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나간 인연은 그대로 끝인가요?

조회수 : 5,223
작성일 : 2015-09-09 01:31:47

한번 아니면 아닌게 제 방식이었는데 이번엔 쉽지가 않네요.

여러문제들이 얽혀서(돈 비롯해서) 헤어졌으면 그대로 끝인가요?

30초반이라 아직 이런경험이 많지가 않아서요.

주변 얘기나 살아본 경험으로는 어떠셨나요?

저는 인생이 뜻대로, 순리대로 되는건줄 알았는데

주위를 보니 인연이라는게 돌고돌아서 오기도하고 신기하네요.

물론 확률은 희박하겠지만요...

IP : 175.211.xxx.245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9.9 2:43 AM (221.241.xxx.186)

    지나간 인연인지 아닌지는 정말 지나가봐야 알겠지요.
    얼마 안 됐다면 아직은 몰라요.
    그래도 사람이 감아라는 게 있어서...이번엔 진짜일 거라는 감이 오면 그건 맞더라고요.

  • 2. ....
    '15.9.9 4:36 AM (118.176.xxx.254)

    "주위를 보니 인연이라는게 돌고돌아서 오기도하고 신기하네요"
    불교 용어로 時節因緣시절인연 이라는게 있어요.
    사람이든 물건이든 유형이든 무형이든 ...모든게 인연도 때가 있다라는 뜻이죠.

  • 3. 양쪽다
    '15.9.9 7:13 AM (203.128.xxx.64) - 삭제된댓글

    끝났으면 끝난거라봐야죠

    그런데
    어느한쪽이 다시 연락을 하거나 해서
    다시 시작된 분들도 있긴 있어요
    저 포함해서~~~

    우연으로 이어진 인연도 있지만
    내가 만드는 인연도 있는거 같아요

  • 4. 저는
    '15.9.9 7:30 AM (59.86.xxx.173) - 삭제된댓글

    되돌아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떠나거나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있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취직을 해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결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며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느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역겹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5. 저는
    '15.9.9 7:31 AM (59.86.xxx.173) - 삭제된댓글

    되돌아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자진해서 떠나거나 어쩔 수 없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있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취직을 해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결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며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느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역겹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6. 저는
    '15.9.9 7:33 AM (59.86.xxx.173) - 삭제된댓글

    되돌아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자진해서 떠나거나 어쩔 수 없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있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취직을 해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결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는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느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역겹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7. 저는
    '15.9.9 7:34 AM (59.86.xxx.173) - 삭제된댓글

    되돌아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자진해서 떠나거나 어쩔 수 없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있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결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며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느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역겹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8. 저는
    '15.9.9 7:35 AM (59.86.xxx.173) - 삭제된댓글

    되돌아 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자진해서 떠나거나 어쩔 수 없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있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결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며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느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역겹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9. 저는
    '15.9.9 7:36 AM (59.86.xxx.173) - 삭제된댓글

    되돌아 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자진해서 떠나거나 어쩔 수 없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살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결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며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느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역겹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10. 저는
    '15.9.9 7:38 AM (59.86.xxx.173) - 삭제된댓글

    되돌아 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자진해서 떠나거나 어쩔 수 없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살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재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며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느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역겹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11. 저는
    '15.9.9 7:39 AM (59.86.xxx.173) - 삭제된댓글

    되돌아 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자진해서 떠나거나 어쩔 수 없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살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재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는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느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역겹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12. 저는
    '15.9.9 7:41 AM (59.86.xxx.173) - 삭제된댓글

    되돌아 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자진해서 떠나거나 어쩔 수 없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살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재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는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해주는 게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역겹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13. 저는
    '15.9.9 7:56 AM (59.86.xxx.173)

    되돌아 온 인연이 아름다운 경우를 별로 못 봤어요.
    떠난 인연이 되돌아 올 때는 자진해서 떠나거나 어쩔 수 없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 사람의 필요에 의한 경우가 많거든요.
    남아있던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기대에 어긋나면 본색이 드러납니다.

