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년 후 20층 이상 고층아파트는 어떻게 될까요?

내집마련 조회수 : 9,744
작성일 : 2015-09-14 10:17:07

돈이 없다보니 오래된 아파트만 보게되는데요

전세 물량이 없으니 매매 물건만 몇개 봤어요

그런데 서울, 경기 20년 넘은 오래된 아파트를 4~5억씩 주고 사는게 과연 잘하는 건지  의구심이 들더군요

10년은 어찌어찌 수리하며 살겠지만  30~40년 넘어가면   이 아파트들 다 재건축 가능하지도 않을텐데 말이에요

내 땅위에 집 있는 주택을 사는게 미래를 위해서 더 좋을 것 같단 생각도 들구요

내 집 하나는 있어야되지만  거의 전재산을 올인해야 하니  여러가지 생각이 드네요

용인 협소주택도  구경가고 싶은데... 여기도 나름 장단점이 있겠죠 

부동산 참 어렵네요 ^^

 

 

 

IP : 115.139.xxx.209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하 20층까지 파내려 가며 재건축을 하겠죠.
    '15.9.14 10:19 AM (61.102.xxx.134)

    그래야 건축비라도 건질 거 아니겠습니까?

  • 2. ..
    '15.9.14 10:20 AM (121.165.xxx.34) - 삭제된댓글

    단독 주택 좋지만, 비싸니까요.

    지금 재건축을 하는 아파트들은 안전성 보다는 편의성에 맞추어서 재건축 하는 의미가 더 큰것 아닌가요?
    특히 주차장..

    주차공간이 확보된 아파트는 실내 공사하고 배관 공사하면서 살면 됩니다

  • 3. 그러니까
    '15.9.14 10:25 AM (61.102.xxx.134)

    아파트는 소비재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내구연한까지 소비하고는 다시 내돈으로 건축비를 들여 재건축을 해야 하니까요.

  • 4. ...
    '15.9.14 10:42 AM (180.229.xxx.175)

    내돈들여 재건축하겠죠...
    이미 명일동에 그런 아파트 있던데요...
    추가부담금 꽤 되더라구요...

  • 5. ..
    '15.9.14 10:49 AM (39.7.xxx.220)

    내 돈주고 재건축 하니 주변 새아파트 사겠어요~
    20층 이상 고층 아파트는 재건축 못한다고 봐야죠.
    그냥 리모델링 하면서 살아야죠

  • 6. ..
    '15.9.14 11:19 AM (211.224.xxx.178)

    동네에 80년초에 지은 잘지은 양옥집 리모델링비나 짓는 비나 똑같이 많이 든다고 그냥 부수고 새로 짓던데. 개인주택이면 혼자 결정해서 부수고 새로 지으면 되겠지만..평당 350정도면 아주 잘 짓는것 같던데. 아파트는 그 많은 세대수 사람들한테 다 동의 구하고 해야하니 불가능하다고 봐야죠. 개중엔 새로 지을 비용 몇억 충분히 댈 수 있는 사람도 있지만 그 집이 유일한 전 재산인 사람도 있겠고 집 지을 몇년동안 가 있을 돈도 필요하고 기타등등 사람들 사정,생각이 다 다르기 때문에 거의 불가능이라고 봐야죠.
    지방의 경우 그래서 입지는 최고지만 오래된 동네 아파트숲의 아파트들 더이상 매매는 안되고 전세만 활발히 거래된다고 알고 있어요. 학군좋으니 매매가랑 거의 차이 안나는 전세가로 들어와 살다 애 크면 신도시 새아파트 사서 이동하지요. 지방광역시는 그런 추셉니다. 서울은 워낙 복잡하고 인구많고 하니 다르게 진행될수도

  • 7. 과학의 발전을 믿어야죠.^^
    '15.9.14 11:24 AM (220.70.xxx.51)

    몇년 전에 경제잡지를 보니까, 단열필름 만드는 회사들에 대해 다루더군요.
    빌딩 외벽을 유리로 짓기시작하면서, 여름에 비닐하우스 효과(?)가 생겼잖아요.
    여름에 냉방비가 엄청나고, 겨울에 해지고 나면 엄청 추워지고...
    그래서 개발된 것이 그 유리에 붙이는 필름인데,
    그전에는 단순히 외부에서 내부가 안 보이게 하는 용도였다면, 단열 기능을 넣는 거래요.
    하이테크놀로지라고 하던데, 그거 보고나니...

    지금처럼 재건축을 할 수 없게 된다면, 오래된 콘크리트나 철근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기술이 생길 수도?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들이나 환경... 저 어릴땐 꿈도 못 꿨던 일들이거든요.

  • 8.
    '15.9.14 11:36 AM (222.110.xxx.35) - 삭제된댓글

    건축일하는 친구 말로는
    콘크리트의 연한은 안전 진단 해보면 알겠지만..100년 이상이라는데요?
    다만..우리나라 사람들이 그 낡음을 못 견뎌할 뿐이라고요..
    지금 재건축하는 아파트들도 안전의 문제로 재건축하는게 아니라
    옛날 구식 건물에서 살기 싫어서 재건축하는 거잖아요.

