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한민국 곳간을 열어보니!

그 많던돈이 어디에? 조회수 : 1,004
작성일 : 2015-09-08 11:21:51

차기 대통령에 물려줄 건..나라빚 730조[2016 예산] 임기 말까지 균형재정 달성 불가능..국가채무도 40% 넘겨

"다음 대통령에게는 재정 부담을 넘겨주지 않겠다" 때문에 역대 대통령들은 누구나 임기 내 균형재정 달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97년 IMF 외환위기를 넘기느라 재정적자가 크게 늘어났던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임기 말인 2002년에는 관리재정수지를 흑자로 전환시켜,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곳간 열쇠를 넘겨줬다.

노무현 전 대통령 또한 임기 내내 적자재정을 유지했지만, 임기 말인 2007년에는 흑자 재정을 만들어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키를 넘겼다. 이때 나라 곳간에는 쓰고 남은 세금, 즉 세계잉여금도 16조5천억원이 들어있었다.

박근혜 대통령 (사진=청와대 제공)

물론 이명박 전 대통령도 지난 2011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임기 내 균형재정 달성을 천명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쏟아 부었던 재정을 임기 내에 제자리로 돌려놓겠다는 선언이었다.

(그래픽=스마트뉴스팀)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의 임기 내 균형재정 달성 약속은 결국 지켜지지 못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임기 말인 2012년 관리재정수지는 17조4천억원 적자였다. 적자규모가 GDP 대비 1.3%를 기록했다. 게다가 이듬해 박근혜 정부에게 넘긴 세계잉여금조차 마이너스 1천억원이었다.

비록 적자재정을 물려받았지만 박근혜 대통령도 취임 첫 해인 지난 2013년 5월, "임기 내에 균형재정을 달성하고 국가채무는 30% 중반 이내에서 관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지키지 못할 약속이 될 가능성이 거의 확실해지고 있다.

정부가 8일 내놓은 ‘2015~201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박 대통령 임기 말인 2018년 관리재정수지는 25조7천억원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가채무 비중도 GDP대비 41.1%로 30%대 중반은 커녕, 당장 내년부터 그동안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40%의 천정도 뚫릴 것으로 예측된다.

3년 연속 세수결손이 발생하면서 이를 국채로 메꾸는 상황이 발생했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재정지출까지 대거 늘리면서 국가채무에 부담이 커지기 시작했다. 게다가 경제성장률마저 예상보다 저조한 3%대로 내려가면서 재정여력에 빨간불이 켜졌다.

그나마 2018년 재정상황 예측도 재량지출을 2019년까지 해마다 0.7%씩 줄여나가고, 엄격한 재정총량 관리와 각종 재정개혁이 실현됐을 경우를 가정·한 수치다. 내년에 총선, 내후년 대선을 앞두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과거에도 그랬듯이 재정적자와 국가채무가 계획보다 훨씬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농후하다.

고령화는 지금보다 더 심각해져 있을 것이고, 복지수요 또한 더 급증할 것이 뻔한 상황에서, 차기 대통령은 25조7천억원의 관리재정수지 적자와 730조원이 넘는 국가채무를 넘겨받아 임기를 시작하게 될 전망이다.

[CBS노컷뉴스 장규석 기자] hahoi@cbs.co.kr

IP : 50.76.xxx.4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4000 애들한테니가먹은건 니가 설거지하라고 시켰어요 ㅎㅎ 5 ㅇㅇ 2015/10/25 1,353
    493999 주방 환기및 개수대 냄새, 락스 사용 문제.. 1 .. 2015/10/25 1,511
    493998 전 싱글에 친구 몇명 없어요. 2 가을 2015/10/25 2,122
    493997 어린이집에서 친구가 밀쳐 머리를 부딪혔다는데 문제제기 해야할까요.. 5 ,, 2015/10/25 1,011
    493996 책과 신문을 멀리했더니 2 다시 2015/10/25 1,764
    493995 잠시 오피스텔에 살아야 하는데요. 3 .. 2015/10/25 1,317
    493994 헬리코박터 제균제 드시고 역류성식도염 좋아진분계세요? 8 위염 2015/10/25 3,992
    493993 여성은 혼인 하면 부모님 호칭 왜 달라지죠? 9 핑퐁 2015/10/25 1,659
    493992 아이가 우는데 자꾸 웃음이 나요 18 엄마 2015/10/25 5,285
    493991 재료를 버리지 않는 알뜰 레시피..간단하고 맛있어요 1 요리좋아 2015/10/25 1,473
    493990 암기가 아니라 주입이 문제 아닌가요 1 대화 2015/10/25 773
    493989 거실에 폴딩도어 혹은 포켓도어 하신분들 춥지 않으신가요? 2 인테리어 2015/10/25 3,549
    493988 복면가왕은 보고싶지만 저처럼 김구라땜에 안보시는 분 계시는지? 8 ... 2015/10/25 1,816
    493987 해외 나가면 중국인으로 보는데 왜 그럴까요? 31 ..... 2015/10/25 4,718
    493986 정치권, 역사교과서 국정화 총력 여론전 돌입 샬랄라 2015/10/25 336
    493985 잘 상하는 음식 가르쳐주세요. 4 잘잘 2015/10/25 1,586
    493984 역사학자 전우용님 트윗 3 진짜종북 2015/10/25 989
    493983 치매 걸린 환자분이랑 일반 요양원 가는분들 요양원이랑 틀린가요... 1 .. 2015/10/25 1,546
    493982 12월 여행지 추천바래요 1 여수 2015/10/25 1,230
    493981 부모님이 하시려는 가게 권리금, 월세 좀 봐주세요 7 고민 2015/10/25 1,558
    493980 올해 43 싱글.. 진로 바꾸고 싶어요 수의대 약대 36 올해 40싱.. 2015/10/25 12,461
    493979 물고기 키우시는분있으세요 1 2015/10/25 465
    493978 핸드폰 수신시 상대방의 문자 내용이 2 소오름 2015/10/25 777
    493977 고등학원에 대한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2 oo 2015/10/25 1,195
    493976 저 이러다죽는거 아닐까요? 이상해요 49 중독 2015/10/25 32,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