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는 국문과로 해서요? 마지막이 갈등이라네요?
과는 국문과로 해서요? 마지막이 갈등이라네요?
쓰신 순서대로요...
건.홍.인..
요즘 입시 잘모르는 사람인데요
인하대는 저때도 공대위상만큼 문과는 별로였던거 같아요
인서울중에 요즘 건대가 좋지 않나요?
홍대보단 건대가 졸업후나 여러가지 좋을것 같아요
입시 모르는 사람입니다
건홍인 같네요
인서울이요. 무조건. 만약 공대였으면 인하대 고민해보겠는데
문과면 고민할 가치도 없어요
비교할 걸 비교하세요. 건국,인하와 홍익을 어떻게 동일선상에서,,,
건 홍 인
역시 ..그렇군요...대답주신 분들 정말 감사드려요..
요즘 입시 모르는사람인데요
건대문과가 더 좋겠다는건 알겠는데요
인하대문과보다 홍대문과가 역시나 인서울이라 더 좋은건가요?
인하대정도면 공대아니라도 홍대보다 학력고사세대인 저는 훨씬 좋은것 같은데요
수도권 통학도ㅈ가능
동문도 홍대보다야 좋고요
요즘은 위상이 많이 틀린건지..무조건 인서울인가봐요
무조건 인서울이에요
지거국 몰락하는 거 보면 답 나오죠
저는 98년도에 이대 보교 건대 공대 홍대 공대 중대 자연과학부 넣어서 이대 빼고 다 붙었는데 홍대 공대 갔었어요... 그 후 반수했고요. 그땐 솔직히 홍대가 라군이어서 건대보다 홍대가 좋다는 인식이 있었는데 (삼국대는 아니라는 뭐 그런 우리끼리의 자부심) 그 이후 건대가 확 좋아졌다는걸 피부로 느끼는 게 요새 젊은 애들 말에 따르면 삼국대 중 독보적인 존재로 부상하면서 거의 중경외시 급에 육박한다 그러더라고요
당연히 건대요
그런데 인하대는 저기에 왜 있어요?ㅋㅋㅋ
당연히 건대요
그런데 인하대는 저기에 왜 있어요?
홍대 미대 빼고 그게 어디,,,,학교주변 보세요. 그게 유흥가지 어디 학교입니까? 그러니 교수란게 ‘돈 떼먹은 흑산도 홍어 판매자’나 ‘부엉이바위에서 떨어진 지적장애인’으로 전직대통령들을 비하하는 유치한 문제를 기말고사에 낼 정도죠. 남자키 180 안되면 루저라는 발언은 또 왜 나왔겠어요?
아무래도 건대가 낫겠죠.
국문과라면 차라리 서울예대 한예종 중앙대 문창과 가는 게 더 낫겠지만
저 3개 중에 고르면 건대요.
국문과가 있나요? 국어교육과만 있는걸로 아는데..
건>인>>>>홍 이요
건대죠.
홍대주변은 정말 너무하데요..
저 03학번인데 건대, 홍대, 인하대죠. 학교앞이고 뭐고간에 커리큘럼이나 학교인지도, 아웃풋이 중요한거죠. 그당시 제절친이 홍대, 성신여대 문과쓰고 인하대 문과는 엄청 안전빵으로 썼던 기억이 나네요. 공대도 아니고 인천사는거 아님 인하대는 비교불가예요.
저요! 저! 제가 인하대 국문과 출신인데요,
저도 서울에서 20년을 자란터라 인하대 간다고 했을 때 부모님이 반대 하셨었어요.
지금 입시는 잘 모르지만 저는 가,나,다,라 학교 4곳을 썼었는데 그 중 3군델 붙었고
두곳은 서울, 나머지 하나가 인하대였거든요.
부모님은 당연히 인서울 하라고 하셨는데 그냥 제가 가겠다고 했어요.
암것도 모르지만 왠지 촌스러운 분위기가 좋아서요.
인문학부로 입학했는데, 입학 전부터 국문과 가고 싶었구요.
공대가 큰 학교라 사실 문과대의 명성(?)이란게 별로 없어요.
그런데 국문과는 교수진들이 아주 좋아요,
서울대 갈 교수님들을 학교에서 고연봉(?) 잡았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대학원에 꽤 유명한 작가들도 수업들으러 다녔었구요.
또 기억에 남는건, 문예창작 수업들 강사진도 아주 좋았어요. 유명 시인, 소설가들이 꽤 있었어요.
저는 어릴 때부터 문학을 좋아했던터라 학부수업이 지금도 기억에 많이 남아요.
또... 또...
졸업생들 진로는요, 신춘문예 당선으로 등단, 공무원, 기자, 작가, 교사, 주부 등등 다양합니다.
굶는과라는 우스갯소리도 많았는데 다들 제 밥벌이는 하고 살더라구요.
최근 종영한 오나귀 작가님도 저희과 출신이시라는 ㅎㅎ
서울대 밑으로는 다똑같다는 정신나간 사람들도 있는 82에서 물어볼말은 아닌거같은데요.
