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만약 화폐개혁이 이루어진다면 현금 보유자는..

... 조회수 : 6,110
작성일 : 2015-09-17 21:13:00

만약 화폐개혁이 이루어지면 은행에 예금이 많다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경제에 능통하신 분들 정보 부탁드립니다

IP : 118.37.xxx.167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간단히
    '15.9.17 9:15 PM (223.62.xxx.34)

    부동산 상승
    화폐가치하락

  • 2. 한국 상황
    '15.9.17 9:17 PM (125.176.xxx.84) - 삭제된댓글

    화폐개혁-》나라 망함
    고로 절대 안함 못함

  • 3. ...
    '15.9.17 9:19 PM (211.243.xxx.65) - 삭제된댓글

    은행예금은 상관없죠
    금고에 오만원권 쟁여둔 분들이 문제죠
    (그래서 증여세를 없애나)

  • 4. ㅇㅇ
    '15.9.17 9:21 PM (66.249.xxx.243) - 삭제된댓글

    화폐 가치는 떨어지게되어있어요
    간단하게 100원을 1원으로 개혁한다고 가정해보면
    159원 짜리 물건은 1.59원이ㅡ될것 같죠?? 아니요 2원으로 시장에 나와요
    그래서 화폐 가치가 떨어지죠. 그래서 물건 부동산으로 가지고 있으면 물건 가치가 상승되는 효과를 가지게되는 것이죠

  • 5. ㅂ ㅂ
    '15.9.17 9:29 PM (220.90.xxx.240) - 삭제된댓글

    화폐개혁 안합니다
    할려면 기습적으로 해야죠
    그렇치 않음 우리나라 투자한
    외인들 달러로 바꿔서 다 빠져나가고
    나라 망합니다 부도납니다
    북한이 화폐개혁하고
    난리가 났다잖아요
    자살자 속출하고
    화폐개혁 주도한자
    총살시켰답니다

  • 6. 5만원권이
    '15.9.17 9:33 PM (211.208.xxx.219) - 삭제된댓글

    흘러나온들 궁민경제에 도움 절대 안되게 쿵짝 쿵짝 할거고요

    인플레이션 필연적으로 따라올거고
    화폐가치는 당연히 떨어지죠
    노유진분들 견해처럼 아름답게 흘러가려면
    이 정권하에서는 절때 하면 안 됨

  • 7. ...
    '15.9.17 9:56 PM (39.7.xxx.233)

    이 총재는 이날 오후 국감에서 "(이날 오전) 리디노미네이션 관련 발언은 (화폐개혁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는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한은은 해당 의원에게 오후에 재질의를 요청해 이총재가 발언을 수습할 기회를 갖도독 하는 한편 따로 보도자료를 내고 "화폐개혁을 추진한다는 뜻이 절대 아니다"고 읍소했다.

    이날 이 총재의 발언은 해프닝에 그쳤지만 화폐개혁은 말처럼 쉽지않다. 지하경제 양성화와 국민들의 지급 편의성 등이 화폐개혁의 이유로 거론되지만 '새 화폐단위' 출현은 장점만 있지는 않다. 예를 들어 자산, 부채, 거래단위에서 '0'을 하나 떼어낼 경우 새 화폐를 접한 국민들의 혼란이 불가피하다. 새화폐를 제조하는 데는 물론 ATM기와 장부변경 등에도 큰 비용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더 큰 걱정거리는 인플레이션이다. 1만원짜리면 10%(1000원)올리는데 그칠 것을 화폐단위가 10분의 1로 줄어 1000원이 되면 20%(200원), 30%(300원) 올리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화폐단위가 줄 경우 물건값이 싸진 것처럼 느껴져 과소비가 일거나 인플레이션 저항성이 줄어드는 것을 악용할 것이란 우려다.

  • 8.
    '15.9.17 10:13 PM (59.15.xxx.50)

    우리 같은 서민들은 돈이 있어봤자 얼마나 있겠어요.부자들만 괴롭지요.화폐개혁은..

