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년 후 20층 이상 고층아파트는 어떻게 될까요?

내집마련 조회수 : 9,909
작성일 : 2015-09-14 10:17:07

돈이 없다보니 오래된 아파트만 보게되는데요

전세 물량이 없으니 매매 물건만 몇개 봤어요

그런데 서울, 경기 20년 넘은 오래된 아파트를 4~5억씩 주고 사는게 과연 잘하는 건지  의구심이 들더군요

10년은 어찌어찌 수리하며 살겠지만  30~40년 넘어가면   이 아파트들 다 재건축 가능하지도 않을텐데 말이에요

내 땅위에 집 있는 주택을 사는게 미래를 위해서 더 좋을 것 같단 생각도 들구요

내 집 하나는 있어야되지만  거의 전재산을 올인해야 하니  여러가지 생각이 드네요

용인 협소주택도  구경가고 싶은데... 여기도 나름 장단점이 있겠죠 

부동산 참 어렵네요 ^^

 

 

 

IP : 115.139.xxx.209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하 20층까지 파내려 가며 재건축을 하겠죠.
    '15.9.14 10:19 AM (61.102.xxx.134)

    그래야 건축비라도 건질 거 아니겠습니까?

  • 2. ..
    '15.9.14 10:20 AM (121.165.xxx.34) - 삭제된댓글

    단독 주택 좋지만, 비싸니까요.

    지금 재건축을 하는 아파트들은 안전성 보다는 편의성에 맞추어서 재건축 하는 의미가 더 큰것 아닌가요?
    특히 주차장..

    주차공간이 확보된 아파트는 실내 공사하고 배관 공사하면서 살면 됩니다

  • 3. 그러니까
    '15.9.14 10:25 AM (61.102.xxx.134)

    아파트는 소비재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내구연한까지 소비하고는 다시 내돈으로 건축비를 들여 재건축을 해야 하니까요.

  • 4. ...
    '15.9.14 10:42 AM (180.229.xxx.175)

    내돈들여 재건축하겠죠...
    이미 명일동에 그런 아파트 있던데요...
    추가부담금 꽤 되더라구요...

  • 5. ..
    '15.9.14 10:49 AM (39.7.xxx.220)

    내 돈주고 재건축 하니 주변 새아파트 사겠어요~
    20층 이상 고층 아파트는 재건축 못한다고 봐야죠.
    그냥 리모델링 하면서 살아야죠

  • 6. ..
    '15.9.14 11:19 AM (211.224.xxx.178)

    동네에 80년초에 지은 잘지은 양옥집 리모델링비나 짓는 비나 똑같이 많이 든다고 그냥 부수고 새로 짓던데. 개인주택이면 혼자 결정해서 부수고 새로 지으면 되겠지만..평당 350정도면 아주 잘 짓는것 같던데. 아파트는 그 많은 세대수 사람들한테 다 동의 구하고 해야하니 불가능하다고 봐야죠. 개중엔 새로 지을 비용 몇억 충분히 댈 수 있는 사람도 있지만 그 집이 유일한 전 재산인 사람도 있겠고 집 지을 몇년동안 가 있을 돈도 필요하고 기타등등 사람들 사정,생각이 다 다르기 때문에 거의 불가능이라고 봐야죠.
    지방의 경우 그래서 입지는 최고지만 오래된 동네 아파트숲의 아파트들 더이상 매매는 안되고 전세만 활발히 거래된다고 알고 있어요. 학군좋으니 매매가랑 거의 차이 안나는 전세가로 들어와 살다 애 크면 신도시 새아파트 사서 이동하지요. 지방광역시는 그런 추셉니다. 서울은 워낙 복잡하고 인구많고 하니 다르게 진행될수도

  • 7. 과학의 발전을 믿어야죠.^^
    '15.9.14 11:24 AM (220.70.xxx.51)

    몇년 전에 경제잡지를 보니까, 단열필름 만드는 회사들에 대해 다루더군요.
    빌딩 외벽을 유리로 짓기시작하면서, 여름에 비닐하우스 효과(?)가 생겼잖아요.
    여름에 냉방비가 엄청나고, 겨울에 해지고 나면 엄청 추워지고...
    그래서 개발된 것이 그 유리에 붙이는 필름인데,
    그전에는 단순히 외부에서 내부가 안 보이게 하는 용도였다면, 단열 기능을 넣는 거래요.
    하이테크놀로지라고 하던데, 그거 보고나니...

    지금처럼 재건축을 할 수 없게 된다면, 오래된 콘크리트나 철근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기술이 생길 수도?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들이나 환경... 저 어릴땐 꿈도 못 꿨던 일들이거든요.

  • 8.
    '15.9.14 11:36 AM (222.110.xxx.35) - 삭제된댓글

    건축일하는 친구 말로는
    콘크리트의 연한은 안전 진단 해보면 알겠지만..100년 이상이라는데요?
    다만..우리나라 사람들이 그 낡음을 못 견뎌할 뿐이라고요..
    지금 재건축하는 아파트들도 안전의 문제로 재건축하는게 아니라
    옛날 구식 건물에서 살기 싫어서 재건축하는 거잖아요.

