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살 아기 티비 보기, 제가 너무 무리하는 걸까요?

봄감자 조회수 : 5,437
작성일 : 2015-09-05 03:05:16
결혼 전 저희 아버지는 집에서 티비를 잘 못보게 했어요
가요, 개그, 예능 프로나 드라마는 말할 것도 없고,
뉴스도 가족들이 함께 보기 불편한 성폭행, 외 끔찍한 사건들 나오면 바로 돌려버리시고,
보통은 디스커버리 채널이나 내셔널지오그래픽 같은 것만 틀어 놓으셨죠. 

실제로 그런 프로그램에 취향이 있긴 하셨지만, 
자식들에게 본인이 생각하기에 바르고 정숙하고 모범적인 이미지만 보이고 싶어하신 것 같아요. 
저희 집이 단독 2층 집이었는데, 가끔 목말라서 물 마시러 1층 내려가보면 아버지는 개콘 보고 계시는 
티비에 대한 이중적인 모습이 있으셨죠. 

한 번은 어떻게 하다가 가족들 다 모여서 개그 프로그램을 봤는데 
약간 야한 농담? 개그를 보고 저랑 오빠랑 웃었더니, 저런걸 보고 웃는다며 방으로 올라가라고 화내신 적도 있고. (중, 고딩때 쯤)

요지는, 제가 지금 2살 아기를 키우고 있는데, 
갑자기 티비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가 아빠를 닮은 건가 싶은 거에요. 
아기 어린이 집에 보내고 혼자 있을 때는 고삐 풀려서 티비 틀어놓고 쓸 데 없이 시간 죽이기도 하는데
아기랑 있을 때는 극단적으로 안 보려고 하는 모습이요. 
(일주일에 3일은 출근 해서 어린이집 보내고 있어요)

처음엔 어린 아이에게는 티비나 스마트폰 너무 일찍부터 노출되지 않게 하라고 육아서에서 하도 그러니까
아이랑 있을 때 제가 주도적으로 티비를 튼 적은 한 번도 없는데,
저랑 육아관이 일치하지 않는 남편은 자기가 보고 싶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아이가 있어도 티비를 봅니다.
우리 어릴 때 티비 보고 자랐어도 잘 자라지 않았느냐며. 

저의 불만은 8시쯤부터 아기 재우는 분위기 만들려고 마루에서 아기랑 조용히 책 보거나 놀게 하는데, 
남편은 안방에서 티비 보고 있어요. 
몇 번이나 아기 자기 전에는 티비 보는 거 자제해 달라고 했는데, 한 소리하고 며칠 지나면 또 그렇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아기도 저랑 놀다가 아빠한테도 갔다가 결국 티비 앞에 앉게 되고
저도 애 따라서 안방 갔다가 티비 보게 되고 
문제는 저는 한 번 티비 보기 시작하면 스스로 티비 끄는 걸 잘 못 한다는 거에요. 
그럼 거의 9시까지 그냥 뉴스 같은거 좀 보다가 남편이 애기 재워야지 하면 
그때서야 아기 방에 데려가 재웁니다. 

제가 너무 티비에대해 예민하게 생각하고 있는 걸까요?
아기가 하루에 1시간 미만으로 티비 보는 정도는 괜찮은 걸까요? 
IP : 211.197.xxx.140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5.9.5 3:29 AM (220.126.xxx.194)

    아기에겐 아기용 프로를 틀어주셔야죠. 뽀로로나 구름빵이나 ebs에서.틀어주는 유럽 유아애니 같은 것들이요.

  • 2. 아기용
    '15.9.5 3:41 AM (120.16.xxx.125)

    아기용 틀어주시던가 아예 보여주질 마시고.. 차라리 아이패드로 아동용 같이 하세요, 퍼즐이나 책 앱도 있으니까요. 너무 안보여 줘도 그렇지만 보여준다면 눈높이 맞는 거 보여주셔야죠

    남편한테도 잘 얘기 해보세여. 그냥 주말에만 같이 놀게 하시던가요.

  • 3.
    '15.9.5 6:47 AM (223.33.xxx.50) - 삭제된댓글

    그냥 다른 애기기 하지만 전 어렸을때부터 티비 자유롭게 봤어요. 밤새서 티비 보고 개임해도 터치 안하심;;; 아빠도 무협 비디오 20개씩 빌려와서 저희랑 보고 ㅎㅎ

    근데 고등학교쯤 되니까 뉴스랑 드라마 한두개로 줄더니 대학 이후로는 뉴스만 보고 이젠 뉴스도 인터넷때문에 잘 안 봐요.
    반면에 티비 못보게 한 친구는 고등학교때 쯤부터 풀어지더니 온갖 드라마 다 보기시작하더라고요. 특히
    고3때 많이 힘들어했음...

    이런건 다 극단적 예이지만 뭐든 너무 강박적으로 하면 좋지 않은거 같아요. 조금 마음 편하게 살아도 큰 문제 없어요^^

  • 4. ㅇㅇ
    '15.9.5 7:38 AM (182.212.xxx.23)

    저는 티비 많이 보고 자랐는데
    애는 못 보게 할라고 생각은 합니다
    저 어릴때야 자극적인 프로도 없었고
    채널도 적었지만 이제 아니니까요..
    어릴 때 중독되면 안될까봐 저는 안보여 줄 거지만
    아이 할머니가 보시므로 물 건너갔네요 ㅎㅎ

  • 5. 묻어서 질문이요
    '15.9.5 8:56 AM (211.36.xxx.57)

    울딸은 아기 티비보면 눈나빠진다고 일체 티비를 못틀게해요
    티비만 틀면 아가가 넋놓고 본다구요
    아직 9개월인데 만화도 틀어주면 안되나요?
    다음주부터 아기를 봐주기로했는데 이런것도 걱정이네요

  • 6. 윗님
    '15.9.5 9:00 AM (59.9.xxx.181) - 삭제된댓글

    애 봐주시기로 하셨으면 육아방법 터치 안하도록 약속 받으세요. 아님 진짜 서로 피곤하고 감정만 쌓이고 그렇습니다.