    어린 딸 둘을 키우고 살던 가난한 부부.
    남편이 바람이 나서는 위자료 백만 원을 주면서 딸들과 함께 쫓아내더랍니다.
    아무리 수 십 년 전이라도 백만 원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친정 일가붙이들이 모여사는 시골로 내려갔답니다.
    버려진 빈집에 들어가 살면서 날품팔이로 생계를 이어갔다네요.
    그렇게 시골의 고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한 딸들은 근처 공업도시로 나가서는 엄마에게 약간의 생활비를 보내줬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딸들의 아버지.
    처자식 쫓아내고 상간녀와 재혼해서 아들까지 낳고는 살았지만 그것도 몇 년.
    상간녀가 암으로 죽었다네요.
    원래 몇 푼 되지도 않았던 재산을 다 털어먹으면서요.
    월세와 막일을 전전하던 남자는 전처가 시골의 낡은 집이나마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집에서 딸들이 보내오는 생활비를 받으며 산다는 소문에 상간녀의 아들 손목을 잡아끌고는 들이닥쳐 방 한 칸을 차지하고 들어앉더랍니다.
    딸들의 아버지라는 핑계로 전처가 차려주는 밥상을 받으며 아들과 자신의 용돈이나 겨우 벌어쓰는 편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큰딸이 결혼하겠다며 자신의 아버지보다 잘난 것도 없는 남자를 데려왔다네요.
    없는 살림이라 이부자리 몇 개와 약간의 가재도구를 혼수로 해주는 게 고작이었는데도 옆에서 그걸 지켜보던 애비라는 인간이 왜 그렇게 많이 해주냐, 애비에게는 용돈 한 푼도 안주는 자식이 자식이냐, 딸은 시집 보내면 그걸로 끝이다...ㅋㅋㅋㅋ
    진심으로, 그런 사연을 주절대던 아줌마의 따귀를 후려치고 싶었네요.
    제발 지금이라도 정신 좀 차리라고요.
    내가 봤던 가장 구질구질하고 어리석은 거자필반의 사례였네요.

    한번 흘러간 강물은 되돌리는 법이 아닙니다.
    흘러간 강물은 그대로 바다로 보내주는 것이 자연의 섭리랍니다.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자들에게 기다리는 것은 자연의 응징밖에는 없어요.

  • 14. ,,,,,
    '15.9.9 9:01 AM (39.118.xxx.111)

    윗님말이 맞네요~

  • 15. ..
    '15.9.9 1:02 PM (203.237.xxx.73)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5247 82쿡 나이대가 많이 높나요?? 49 82 2015/10/29 2,703
495246 인터넷 면세점 문의요. 4 ... 2015/10/29 1,483
495245 2박3일 안에 여수와 순천 다 보는게 가능할까요? 9 .. 2015/10/29 1,925
495244 ktx 같은 칸에서 본 무성님의 역사공부 모습 4 무성한 숲 2015/10/29 1,328
495243 집에서 데일리로 쓰는 비누 무엇 쓰세요들? 17 .. 2015/10/29 5,086
495242 초등학교유예..경험있거나 선생님들 답변 절실합니다 22 걱정맘 2015/10/29 2,551
495241 중학생 전과목 봐주는 공부방이나 과외 있을까요 3 2015/10/29 1,943
495240 초3되니 동네 엄마들 거의 갈라지네요.. 2 ... 2015/10/29 4,000
495239 후쿠*카 함바그 맛있네요 10 추천 2015/10/29 2,363
495238 겨울을 맞아 빨간 립스틱 하나 샀는데 맘에 들어요 6 ... 2015/10/29 2,465
495237 부동산이 거의 전 재산이잖아요. 등기부등본 모니터링 서비스 1 2015/10/29 1,933
495236 보드게임 잘 아시는 분, hot spot 좀 가르쳐 주세요 sksm3 2015/10/29 506
495235 눈이 물고기 눈같다는게 무슨 뜻이예요? 23 ㅇㅇ 2015/10/29 3,707
495234 서청원 “국정교과서 반대, 북한 지령 받았는지 수사해야” 12 세우실 2015/10/29 981
495233 '병원 대신 하늘나라' 5살 딸 결정에 따른 엄마 2 눈물 2015/10/29 2,898
495232 82하면서 가장 소름끼쳤던 댓글... 49 소름ㅋ 2015/10/29 16,205
495231 개누리당보다 거기 동조하는 인간들이 더 싫습니다 10 // 2015/10/29 935
495230 4대강 제대로 안했다고 논평발표했네요. 새민련에서.. 49 못하게막은건.. 2015/10/29 858
495229 쇼팽이나 리스트가 실제로 6 ㅇㅇ 2015/10/29 1,953
495228 식품건조기 리큅 8 홈쇼핑 2015/10/29 2,803
495227 지혜가 담긴 한 말씀 부탁드려요. 3 공구 2015/10/29 641
495226 서울대 교수 382명, ‘국정교과서 철회’ 촉구 성명 4 보수정서 2015/10/29 821
495225 산후관리 전문 한의원 추천해주세요 믿어 2015/10/29 515
495224 동대문 시장에서 쇼파 커버 잘하는 곳 추천 부탁드려요~ 1 커버링 2015/10/29 1,351
495223 제 몸이 열이많은건지 반대인지 모르겠는데요. 2 강황과울금 2015/10/29 1,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