    그냥 유럽이나 외국처럼 낡은 건물이라도
    계속 리모델링하면서 살지 않을까요?
    아님 자기돈 내고 재건축하던지요..

    제일큰 문제는 주상복합같아요...이건 대부분 고층이라서
    재건축하면 거의 마이너스일테구요...지금은 최신식 시설들이지만
    20년정도 지나면 낡은 시스템들일테고...
    어떻게 유지될지 저도 너무 궁금하네요..
    주상복합에 살지만..매매를 안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물론 타팰보면..10년 지나도 아직은 건재 한 것 같아요.2~30년 지나봐야 알겠죠/?.

  • 9. 궁금하긴 해요..
    '15.9.14 12:08 PM (218.234.xxx.133)

    주변에 52층 뭐 이런 아파트가 많아서 궁금하긴 해요.
    도곡동 타워팰리스도 2002년 입주해서 15년 되어가고...
    튼튼하게만 지어졌다면 내외장 인테리어만 다시 하면 될 거고요.

    저도 오래된 20년 아파트 매매할까 생각해보니 이 집에서 적어도 10년은 살 거 같은데 그땐 어떻게 되려나 궁금.

  • 10. ..
    '15.9.14 12:38 PM (175.116.xxx.216)

    저 위에분말이 맞아요..철근콘크리트건물 100년간다는거.. 지진이나 홍수 태풍같은 그런 재해가 있지않는한 몇십년돼서 낡았다고 무너질일은 없을듯..

  • 11. ㅇㅇ
    '15.9.14 1:18 PM (211.106.xxx.137) - 삭제된댓글

    개인적으로는 20층은 안 넘는 아파트가 그나마
    나중에 위쪽으로 수직 증축하면서 리모델링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예를 들어 18층에서 25층으로 뭐 이렇게요.
    너무 고층이면 수익성이 전혀 없으니 내 돈 전부 내고 리모델링이 힘들지 않나요?
    뭐 순전히 비전문가가 그냥 한번 해 보는 생각이긴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1085 마켓 냉장에서 파는 후라이드 치킨이요 엘레나님 2016/01/23 441
521084 물건 팔려는데 공짜로 줄 생각 없냐며 19 ㅇㅇ 2016/01/23 5,674
521083 40살이후에 필요한 자격증은 뭐가 있을까요 재취업 2016/01/23 816
521082 튜브 삽입 수술 다섯번째 하라는데 이래도 될까요ㅜㅜ 16 ㅜㅜㅜㅜ 2016/01/23 5,844
521081 40대 이상이신 분들 생리양이요.. 7 tomas 2016/01/23 4,541
521080 엉화 오빠생각보고 안녕 2016/01/23 1,159
521079 인테리어 잡지 정기구독 추천해 주세요 9 ... 2016/01/23 1,858
521078 유럽자유여행할때 세탁은 어떻게 해요? 17 여행 2016/01/23 10,065
521077 현금예단만 하기도 하나요? 7 부탁 2016/01/23 2,392
521076 유정선배(박해진) 좋아하는 분들요~박해진 영상 10 ... 2016/01/23 2,548
521075 남편한테 기대한 내가 바보지만... 19 ... 2016/01/23 5,506
521074 독학하는 학생 수학 모의고사 풀어봤는데 질문 드립니다.. 20 예비고1 2016/01/23 3,024
521073 전자레인지겸용 오븐 어떤가요. 3 부라보마이라.. 2016/01/23 2,200
521072 누리과정관련 충격적인 기사예요ㄷㄷ 9 저기아랫글댓.. 2016/01/23 3,452
521071 3M밀대랑 물걸레질만하면 먼지제거 잘 안되나요? 3 00 2016/01/23 1,586
521070 교사였던 엄마얘기...저도 58 ..... 2016/01/23 21,318
521069 개밥주는남자에서 생닭 줘도 되는거였어요? 5 2016/01/22 2,766
521068 kbs뉴스 성남상품권보셨어요?? 4 ㅅㅈ 2016/01/22 1,651
521067 패배감을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2 새옹지마 2016/01/22 1,301
521066 45이상분들.스키타세요? 27 999 2016/01/22 4,488
521065 김종인 선대위원장은 자신의 과거 절대 사과 안하네요.. 8 .... 2016/01/22 725
521064 식품영양학과랑 치위생학과랑 어떤게 더 괜찮을까요? 3 진로고민 2016/01/22 1,885
521063 도쿄 여행 아래 쓴 사람인데요. 28 도쿄 2016/01/22 4,771
521062 어제 하우스보셨나요? 3 황도조림 2016/01/22 1,072
521061 만둣국해서 친구들 몇명 부르려구요. 25 david 2016/01/22 4,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