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만약 화폐개혁이 이루어진다면 현금 보유자는..

... 조회수 : 6,125
작성일 : 2015-09-17 21:13:00

만약 화폐개혁이 이루어지면 은행에 예금이 많다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경제에 능통하신 분들 정보 부탁드립니다

IP : 118.37.xxx.167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간단히
    '15.9.17 9:15 PM (223.62.xxx.34)

    부동산 상승
    화폐가치하락

  • 2. 한국 상황
    '15.9.17 9:17 PM (125.176.xxx.84) - 삭제된댓글

    화폐개혁-》나라 망함
    고로 절대 안함 못함

  • 3. ...
    '15.9.17 9:19 PM (211.243.xxx.65) - 삭제된댓글

    은행예금은 상관없죠
    금고에 오만원권 쟁여둔 분들이 문제죠
    (그래서 증여세를 없애나)

  • 4. ㅇㅇ
    '15.9.17 9:21 PM (66.249.xxx.243) - 삭제된댓글

    화폐 가치는 떨어지게되어있어요
    간단하게 100원을 1원으로 개혁한다고 가정해보면
    159원 짜리 물건은 1.59원이ㅡ될것 같죠?? 아니요 2원으로 시장에 나와요
    그래서 화폐 가치가 떨어지죠. 그래서 물건 부동산으로 가지고 있으면 물건 가치가 상승되는 효과를 가지게되는 것이죠

  • 5. ㅂ ㅂ
    '15.9.17 9:29 PM (220.90.xxx.240) - 삭제된댓글

    화폐개혁 안합니다
    할려면 기습적으로 해야죠
    그렇치 않음 우리나라 투자한
    외인들 달러로 바꿔서 다 빠져나가고
    나라 망합니다 부도납니다
    북한이 화폐개혁하고
    난리가 났다잖아요
    자살자 속출하고
    화폐개혁 주도한자
    총살시켰답니다

  • 6. 5만원권이
    '15.9.17 9:33 PM (211.208.xxx.219) - 삭제된댓글

    흘러나온들 궁민경제에 도움 절대 안되게 쿵짝 쿵짝 할거고요

    인플레이션 필연적으로 따라올거고
    화폐가치는 당연히 떨어지죠
    노유진분들 견해처럼 아름답게 흘러가려면
    이 정권하에서는 절때 하면 안 됨

  • 7. ...
    '15.9.17 9:56 PM (39.7.xxx.233)

    이 총재는 이날 오후 국감에서 "(이날 오전) 리디노미네이션 관련 발언은 (화폐개혁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는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한은은 해당 의원에게 오후에 재질의를 요청해 이총재가 발언을 수습할 기회를 갖도독 하는 한편 따로 보도자료를 내고 "화폐개혁을 추진한다는 뜻이 절대 아니다"고 읍소했다.

    이날 이 총재의 발언은 해프닝에 그쳤지만 화폐개혁은 말처럼 쉽지않다. 지하경제 양성화와 국민들의 지급 편의성 등이 화폐개혁의 이유로 거론되지만 '새 화폐단위' 출현은 장점만 있지는 않다. 예를 들어 자산, 부채, 거래단위에서 '0'을 하나 떼어낼 경우 새 화폐를 접한 국민들의 혼란이 불가피하다. 새화폐를 제조하는 데는 물론 ATM기와 장부변경 등에도 큰 비용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더 큰 걱정거리는 인플레이션이다. 1만원짜리면 10%(1000원)올리는데 그칠 것을 화폐단위가 10분의 1로 줄어 1000원이 되면 20%(200원), 30%(300원) 올리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화폐단위가 줄 경우 물건값이 싸진 것처럼 느껴져 과소비가 일거나 인플레이션 저항성이 줄어드는 것을 악용할 것이란 우려다.

  • 8.
    '15.9.17 10:13 PM (59.15.xxx.50)

    우리 같은 서민들은 돈이 있어봤자 얼마나 있겠어요.부자들만 괴롭지요.화폐개혁은..

