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아파트 계약 처음입니다. 이 집의 문제점은 없나요?

전세꼐약 조회수 : 2,111
작성일 : 2015-09-01 16:10:58

외국 살다 처음으로 아파트 전세 계약합니다. 부동산 용어도 잘 모르는데 부동산 사장님은

급하게 계약서에 싸인하라고 합니다.

일단 제가 전세 얻으려 하는 집은 매매가 4억2천에 전세 3억7천이고 융자가 1억8천 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주인아주머니가 중도금으로 2억9천 미리 달라고 하네요...

이럴 때 어떤 문제점도 없는 건가요? 일단 부동산 용어가 처음이라 잘 알아듣지도 못하는데 바로 싸인부터 하라고 해서 급히 여기에 질문 올립니다.

같이 사는 룸메이트에게 물으니 집주인 직업이 확실하면 괜찮다고 하는데 집주인 직업을 물어볼 수도 없고 ...

부동산 말로는 집주인은 사업을 구상중이라 현재는 집에 계신다고 합니다. 주변에서 전세금도 날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니 이런 상황에서 중도금 2억9천 미리주고 나머지는 잔금날 주고.... 그럼 되는건가요?

또 전세 계약 시 주의할 점이 뭐가 있을까요? 외국에 오래 살다 귀국했고....... 또 태어나서 처음으로 아파트 계약하는 거라.. 아는 것이 없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는 아무문제 없이 그냥 계약하면 되는 건가요?

전세 계약 시 주의할 점이 있을까요?? 에고 처음 계약이라는 걸 하니 하나도 모르겠습니다..도와주세요...

글이 두서없어 죄송합니다 T.T

 

IP : 122.32.xxx.4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5.9.1 4:14 PM (49.142.xxx.181)

    전세금하고 융자금 합하면 매매가를 넘어가는데
    무슨 무작정 중도금을 달래요?
    중도금 주는 동시에 융자를 갚는 조건이면 모를까요..
    부동산에 다시 알아보세요.
    전세금하고 융자금 합하면 매매가를 넘어가는데
    중도금 주면 그 중도금으로 융자 갚는거냐고요. 중도금 주는 동시에 그 자리에서 은행 직원 불러서
    융자 전액 갚는거냐고..

  • 2. 플럼스카페
    '15.9.1 4:15 PM (122.32.xxx.46)

    제가 아는 선에서만 말씀드릴게요.
    1. 그 집 계약하지 마세요.
    전세금 융자금이 매매가의 70퍼센트가 넘으면 위험한 집으로 봅니다. 심지어 그 집은 그걸 넘어서지요.
    2. 매매의 경우는 중도금이 있습니다만, 전세는 중도금 잘 안 해요. 아주 거액인경우는 있는것 같던데 말씀하신 금약정도면 계약금, 잔금(이삿날) 그게 끝이에요.
    3. 다시 강조해요. 그 집 계약하지 마세요. 외국서 오신단 말씀 하셨나요? 부동산이 이상해요.
    다른 부동산 알아보셔요.

  • 3. ..
    '15.9.1 4:15 PM (118.36.xxx.221)

    중도금으로 대출갚는다면 문제없지않나요.
    물론 대출금 상환시 같이가셔야해요

  • 4. 플럼스카페
    '15.9.1 4:20 PM (122.32.xxx.46)

    저때문에 헛갈리실까봐...
    만약 집주인이 원글님 전세금 받아 융자금 갚겠다하시면 계약서에 반드시 기재하시고 그거 갚을때 은행에 동행하셔서 거기서 돈 치르세요.
    그런데 중도금 달라고 채근하는데서 전 일단 별로여요.

  • 5. 오잉이이잉
    '15.9.1 4:32 PM (121.151.xxx.198)

    부동산을 아여 다른곳으로 바꾸세요
    그 집 계약마시구요

  • 6. 깍뚜기
    '15.9.1 4:59 PM (175.223.xxx.241)

    그 집은 절대절대 하지 마세요.
    -시세와 전세 차가 적은데 융자가 너무 많습니다
    -부동산이 뭔데 빨리 하라마라
    -저 정도 전세에 중도금 요구는 비상식
    만약 전세금으로 융자 일부 상환하는 거면
    계약서에 특약으로 잔금날 감액등기를 하여 일주일내로 완료하겠다, 불이행시 계약서에 따라 책임
    이렇게 쓰시고 잔금(이사일)날 은행 동행하셔야는데, 원글님 상황에서 복잡하실 듯 합니다.

    그 집 말고 융자 없거나 1억 미만 선에서 다시 찾아보세요~~

  • 7. 깍뚜기
    '15.9.1 5:00 PM (175.223.xxx.241)

    다른 집 구할 때도 외국생활 말씀하시지 말고, 사정 잘 아는 어른과 함께 하세요. 딴 부동산 가보시고요

  • 8. 와..
    '15.9.1 5:23 PM (218.234.xxx.133)

    집주인 도둑놈, 부동산 도둑놈!!!!!!!!!!!!!!!!!!!!!!
    원글 두번 읽었어요. 이게 매매인가 하고요. 무슨 전세에 중도금을 달래요??????????????????????????