인하대는 공대빼면 인서울보다 쳐진다는 느낌입니다. 낄자리가 아니예요.
건>인>>>>>>>>홍
홍대는 미대빼고는 전부..××××××
음... 만약 정말로 공부에 뜻이 있어서 가는거라면
그러니까 문학을 하려고 하거나, 국문학공부를 하려고 하는 거라면 교수진들의 면면을 살펴보고 가는걸 추천합니다. 그 교수가 쓴 책 같은게 어떤건지 혹은 언론에 쓰는 글들이라도 있다면 살펴보는게 좋겠지요..
물론 공부에 뜻이 있는게 아니라면 꼭 해당되는 얘기는 아니겠고요..
홍대가 그리 몰락했나요 우리땐 경희대정도였던것같은데
건대는 무지 레벨업했네요 삼국대시절 무색
성대도 서강대랑 비교되고
대학들 재편보면 꼭 부동산 같아요
건대가 전에 비해 올랐어요.
홍대도 미대나 자율전공 말고는 전에 비하면 떨어졌고요
교수진들까지 따져서 생각하면
인-건-홍이지만
인서울 메리트 무시 못하니 그 점까지 따지면
건-인-홍 이예요.
아무리 인서울 메리트 따져도 국문과라면 그래도
인-홍 순으로 봅니다
저도 고3맘인데요, 집이 서울이시면 인천까지 갈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학교 주변 따지시는 분 첨 봤네요 ㅋㅋ
건대 주변도 유흥가인데 ㅋ 국문과는 건대가 좋습니다. 아 그리고 정시 점수 보니까 그 학교 레벨이 나오더라고요. 건대도 95점 이상이어야 붙어요-.- 서울대가 98.
집이 서울이시면 인천까지 갈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그리고 문과는 2N년전 학력고사시대나 지금이나 인하대는 좀 쳐지는 느낌이죠. 공대면 인하대 추천하겠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520276 | 스마트밴드 추천 좀 해주세요 | HH | 2016/01/20 | 444 |
520275 | 컴퓨터 활용능력 시험 교제 추천해주세요! 3 | 조안 | 2016/01/20 | 645 |
520274 | 이철희 소장, 더불어민주당 입당의 변 // 9 | 저녁숲 | 2016/01/20 | 2,136 |
520273 | “서울시민을 위한 박원순 특파원입니다” 1 | 샬랄라 | 2016/01/20 | 628 |
520272 | 전 그냥 서울이 좋은데 27 | MilkyB.. | 2016/01/20 | 4,030 |
520271 | 사주, 년월일시 중에서 뭐가 제일 결정적인가요? 6 | ㅇㅇ | 2016/01/20 | 7,047 |
520270 | 식상하지만 돈 얘기입니다. 5 | 부산원츄 | 2016/01/20 | 2,316 |
520269 | 국민의당 김영환 "이명박 사람들 적극 영입하겠다. 16 | 잘한다 | 2016/01/20 | 2,101 |
520268 | 서향이 그리 나쁜가요? 20 | 서향 | 2016/01/20 | 6,432 |
520267 | 기관지염에 배즙 or 배청? 어느게 더 낫은가요? 6 | 쿨럭 | 2016/01/20 | 1,381 |
520266 | 9살 6살아이들과 갈만한 국내여행지 추천해주세요~ | 방학 | 2016/01/20 | 628 |
520265 | 업소녀(화류계) 사례들 26 | .... | 2016/01/20 | 75,597 |
520264 | 임대아파트 포함된 초등학군 어떤가요? 24 | .. | 2016/01/20 | 4,916 |
520263 | 삼성역 근처 설렁탕집 추천해 주세요*^^* 2 | 커피향기 | 2016/01/20 | 1,028 |
520262 | 먼지 적은 세탁기 추천부탁드립니다. 2 | 통돌이세탁기.. | 2016/01/20 | 1,595 |
520261 | 가방 색이 고민이에요. 핑크 별로일까요? 4 | 고민 | 2016/01/20 | 1,020 |
520260 | wmf 후라이팬 4 | 설 선물 | 2016/01/20 | 1,442 |
520259 | 응팔을 빙자한 옛날 연애 이야기 (택이는 왜 그렇게 변했을까) 5 | ........ | 2016/01/20 | 2,598 |
520258 | 서울-부산 이사 1박2일 하나요? 6 | 음 | 2016/01/20 | 1,232 |
520257 | 18k 40g이면 몇돈인가요.. 5 | 금 | 2016/01/20 | 3,880 |
520256 | 패딩을 사러왔는데.. 5 | 패딩 | 2016/01/20 | 2,665 |
520255 | 주식시장이 6 | 시장 | 2016/01/20 | 2,550 |
520254 | 세탁기 안 얼게 하려면 어찌해야 하나요? 15 | 돌돌엄마 | 2016/01/20 | 3,538 |
520253 | 르쿠르제에 콩나물밥 해먹기 성공했어요. 4 | ;;;;;;.. | 2016/01/20 | 2,001 |
520252 | 통장압류의 위험! 단위농협과 새마을금고를 사용하라는 이유 2 | 힌트 | 2016/01/20 | 8,1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