  • 9. 화폐가치가
    '15.9.17 10:21 PM (211.208.xxx.219) - 삭제된댓글

    떨어진다는 건
    산수놀이가 아닌데 ....

    부자들만 괴롭다는 캐치프레이즈로 밀면
    먹힐 수도 있겠네요 ㄷㄷㄷ

  • 10. ...
    '15.9.17 10:46 PM (59.12.xxx.35)

    쉽지 않아요. 정부라고 맘대로 못합니다. 필요성은 있어요.

  • 11.
    '15.9.17 10:46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화폐개혁의 단점이 인플레인데.. 인플레에서 부자들만 괴로울거라니 ㅎㅎㅎ
    인플레 하에서 부자들이 10 힘들다면 서민들은 100~1000 괴로울걸요?
    화폐개혁의 단점은 축소하고 장점만 최대화해서 선전하면 (지하경제의 돈들 끌어낸다 등등, 돈 있는 놈들 것만 뺏는거다 등등) 진짜 어리석은 대중들은 얼마든지 넘어가겠어요^^

  • 12.
    '15.9.17 10:47 PM (175.211.xxx.221)

    화폐개혁의 단점이 인플레인데.. 인플레에서 부자들만 괴로울거라니 ㅎㅎㅎ
    인플레 하에서 부자들이 10 힘들다면 서민들은 100~1000 괴로울걸요?
    화폐개혁의 단점은 축소하고 장점만 최대화해서 선전하면 (지하경제의 돈들 끌어낼거다, 돈 있는 놈들 돈만 줄어드는거다 등등)
    진짜 어리석은 대중들은 얼마든지 넘어가겠어요^^

  • 13. ..
    '15.9.17 10:53 PM (66.249.xxx.243)

    지하경제 양성화 공약을 확실히 지키는 거죠. 우리 경제의 20퍼가 지하경제라 가정하면 그만큼의 세원이 추가로 포착되는 거니까요. 은행예금은 양지돈이니 아무 상관 없습니다. 물가인상이 우려되긴 하지만 디플레 국면이라 하려면 지금이 적기이긴 합니다. 원화의 액면단위가 너무 커서 언젠가는 해야 한다코 봅니다.

  • 14. ...
    '15.9.17 11:01 PM (115.140.xxx.126)

    화폐개혁은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때도 있던 얘기에요

    잊을만 하면 한번씩 튀어 나오지만... 못합니다

    경제는 원래 단언하면 안되는데 화폐개혁만큼은 왜 못하는지 조금만 들여다보면 확신하실 거에요

  • 15.
    '15.9.17 11:02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지금 적기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세수 부족은 지금 지하경제 양성화 시키지 않아도 충분히 다른 정책을 펴서 세금만 잘 걷어들이면 가능할 일인데 이 정부는 그런 일들을 하나도 안하고 있죠.
    그렇다고 뭐 화폐개혁으로 소비진작시킬정도로 지금이 엄청난 디플레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급 디플레도 아닌데.. 일본이 그지경 디플레일때도 화폐에는 손을 안댔어요.
    그리고 지하자금 지하자금 하는데 그런 큰돈들은 화폐개혁 하기 전에 다들 알고 다 손 써놓겠죠? 지하자금 양성화 시키려고 화폐개혁 한다는데 정작 지하자금은 그 전에 다 손 써서 빼놨겠고 .. 결국 서민들만 힘들어지는 최악의 사태가 올수도..
    박정희때 같은 목적으로 화폐개혁 단행했지만, 지금 판단하기론 실패한 정책이죠.