  • 9. 화폐가치가
    '15.9.17 10:21 PM (211.208.xxx.219) - 삭제된댓글

    떨어진다는 건
    산수놀이가 아닌데 ....

    부자들만 괴롭다는 캐치프레이즈로 밀면
    먹힐 수도 있겠네요 ㄷㄷㄷ

  • 10. ...
    '15.9.17 10:46 PM (59.12.xxx.35)

    쉽지 않아요. 정부라고 맘대로 못합니다. 필요성은 있어요.

  • 11.
    '15.9.17 10:46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화폐개혁의 단점이 인플레인데.. 인플레에서 부자들만 괴로울거라니 ㅎㅎㅎ
    인플레 하에서 부자들이 10 힘들다면 서민들은 100~1000 괴로울걸요?
    화폐개혁의 단점은 축소하고 장점만 최대화해서 선전하면 (지하경제의 돈들 끌어낸다 등등, 돈 있는 놈들 것만 뺏는거다 등등) 진짜 어리석은 대중들은 얼마든지 넘어가겠어요^^

  • 12.
    '15.9.17 10:47 PM (175.211.xxx.221)

    화폐개혁의 단점이 인플레인데.. 인플레에서 부자들만 괴로울거라니 ㅎㅎㅎ
    인플레 하에서 부자들이 10 힘들다면 서민들은 100~1000 괴로울걸요?
    화폐개혁의 단점은 축소하고 장점만 최대화해서 선전하면 (지하경제의 돈들 끌어낼거다, 돈 있는 놈들 돈만 줄어드는거다 등등)
    진짜 어리석은 대중들은 얼마든지 넘어가겠어요^^

  • 13. ..
    '15.9.17 10:53 PM (66.249.xxx.243)

    지하경제 양성화 공약을 확실히 지키는 거죠. 우리 경제의 20퍼가 지하경제라 가정하면 그만큼의 세원이 추가로 포착되는 거니까요. 은행예금은 양지돈이니 아무 상관 없습니다. 물가인상이 우려되긴 하지만 디플레 국면이라 하려면 지금이 적기이긴 합니다. 원화의 액면단위가 너무 커서 언젠가는 해야 한다코 봅니다.

  • 14. ...
    '15.9.17 11:01 PM (115.140.xxx.126)

    화폐개혁은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때도 있던 얘기에요

    잊을만 하면 한번씩 튀어 나오지만... 못합니다

    경제는 원래 단언하면 안되는데 화폐개혁만큼은 왜 못하는지 조금만 들여다보면 확신하실 거에요

  • 15.
    '15.9.17 11:02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지금 적기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세수 부족은 지금 지하경제 양성화 시키지 않아도 충분히 다른 정책을 펴서 세금만 잘 걷어들이면 가능할 일인데 이 정부는 그런 일들을 하나도 안하고 있죠.
    그렇다고 뭐 화폐개혁으로 소비진작시킬정도로 지금이 엄청난 디플레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급 디플레도 아닌데.. 일본이 그지경 디플레일때도 화폐에는 손을 안댔어요.
    그리고 지하자금 지하자금 하는데 그런 큰돈들은 화폐개혁 하기 전에 다들 알고 다 손 써놓겠죠? 지하자금 양성화 시키려고 화폐개혁 한다는데 정작 지하자금은 그 전에 다 손 써서 빼놨겠고 .. 결국 서민들만 힘들어지는 최악의 사태가 올수도..
    박정희때 같은 목적으로 화폐개혁 단행했지만, 지금 판단하기론 실패한 정책이죠.