  • 7. Aa
    '15.9.5 9:05 AM (119.196.xxx.51)

    티비등 영상매체 그냥 안볼수 있을때까지 안보는게 좋아요 아이패드고 나발이고 유아용 프로그램이고 뭐고 안보여줄수 있음 안보여주는게 맞아요
    고기서 얻는거보다 잃는게 더 많음

  • 8. 돌돌엄마
    '15.9.5 9:33 AM (211.36.xxx.189)

    아이고 9개월은 티비 보면 안돼요. 눈나빠지는 게 문제가 아니라 뇌발달에 문제 생겨요.

    원글님, 남편한테 계에에에속 얘기하세요. 저희 남편도 그랬는데 계속 얘기하니까 바뀝니다..

  • 9. ...
    '15.9.5 9:44 AM (59.15.xxx.240)

    친정 아버님은 .. 사람마다 다큐만 진지하게 보고 그외 개그나 드라마는 죄악시 하는 타입이 있어요 거기에 그걸 남에게 강요하는 사람도 있구요

    남편은 그냥 피곤하니 암 생각 없이 멍 때리느라 티비 보는 거 아닐까요 근데 그 말은 틀려요 우리 땐 다들 티비 보고 자라도 문제 없었다는 말이요 우리 땐 영상 외에 선택할 것이 많았어요 요즘은 영상 과잉 노출이라 통제가 필요해요

    아가는 가급적 영상 노출하지 마세요
    해도 꼭 같이 따라하거나 참여해서 쌍방소통을 보여주세요

    글구 원글님도 넘 죄책감 갖지 마세요 ^^

  • 10. ㅇㄹ
    '15.9.5 12:48 PM (220.126.xxx.194)

    한국 유아애니들은 다 교육요소 포함하고 있고 도움되는 것임 요즘 세상에 티비는 바보 상자니까 보지 마, 하는 것도 이상..

  • 11. 티니
    '15.9.5 1:49 PM (211.36.xxx.118)

    전문가 견해를 말씀드리자면
    만 24개월 이전 아기는 tv에 노출시키지 말라, 가
    미 소아과협회 권고사항입니다.
    가능하다면 3돌 이전에도 노출시키지 않는것이 좋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8093 원영이 새엄마,아빠 - 이해되지 않는 점 9 이상해요 2016/03/13 4,341
538092 알파고랑 고스톱치면 인간이 많이 이기지않을까?? 14 ㅇㅇ 2016/03/13 2,349
538091 원영이는 계모의 폭행이 무서워서 욕실 바닥에 누워 있다가도 문이.. 28 와 ~~ 2016/03/13 14,565
538090 .. 29 아빠 2016/03/13 5,354
538089 온돌마루 견적 1 eun 2016/03/13 1,013
538088 아들 바둑학원 보낸 일이 생각나네요 2 우주 2016/03/13 2,044
538087 보기도 싫은 새누리당 선거홍보 문자 5 총선홍보문자.. 2016/03/13 665
538086 초등 수학 집에서 몇학년까지 봐줄 수 있을까요? 10 .... 2016/03/13 3,010
538085 대국 마치고 걸어나가는 이세돌 16 . 2016/03/13 8,836
538084 알파고가 일부러 봐준거 아닌가 31 ㅇㅇ 2016/03/13 18,330
538083 아까 이세돌사범 인터뷰에서 통역하던분 누군가요? 36 바둑 2016/03/13 9,035
538082 이세돌 인물도 훈훈하네요^^ 10 승부와 상관.. 2016/03/13 4,219
538081 급질) 용산아이파크몰 초등 책가방 살만한곳 문의드려요 1 투딸 2016/03/13 584
538080 제 사주에서 화가 필요하다던데.. 4 사주 2016/03/13 4,861
538079 손혜원 “정청래, 무소속 출마 돕겠다?” 해당 행위 논란 6 웃기고있네 2016/03/13 1,674
538078 한샘 수납침대 아임빅 써보신분 계세요? 4 싱글침대 2016/03/13 2,981
538077 요즘 티비 광고에 나오는 어린이의자 아시는분 3 미도리 2016/03/13 703
538076 쿠바산 폴리코사놀10 이라는 건강식품을 아시나요? 1 쿠바산 2016/03/13 2,824
538075 이세돌형 이차돌 ㅎㅎ 32 퍼온글 2016/03/13 30,402
538074 고 1인 아이 국어 교재에 대해서 여쭤볼께요. 2 여쭤요 2016/03/13 1,108
538073 71년 김대중 전 대통령 장충단 연설 전문 1 필리버스터 2016/03/13 936
538072 제가 고생을 덜 했나 봐요... 1 ,,, 2016/03/13 1,379
538071 그럼 문재인님이 속으신 거에요? 12 설마 2016/03/13 2,102
538070 유학가는 아들 짐 싸는데 조언 좀 해주세요.. 17 삐약강아지 2016/03/13 2,616
538069 이세돌, 내가 승리한것. 인간이 승리한것 아냐.... 1 이시각이세돌.. 2016/03/13 3,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