고 간장넣고 밑간하고 기타양념과 볶은 채소를 넣어요.
    이렇게하니 그 쫄깃한면발에 저도 놀라고
    스무살 딸도 엄마잡채 평생처음으로 맛있다고 하네요.
    이렇게 삶은 면은 냉장고에 들어갔어도 렌지에 돌리니 쫄깃함이 그대로예요.
    제생각에 물을 잔뜩넣고 삶을때보다 제가 설명드린방법으로하면 물을 최소로 흡수하기 때문인듯해요.

  • 24. 14님 당면 삶는법
    '15.9.20 2:07 AM (111.118.xxx.210) - 삭제된댓글

    내일 한번 해보려고요.
    곧 추석인데 좀이라도 늘려야 되는 음식솜씨;;

  • 25. 14님
    '15.9.20 2:11 AM (111.118.xxx.210) - 삭제된댓글

    당면 삶는법 참고 할게요.
    내일 미리 한번 해보던가 해야 겠어요.

    132님 저도 마늘이랑 후추 넣는거 처음 알았네요.
    넣으면 더 맛이 좋아지나 봐요ㅎㄷㄷㄷ

  • 26. 실험들어가 봐야겠네요.
    '15.9.20 3:11 AM (58.143.xxx.78)

    흙설탕 사용
    들기름추가
    당면 삶는법 참고 할게요. 감사해요^^

  • 27. ..
    '15.9.20 8:26 AM (117.111.xxx.113)

    당면 간이 안된듯

  • 28. 저도
    '15.9.20 4:19 PM (116.125.xxx.51)

    잡채가 생각보다 어렵더라구요. 갈수록 맛이 없어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3860 미국배우 제니퍼로렌스보면 11 ㄴㄴ 2015/11/27 3,613
503859 고딩아들 밥 4 아침 2015/11/27 1,405
503858 강아지가 오줌을 떨어뜨리고 다니는데 4 사랑이 2015/11/27 1,251
503857 겨울 기모 스판바지 늘어날까요? 3 춥다 2015/11/27 904
503856 딸이 한달째 왕따당하고 있어요(조언절실) 18 중학생 2015/11/27 7,165
503855 방 곰팡이 처리비용 얼마인가요? 3 소랑바랑 2015/11/27 1,211
503854 커클랜드 소형견사료 어떤가요? 4 ^^ 2015/11/27 1,384
503853 그냥 집에만 있고 싶다는 7세 외동딸아이... 육아가 어렵네요... 13 애엄마 2015/11/27 4,537
503852 안방을 아이방으로 쓰시는 분들 있나요? 장단점좀... 26 감사 2015/11/27 15,552
503851 오늘 날씨에도 얇은 스타킹 신고 간 여학생들 많나요? 11 추워 2015/11/27 1,680
503850 2015년 11월 27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5/11/27 705
503849 아침부터 라면이 엄청 먹고 싶네요..ㅠㅠ 8 ㅠㅠ 2015/11/27 1,982
503848 털실내화 세탁 어떻게 하나요? 1 ㅇㅇ 2015/11/27 1,929
503847 How I met your mother에서 로빈이 들고 있던 와.. 2 와인사랑 2015/11/27 827
503846 초등학교 공립샘들 얼마동안 한 학교 계시나요? 3 2015/11/27 1,287
503845 요즘 두명의 연예인 앓이가 시작됐어요 48 ㅇㅇ 2015/11/27 11,541
503844 영작한문장봐주실수있을까요? 2 영작 2015/11/27 695
503843 우리 오빠도 문제 1 우리 오빠도.. 2015/11/27 1,459
503842 다음주에 지방에 출장 가는데, 그 지역 유일한 호텔은 객실이 없.. 4 .... 2015/11/27 989
503841 추위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 10 추위 2015/11/27 5,587
503840 영훈초등학교 영어로 수업해요? 1 ... 2015/11/27 2,626
503839 무릎 길이 정도 여성 오리털 패딩 가격이 보통 얼마정도 하나요?.. 16 패딩 2015/11/27 4,119
503838 스텐물병 vs 내열유리 물병 5 ㅇㅇ 2015/11/27 2,646
503837 2월 월세만기인데 세입자가 고민중이라면 언제까지 기다려야하나요?.. 6 부동산 2015/11/27 1,372
503836 머리가 시린건 안좋은 증상인가요?? 6 드림 2015/11/27 9,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