  • 16.
    '15.9.17 11:04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지금 적기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세수 부족은 지금 지하경제 양성화 시키지 않아도 충분히 다른 정책을 펴서 세금만 잘 걷어들이면 가능할 일인데 이 정부는 그런 일들을 하나도 안하고 있죠.
    그렇다고 뭐 화폐개혁으로 소비진작시킬정도로 지금이 엄청난 디플레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급 디플레도 아닌데.. 일본이 그지경 디플레일때도 화폐에는 손을 안댔어요.
    그리고 지하자금 지하자금 하는데 그런 큰돈들은 화폐개혁 하기 전에 다들 알고 다 손 써놓겠죠? 지하자금 양성화 시키려고 화폐개혁 한다는데 정작 지하자금은 그 전에 다 손 써서 빼놨겠고 .. 결국 서민들만 힘들어지는 최악의 사태가 올수도..
    박정희때 같은 목적으로 화폐개혁 단행했지만, 지하경제의 돈을 끄집어내지 못했고.. 결국 실패한 정책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죠.

  • 17.
    '15.9.17 11:07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한마디 던져서 살짝 간보며 조종하는 느낌 드는데요.
    겁나는 사람들은 부동산 투자 하겠죠. 어떤 사람들이냐 하면 정보가 부족한 서민들.

  • 18.
    '15.9.17 11:10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지금 적기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세수 부족은 지금 지하경제 양성화 시키지 않아도 충분히 다른 정책을 펴서 세금만 잘 걷어들이면 가능할 일인데 이 정부는 그런 일들을 하나도 안하고 있죠.
    그렇다고 뭐 화폐개혁으로 소비진작시킬정도로 지금이 엄청난 디플레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급 디플레도 아닌데.. 일본이 그지경 디플레일때도 화폐에는 손을 안댔어요.
    그리고 지하자금 지하자금 하는데 그런 큰돈들은 화폐개혁 하기 전에 다들 알고 다 손 써놓겠죠? 지하자금 양성화 시키려고 화폐개혁 한다는데 정작 지하자금은 그 전에 다 손 써서 빼놨겠고 .. 결국 서민들만 힘들어지는 최악의 사태가 올수도..
    박정희때 같은 목적으로 화폐개혁 단행했지만, 지하경제의 돈을 끄집어내지 못했고.. 결국 실패한 정책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죠.

    윗님말씀처럼 하지도 못할걸 슬쩍 간보며 한마디 던지는 것일수도 있어요.
    겁나는 사람들은 부동산 사라는거죠. 어떤 사람들? 정보가 없는 보통사람들은 겁나겠죠.
    부동산 올리고 내수 진작 시켜야되는 정부의 목표에 딱 맞아떨어지요. 말 한마디만으로도.

  • 19.
    '15.9.17 11:21 PM (175.211.xxx.221)

    지금 적기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세수 부족은 지금 지하경제 양성화 시키지 않아도 충분히 다른 정책을 펴서 세금만 잘 걷어들이면 가능할 일인데 이 정부는 그런 일들을 하나도 안하고 있죠.
    그렇다고 뭐 화폐개혁으로 소비진작시킬정도로 지금이 엄청난 디플레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급 디플레도 아닌데.. 일본이 그지경 디플레일때도 화폐에는 손을 안댔어요.
    그리고 지하자금 지하자금 하는데 그런 큰돈들은 화폐개혁 하기 전에 다들 알고 다 손 써놓겠죠? 지하자금 양성화 시키려고 화폐개혁 한다는데 정작 지하자금은 그 전에 다 손 써서 빼놨겠고 .. 결국 서민들만 힘들어지는 최악의 사태가 올수도..
    박정희때 같은 목적으로 화폐개혁 단행했지만, 결국 실패한 정책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죠.

    윗님말씀처럼 하지도 못할걸 슬쩍 간보며 한마디 던지는 것일수도 있어요.
    겁나는 사람들은 부동산 사라는거죠. 어떤 사람들? 정보가 없는 보통사람들은 겁나겠죠.
    부동산 올리고 내수 진작 시켜야되는 정부의 목표에 딱 맞아떨어지요. 말 한마디만으로도.

  • 20. 음...
    '15.9.17 11:26 PM (110.8.xxx.118)

    극소수 부동산 갑부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민들은 결사 반대해야함... 지금과는 비교불가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일어날 듯..