  • 16.
    '15.9.17 11:04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지금 적기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세수 부족은 지금 지하경제 양성화 시키지 않아도 충분히 다른 정책을 펴서 세금만 잘 걷어들이면 가능할 일인데 이 정부는 그런 일들을 하나도 안하고 있죠.
    그렇다고 뭐 화폐개혁으로 소비진작시킬정도로 지금이 엄청난 디플레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급 디플레도 아닌데.. 일본이 그지경 디플레일때도 화폐에는 손을 안댔어요.
    그리고 지하자금 지하자금 하는데 그런 큰돈들은 화폐개혁 하기 전에 다들 알고 다 손 써놓겠죠? 지하자금 양성화 시키려고 화폐개혁 한다는데 정작 지하자금은 그 전에 다 손 써서 빼놨겠고 .. 결국 서민들만 힘들어지는 최악의 사태가 올수도..
    박정희때 같은 목적으로 화폐개혁 단행했지만, 지하경제의 돈을 끄집어내지 못했고.. 결국 실패한 정책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죠.

  • 17.
    '15.9.17 11:07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한마디 던져서 살짝 간보며 조종하는 느낌 드는데요.
    겁나는 사람들은 부동산 투자 하겠죠. 어떤 사람들이냐 하면 정보가 부족한 서민들.

  • 18.
    '15.9.17 11:10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지금 적기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세수 부족은 지금 지하경제 양성화 시키지 않아도 충분히 다른 정책을 펴서 세금만 잘 걷어들이면 가능할 일인데 이 정부는 그런 일들을 하나도 안하고 있죠.
    그렇다고 뭐 화폐개혁으로 소비진작시킬정도로 지금이 엄청난 디플레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급 디플레도 아닌데.. 일본이 그지경 디플레일때도 화폐에는 손을 안댔어요.
    그리고 지하자금 지하자금 하는데 그런 큰돈들은 화폐개혁 하기 전에 다들 알고 다 손 써놓겠죠? 지하자금 양성화 시키려고 화폐개혁 한다는데 정작 지하자금은 그 전에 다 손 써서 빼놨겠고 .. 결국 서민들만 힘들어지는 최악의 사태가 올수도..
    박정희때 같은 목적으로 화폐개혁 단행했지만, 지하경제의 돈을 끄집어내지 못했고.. 결국 실패한 정책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죠.

    윗님말씀처럼 하지도 못할걸 슬쩍 간보며 한마디 던지는 것일수도 있어요.
    겁나는 사람들은 부동산 사라는거죠. 어떤 사람들? 정보가 없는 보통사람들은 겁나겠죠.
    부동산 올리고 내수 진작 시켜야되는 정부의 목표에 딱 맞아떨어지요. 말 한마디만으로도.

  • 19.
    '15.9.17 11:21 PM (175.211.xxx.221)

    지금 적기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세수 부족은 지금 지하경제 양성화 시키지 않아도 충분히 다른 정책을 펴서 세금만 잘 걷어들이면 가능할 일인데 이 정부는 그런 일들을 하나도 안하고 있죠.
    그렇다고 뭐 화폐개혁으로 소비진작시킬정도로 지금이 엄청난 디플레냐?? 그것도 아닙니다. 일본급 디플레도 아닌데.. 일본이 그지경 디플레일때도 화폐에는 손을 안댔어요.
    그리고 지하자금 지하자금 하는데 그런 큰돈들은 화폐개혁 하기 전에 다들 알고 다 손 써놓겠죠? 지하자금 양성화 시키려고 화폐개혁 한다는데 정작 지하자금은 그 전에 다 손 써서 빼놨겠고 .. 결국 서민들만 힘들어지는 최악의 사태가 올수도..
    박정희때 같은 목적으로 화폐개혁 단행했지만, 결국 실패한 정책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죠.

    윗님말씀처럼 하지도 못할걸 슬쩍 간보며 한마디 던지는 것일수도 있어요.
    겁나는 사람들은 부동산 사라는거죠. 어떤 사람들? 정보가 없는 보통사람들은 겁나겠죠.
    부동산 올리고 내수 진작 시켜야되는 정부의 목표에 딱 맞아떨어지요. 말 한마디만으로도.

  • 20. 음...
    '15.9.17 11:26 PM (110.8.xxx.118)

    극소수 부동산 갑부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민들은 결사 반대해야함... 지금과는 비교불가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일어날 듯..

