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02년 연평해전 유감을 사과가 아니라고 했던 조선일보

이중적잣대 조회수 : 1,441
작성일 : 2015-08-25 14:22:51
알바들이 연평해전 영화가 개봉되자..2002년 김대중대통령이 북한한테 사과도 받아내지 않았다고 비난하면서 
글쓰고 다닌거 보신적 있으시죠? 여기 82쿡에도 썼습니다. 찾아보면 있어요. 
그런데..그들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2002년 당시 북한은 주체가 분명한 유감표현을 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조선일보는 유감은 사과가 아니라고 펄쩍 뛰었는데...

충격적인것은 천안함때..이명박이 사과로 보이는 절충안을 구걸했다고 북한이 폭로~

남북 합의문 2항의 비밀- 북한 유감을 보는 이중적태도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38609


 가장 최근의 일로는 지난 2002년 6월 말, 서해에서 발생한 '제2차 연평해전'에 대해서 '유감' 표명을 했다.

그 당시에는 지금과 같이 '무박 4일' 철야협상을 하지도 않았다. 당시 김대중 대통령은 북한 측에 세 가지를 요구했다. 사과요구·책임자 처벌·재발방지가 그것이었다. 이에 북한은 전화통지문을 통해 유감을 표명했다.

김대중 정부는 "북측의 명백한 사과와 유감 표명으로 간주한다"고 밝히며 수용했다.

2002년 북한이 표명한 유감의 수준을 보자. 북한은 "얼마 전 서해 상에서 우발적으로 발생한 무력충돌 사건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하면서 북남 쌍방은 앞으로 이러한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간주한다"고 밝혔다.

김대중 정부의 '사과로 간주한다'는 수용 입장이 나오자 <조선일보>는 사설을 게재했다. 제목이 압권, '이것이 사과인가?'였다.

이 신문은 사설에서 북측의 '유감 표명'에 대해 '도저히 사과라고 볼 수 없다'면서 북한의 전화통지문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힌 김대중 정부를 '참으로 한심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현 정부가 자신들의 체면과 입장을 살리는 데만 급급해 북한의 '얼버무린 수사학' 하나로 서해교전을 없던 일로 넘긴다면 이것이야말로 사태 재발을 부를 수도 있는 우려할 만한 일이 될 것이다"고 경고했다.(중략)

2015년 남북 합의문에 등장하는 '유감'과 2002년 전화통지문에 등장하는 '유감'에 대한 의미를 <조선일보>는 완전히 다르게 부여했다. 연평해전 당시의 유감을 '이것이 사과냐'고 맹렬히 비난한 이 신문은 이번 회담의 '북측 유감'에 대해서는 '처음으로 의미 있는 사과 표명을 수용했다'고 의미를 한껏 부여했다.(중략)

'사과'를 받아냈다는 남북 합의문을 들여다보자. 제2항에 '유감'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유감을 표명한 주체는 북한이 분명하다. 그런데 무엇에 대한 유감 표명인가. 그들이 합의한 유감의 내용은 "남측지역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로 남측군인들이 부상을 당한 것에 대하여"이다. 이는 사과인가?

북한은 문장 그대로 남측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인류애적 관점'의 '유감'을 표명했고, 우리 정부는 이를 수용했다. 북한은 지뢰 폭발사고를 자행한 것이 자신들임을 명시하지 않았다.

이는 북한이 천안함과 관련해 '이명박 정부에서 요구했다'며 폭로했던, '북측에서 볼 때는 사과가 아니고 남측에서 볼 때는 사과처럼 보이는 절충안'과 무엇이 다른가.

IP : 222.233.xxx.2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6439 저학년만 인터스쿨이나 영어권학교 다닌 경험이 효과적이셨던 분 8 . . 2015/11/02 1,115
496438 아모레 퍼시픽..ㅠㅠ 8 속상 2015/11/02 3,786
496437 자녀가 대학 기숙사에 있는 분들~~ 4 기숙사 2015/11/02 2,115
496436 EI, "국정 교과서 철회 촉구" 긴급서한 5 학부모 2015/11/02 817
496435 내년에 아이가 6살이 되는데 어떤 교육이 필요할까요? 8 ㅇㅇ 2015/11/02 1,457
496434 경주 혹은 감포쪽 사시는 분들요.... 궁금타 2015/11/02 618
496433 뉴스나 신문기사 궁금해요 2015/11/02 406
496432 서울에 특색 있는 소고기집 알려주세요~ 4 ㅎㅎ 2015/11/02 990
496431 인사동안가고 이마트에서 외국인선물 아이템은 없을까요? 8 선물 2015/11/02 1,639
496430 국제선 5시 공항 도착이면 6시에 마중 나가면 될까요? 6 PH 2015/11/02 1,444
496429 접질러서 발등이 부어 올랐는데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14 .... 2015/11/02 4,904
496428 등받이 전기방석 산거 후회되네요 1 ㅇㅇ 2015/11/02 1,843
496427 온수매트 쓰시는분 후기어떤가요 3 온수 2015/11/02 1,454
496426 보온병과 텀블러 어떻게 다른가요, 6 모모 2015/11/02 2,784
496425 혼자사는여자 입주선물~~~ 3 그녀 2015/11/02 1,628
496424 이사를 가야하는데 아이때문에 고민입니다. 11 직장맘 2015/11/02 1,997
496423 오랜만에 주말에 여행가기로 했는데 비가 온대요ㅠㅠ 5 가을 2015/11/02 1,492
496422 제주도 여행지 추천 부탁드려요 8 핼프미 2015/11/02 2,031
496421 신랑이 넘넘 피곤해 합니다. 영양제 아시는거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3 . 2015/11/02 2,358
496420 사바티에 브랜드 어떤가요 3 ,,, 2015/11/02 1,717
496419 박근혜의 말은 박근혜로 반박할 수 있다 세우실 2015/11/02 567
496418 그들은 분명히 고의로 이 시간까지 방송을 했을 것이다 1 박수현군 2015/11/02 902
496417 너무 묽게 된 고추장 어떡하나요? 3 난감 2015/11/02 1,803
496416 아이 폐렴 걸렸을때 학교에 보내시나요? 13 폐렴 2015/11/02 5,398
496415 여행고민..화와이&서유럽 12 소맘 2015/11/02 2,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