  • 21.
    '15.9.17 11:37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그쵸 화폐개혁 하기도 힘들겠지만 만일 한다면 빈부격차 엄청나게 커질겁니다.
    지하자금 양지로 끌어내는게 목표라면, 5만원권 도안을 바꿔서 신5만원권을 만드는겁니다. 앞으로 한달동안 구5만원권을 신5만원권으로 바꿔준다. 한달 이후에는 구5만원권은 교환불가.. 이렇게 해버리면 간단한데 이 쉬운걸 안하고 뭔 화폐개혁 헛소리인지. 서민들 흔들어보려는 수작 같아요.

  • 22. 참나
    '15.9.18 8:37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5만원권만 없애도 지하경제 양성화 됩니다.

    화폐개혁은 너무 위험한 방법이네요.

  • 23. ㅡㅡ
    '15.9.18 8:46 AM (175.118.xxx.94)

    박근혜는 할것같은데요
    지금 부채가 많아서 인플레시키려는거예요
    현금가치떨어지게
    그리고 내수도 바닥이라 활성화시켜야되고
    5만원권 부자들집에 쌓아놓던지 마늘밭에묻든지
    한다는데
    그거다 끄집어내서 부동산에 투자하게하려는것도있죠
    암튼 그런설들이 있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6211 기장군 '방사능 우려 해수담수' 공급 강행 강력 반발 1 후쿠시마의 .. 2015/12/05 767
506210 이정렬 전 부장판사가 알려주는 5일 민중총궐기 행동 수칙 5 1205 2015/12/05 1,073
506209 연애 상담글 올렸던 사람인데요 헤어졌어요. 3 lachat.. 2015/12/05 2,485
506208 김장김치에 생새우 안넣어도 되나요? 5 초보맘 2015/12/05 3,267
506207 건강보험·국민연금료 오른다 '더 내고 덜 받는 체계로' 3 ㅁㅁ 2015/12/05 1,184
506206 부츠 이음새가 뜯어졌는데 어디서 고치나요? 1 동네 2015/12/05 576
506205 119.89달러를 영어로 읽을때 가능한 모든 방법 알려주세요 2 .... 2015/12/05 1,324
506204 요즘 옛날 엠비씨 창작동요제를 보고있는데 참 재미있어요 1 동요 2015/12/05 1,007
506203 사이드 아파트 결로 심한가요?. 사이드집 8층과 중간집 4층.... 49 ... 2015/12/05 6,077
506202 법조계분 계신가요 1 상담드림 2015/12/05 600
506201 oo의원oo과... 전문의가 아닌건가요? 14 궁그미 2015/12/05 2,286
506200 엄마가 간호사였는데 위생관념이 없었어요 47 비위생 2015/12/05 7,502
506199 쌍꺼풀수술 예약...ㅡ.ㅡ 8 하늘 2015/12/05 2,373
506198 내 위에 놓지도 않고 내 밑에 놓지도 않는다 5 .. 2015/12/05 1,369
506197 바게트는 강력분인가요 2 글루텐 2015/12/05 1,696
506196 잘잤어요? 5 다정한농부 2015/12/05 1,075
506195 주사기를 재사용하는 심뽀? 14 ........ 2015/12/05 2,710
506194 변호사시험vs 사법시험 26 4 2015/12/05 3,878
506193 안랩 주식 어떨까요? 11 재테크 2015/12/05 2,006
506192 아름다운 가게는 믿을 수 있는 곳인가요? 4 ㅇㅇ 2015/12/05 1,760
506191 대기업과 협약 맺은 전문대 vs 폴리텍 2 대학 2015/12/05 2,107
506190 저희 부모님이 사후에 사체기증 하시겠다네요 19 불효녀 2015/12/05 3,846
506189 일본어 야치마이나-는 무슨 의미인지 아시는 분?? 6 궁금한 자 2015/12/05 2,040
506188 유럽사는 분들 어느국가에 사나요? 4 디게 궁금 .. 2015/12/05 1,494
506187 먹다남은 와인 어떻게 보관해요? 5 스파클링 2015/12/05 3,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