  • 21.
    '15.9.17 11:37 PM (175.211.xxx.221) - 삭제된댓글

    그쵸 화폐개혁 하기도 힘들겠지만 만일 한다면 빈부격차 엄청나게 커질겁니다.
    지하자금 양지로 끌어내는게 목표라면, 5만원권 도안을 바꿔서 신5만원권을 만드는겁니다. 앞으로 한달동안 구5만원권을 신5만원권으로 바꿔준다. 한달 이후에는 구5만원권은 교환불가.. 이렇게 해버리면 간단한데 이 쉬운걸 안하고 뭔 화폐개혁 헛소리인지. 서민들 흔들어보려는 수작 같아요.

  • 22. 참나
    '15.9.18 8:37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5만원권만 없애도 지하경제 양성화 됩니다.

    화폐개혁은 너무 위험한 방법이네요.

  • 23. ㅡㅡ
    '15.9.18 8:46 AM (175.118.xxx.94)

    박근혜는 할것같은데요
    지금 부채가 많아서 인플레시키려는거예요
    현금가치떨어지게
    그리고 내수도 바닥이라 활성화시켜야되고
    5만원권 부자들집에 쌓아놓던지 마늘밭에묻든지
    한다는데
    그거다 끄집어내서 부동산에 투자하게하려는것도있죠
    암튼 그런설들이 있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0991 남편분 생일에 뭐해주세요? 1 쩜쩜쩜 2016/01/22 850
520990 응답끝난후 시그널 봤는데 완벽한 드라마 그자체!^^ 7 이드라마재밌.. 2016/01/22 5,729
520989 과외 선생님과 학부모도 갑과 을의 관계인가요? 4 갑을 2016/01/22 1,676
520988 수술 받고 나서 마취에서 깨고 나서 자지 말라는 건 왜인가요 3 병원 2016/01/22 2,832
520987 아이가 버튼누르는 문에서 다쳤어요 205 .... 2016/01/22 17,778
520986 국가장학금 2 신입생 2016/01/22 1,286
520985 고1 모의고사 수학시험에 대한 궁금증...급해요... 6 예비고맘 2016/01/22 1,711
520984 클렌징이 똑 떨어졌어요 12 .. 2016/01/22 4,222
520983 이중인격자 시누이 밉상 2016/01/22 1,761
520982 지금껏 살면서 누구에게 한 번도 맞아본 적 없으신 분 30 궁금 2016/01/22 4,372
520981 빨래 실내건조 안좋다는데.. 24 고민일쎄 2016/01/22 18,681
520980 50대 남자 직장상사 선물 추천 4 나눔 2016/01/22 4,975
520979 영어학원 주차장 관리하는 남자들은 다 왜 그래요???? 2 분노폭발 2016/01/22 918
520978 과외 학부모중 제때 돈 안주거나 끝내 안주는 인간들 꽤 있어요 3 ... 2016/01/22 1,812
520977 소두증 바이러스..하와이 신혼여행가도 될까요. 4 걱정 2016/01/22 6,706
520976 더이상 좋아하지 않다고 떠난 남친 돌아온적 있으신분 2 stella.. 2016/01/22 1,682
520975 세무조사 받으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 2016/01/22 995
520974 실비보험 가입 하고 해외체류시.. 4 .... 2016/01/22 2,619
520973 제로이드나 아토팜 쓰시는분? 12 2016/01/22 3,996
520972 갑을 관계로만 세상보는 사람은 8 2016/01/22 1,363
520971 40대남자 여행용 크로스백 추천좀 해주세요 2 언니들 2016/01/22 2,267
520970 논리력 짱인 82님들 의견 주십시요 27 내부고발자 2016/01/22 3,106
520969 영통에서 강남 등 서울시내 가기 어떤가요? 4 이사 2016/01/22 1,199
520968 시그널 재밌네요. 49 ... 2016/01/22 6,228
520967 감기 걸렸을 때는 샤워 안하는 게 나은가요? 9 감기 2016/01/22 22,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