    그냥 유럽이나 외국처럼 낡은 건물이라도
    계속 리모델링하면서 살지 않을까요?
    아님 자기돈 내고 재건축하던지요..

    제일큰 문제는 주상복합같아요...이건 대부분 고층이라서
    재건축하면 거의 마이너스일테구요...지금은 최신식 시설들이지만
    20년정도 지나면 낡은 시스템들일테고...
    어떻게 유지될지 저도 너무 궁금하네요..
    주상복합에 살지만..매매를 안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물론 타팰보면..10년 지나도 아직은 건재 한 것 같아요.2~30년 지나봐야 알겠죠/?.

  • 9. 궁금하긴 해요..
    '15.9.14 12:08 PM (218.234.xxx.133)

    주변에 52층 뭐 이런 아파트가 많아서 궁금하긴 해요.
    도곡동 타워팰리스도 2002년 입주해서 15년 되어가고...
    튼튼하게만 지어졌다면 내외장 인테리어만 다시 하면 될 거고요.

    저도 오래된 20년 아파트 매매할까 생각해보니 이 집에서 적어도 10년은 살 거 같은데 그땐 어떻게 되려나 궁금.

  • 10. ..
    '15.9.14 12:38 PM (175.116.xxx.216)

    저 위에분말이 맞아요..철근콘크리트건물 100년간다는거.. 지진이나 홍수 태풍같은 그런 재해가 있지않는한 몇십년돼서 낡았다고 무너질일은 없을듯..

  • 11. ㅇㅇ
    '15.9.14 1:18 PM (211.106.xxx.137) - 삭제된댓글

    개인적으로는 20층은 안 넘는 아파트가 그나마
    나중에 위쪽으로 수직 증축하면서 리모델링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예를 들어 18층에서 25층으로 뭐 이렇게요.
    너무 고층이면 수익성이 전혀 없으니 내 돈 전부 내고 리모델링이 힘들지 않나요?
    뭐 순전히 비전문가가 그냥 한번 해 보는 생각이긴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3319 실리콘 찜판..잘 사용하세요? 49 실리콘 2015/09/17 2,021
483318 들깨가루 껍질 깐게 나은가요? 껍질 안깐 들깨가루가 나은가요? .. 3 궁금혀 2015/09/17 1,805
483317 학부모교육 -자기소개서쓰기 -- 강좌인데 이거 어떤가요 49 고1맘 2015/09/17 967
483316 주진우 기자가 일본대부업체 오릭스에 소송당했네요. ㄷㄷ 12 사채업자 2015/09/17 3,310
483315 사춘기 아이 두신분들 49 사춘기 2015/09/17 1,242
483314 자기 자식 결혼 다 했다고 인연 끊는(냉무) 10 사람 2015/09/17 3,815
483313 가수 헨리 24 아하 2015/09/17 13,413
483312 화폐개혁 과연 할까요? 16 . 2015/09/17 4,643
483311 이정재 연기 어때요? 13 2015/09/17 2,766
483310 김치사먹기 .. 4 aksyd 2015/09/17 1,907
483309 우리은행에 돈 많이 넣어도 괜찮겠죠? 7 .... 2015/09/17 3,054
483308 흑형이라는 말... 19 ㅇㅇ 2015/09/17 4,647
483307 홍준표 무상급식 중단한다고 성토하던 대구지인분..... 3 참맛 2015/09/17 1,225
483306 40중반 긴머리들 모여라2 49 호잇 2015/09/17 5,006
483305 생활비주는 백수남편과 사이좋게 지내는법 49 지혜 2015/09/17 3,999
483304 코를 풀면 피부도 건조해지나요? 3 ... 2015/09/17 953
483303 아이들이 잘때 꼭 있어야 잘자는.. 5 꼭 있어야 .. 2015/09/17 1,003
483302 친정엄마, 세자매 함께하는 가을 제주여행 코스에 대해서요.. 2 제주여행 2015/09/17 1,564
483301 코스트코 냉동 갈비 2 ? 2015/09/17 2,522
483300 폴로랄프로렌 청바지 입어보신분~~ 2 청바지 2015/09/17 2,453
483299 파마가 유독 안어울리는건.... 왜 그럴까요 3 ㅠ.ㅠ 2015/09/17 5,777
483298 강용석 변호사 사무실에 사건이 안들어오나봐요. 34 너고소 2015/09/17 23,224
483297 이럴때 화가나지요.. 1 삐약이네 2015/09/17 853
483296 아기는 몇월에 낳는 게 좋나요? 49 고민고민 2015/09/17 8,776
483295 부대찌개 먹고싶은데.. 49 ㅇㄷ 2015/09/17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