    그리고 매매가 4 억 2 천에 전세 3 억 7 천이고 융자가 1 억 8 천 = 이거 전세가 3억 7천인 게 희한한 거에요.
    혹시 전세금을 받아서 융자 상환하겠다는 말을 못 들으셨나요?
    그렇지 않으면 저런 식 전세는 나오지도 않고 부동산에서도 말 안된다고 하는데???

    융자가 1억 8천 있는데, 전세금을 받아서 그 융자를 완전히 상환하겠다~ 이러면 말이 되는 거에요.
    즉 4억 2천 매매가에 전세 3억 7천인데, 전세금 받아서 기존 융자(1억 8천)를 상환하겠다 = 무융자 전세로 만들겠다 이래야 말이 됩니다.

    4억 2천 매매가에 전세 3억 7천이면 차액 겨우 5천 남지만 그게 요즘 전월세 실상이거든요.

    그런데 그렇지도 않고 전세 3억 7천에, 융자 1억 8천을 그대로 둔다고 하면 이건 정말 집주인이 도둑놈 중에 도둑놈인 거에요. 지금 전세 주는 집들, 융자 껴서 집값 딱 맞출 정도로 나오거든요.
    1억 8천 융자를 그대로 둔다고 하면 그 집은 많이 받아도 2억 3천 전세가 최고에요. 그나마 사람들 안들어가죠. - 무융자에 3억 8, 9천이라면 들어가도, 융자가 있으면서 2억 3천은 인기 없어요.

    제 생각에는 전세금을 받아서 융자를 상환하는지를 확실히 알아보셔야 할 거 같아요. - 전 융자 상환하지 싶은데...

    그 융자를 그대로 두면 절대 들어가서도 안되는 집이고,
    그 부동산 자체를 이용하지 마세요! 저런 집 소개해주는 부동산은 진짜 수수료만 탐내는 도둑놈임.

    게다가 요즘 매매가가 높아져서 전세가도 높아졌는데 아무리 높아도 전 100% 전세( 융자)는 아닌 것 같아요. 전세 나오는 기준이 매매 최고가를 기준으로 해서 70, 80% 잡는데 집값이 조금만 떨어져도 전세가 매매가 웃돌아버릴 수 있게 된 상황이라서요. 85에서 최대 90%

  • 9. 한 텀 월세
    '15.9.1 7:39 PM (115.21.xxx.219) - 삭제된댓글

    사세요.
    보증금 가능한 낮은 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1977 시간 제한 있는 시험 볼때요. 1 회사 면접 2015/11/20 753
501976 성인인데 초딩문법책으로 공부해도 될까요 5 영어회화 2015/11/20 1,470
501975 엄마가 뭐길래 보면서 황신혜 성격 어때보여요..?? 11 ,, 2015/11/20 8,684
501974 4살 아이에게 과자같은거 매일 주는거 완전 안좋은거죠?? 9 고민 2015/11/20 2,744
501973 삼성전자 직원 백여명 졸지에 기러기 아빠된 사연은 7 역시 2015/11/20 5,919
501972 수시고 정시고 별루네요 싫어요 2015/11/20 1,747
501971 등용문이 좁다..란말뜻좀 설명해주실분 4 ㅠㅠ 2015/11/20 1,217
501970 서준이- 표정이란 말을 알 나인가요? 9 ㅗㅗ 2015/11/20 3,412
501969 긴머리 허리까지 기른 남자 허리오는머리.. 2015/11/20 1,331
501968 눈가 주름에 약간의 메이크업 효과가 있네요. ㅁㅁ 2015/11/20 1,191
501967 루이비통 브레라 색상 ... 2015/11/20 860
501966 이대호 역전타 쳤는데 일본에서 눈총줄까요? 4 어제 야구 2015/11/20 2,324
501965 일베 주장 따라 반복하는 새누리 김진태 김도읍 4 일베새누리 2015/11/20 955
501964 허리강화운동 추천바랍니다 3 유투 2015/11/20 1,816
501963 캐나다 여행 1 캐나다 2015/11/20 1,078
501962 [지금주방]파스퇴르저지방요거트로 요거트 만들면 실패할까요? 3 수제요거트좋.. 2015/11/20 934
501961 포장이사 때 고릴라랙 분해해놔야 할까요? 2 ... 2015/11/20 1,911
501960 김장할때 매실액을 넣을까? 하는데 14 김장 2015/11/20 4,707
501959 어깨? 목? 이 너무 아픈데 한의원 갈까요? 10 ㅜㅜ 2015/11/20 1,856
501958 엑셀 고수님! 서로 다른 탭을 동시에 열 수 있나요? 4 ... 2015/11/20 1,332
501957 우울증 등으로 정신과약 드셔부신 분들 질문 좀 할게요~ 2 ... 2015/11/20 2,348
501956 요즘 중학교에서 인기있는 아이들은요? 3 남자애들 2015/11/20 1,923
501955 서초: 교대역-사평로 라인.. 살기 어떤가요? 5 이사고민 2015/11/20 1,956
501954 청주에 있는 에른스트**대안학교 아시는분 7 고민 2015/11/20 3,046
501953 박정희 대 정의의 싸움..유승민 박해는 정권 재창출용 1 언플용각본 2015/11/20 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