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은 대학의 죽음이다

물빛 조회수 : 807
작성일 : 2015-08-21 16:37:01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성명서>

 

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은 대학의 죽음이다

- 대학자치와 교육자치 회복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지난 8월 17일 부산대학교 故 고현철 교수가 대학 민주화를 주장하며 투신하는 가슴 아픈 사건이 일어났다. 이는 부산대학교의 학내 문제만으로 볼 수 없으며 한국의 교육정책 전체를 되돌아보게 하는 중대한 사건이다.

 

오늘날 정치화하고 상업화한 대학은 더 이상 학문과 지성의 전당이라고 볼 수 없고, 양심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생산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다. 이명박 정부 이후 교육부는 이른바 국립대학 선진화 방안이라는 미명 하에 대학의 자율성과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해 왔다. 대학민주화의 산물인 총장직선제를 기형적인 간선제로 바꾸고, 성과급적 연봉제를 실시하였으며, 이 모든 정책을 철저히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지표와 연계시켜, 대학을 종속시켜 왔다.

 

총장직선제는 자치에 따른 쟁점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는 대학민주화노력의 산물이다. 직선제의 장단점과 무관하게 적어도 지난 수년간 대학구조조정 정책과 맞물려 이루어져온 직선제 철회 시도는 명백하게 대학의 민주화에 역행하는 것이다. 각종 대학지원정책, 대학평가 등으로 인해 대학들은 학문과 교육의 자율성을 심각하게 통제받으며 국가의 관료기구에 종속되고 있다. 특히 대학의 고유한 학문 교육 기능을 무시한 획일적인 대학평가와 관리주의 중심의 교수평가 정책 등으로 인해 한국의 대학은 수준 높은 학문연구와 교육 공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잃어버린 지 오래다. 대학사회에 만연한 관리주의와 불안정노동은 경쟁과 효율의 논리 속에서 출구를 찾기 어려운 지경이며, 대학구성원들은 주체로 나설 수 있는 동력을 상실하고 있다.

 

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은 이러한 한국 대학의 총체적 질식과정에 대한 경고이다. 대학 내 구성원의 민주주의를 도외시한 관료적 통제는 한국 교육의 미래를 극히 어둡게 한다. 신자유주의적 관리주의와 국가통제로 많은 대학들에서 의사결정의 민주화는 제한되고 있다. 학문사상의 자유에 기초한 대학의 공공성이 상실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정부의 대학에 대한 통제는 비단 대학에서의 민주주의를 원점화하려는 시도일 뿐 아니라 교육자치 전체를 위협하는 것이기도 하다. 교육감 직선제 폐지 논의 등 투쟁과 희생으로 이루어낸 형식 민주주의를 폐기하려는 시도들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오늘날의 한국 대학은 날카로운 지성 대신 통제와 관리, 무관심과 체념이 난무하고 있다. 자신의 목숨을 한국 교육의 희생양으로 바친 故 고현철교수의 죽음을 통해, 대학사회의 부끄러운 현주소를 낱낱이 드러내고, 한 개인의 고귀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학문․교육의 자율성과 민주주의를 되찾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 사회에서 민주주의의 성과들을 되찾고 역사를 다시 앞으로 이끌어나가는 성찰과 행동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2015.8.21.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IP : 58.234.xxx.24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학문의 상아탑
    '15.8.21 4:47 PM (113.131.xxx.41) - 삭제된댓글

    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대학도 경쟁력이 필요하지요. 그러나 줄세우고 통제하고 과정보다는 성과위주의 평가등등이 만연하면서 기초학문등이 고사되고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씹습니다.. 대학이 대학다워야죠.

  • 2. 학문의 상아탑
    '15.8.21 4:48 PM (113.131.xxx.41) - 삭제된댓글

    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대학도 경쟁력이 필요하지요. 그러나 줄세우고 통제하고 과정보다는 성과위주의 평가등등이 만연하면서 기초학문등이 고사되고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씹습니다. 대학은 대학다원합니다.

  • 3. 학문의 상아탑
    '15.8.21 4:49 PM (113.131.xxx.41)

    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대학도 경쟁력이 필요하지요. 그러나 줄세우고 통제하고 과정보다는 성과위주의 평가등등이 만연하면서 기초학문등이 고사되고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깝습 니다. 대학은 대학다워야 합니다.

  • 4. 물빛
    '15.8.21 5:10 PM (58.234.xxx.245)

    예, 진정한 학문 연구와 교육은 대학 자율에 맡겨야 합니다.
    대학 안에서 만큼은 지성과 민주주의가 작동되어야 합니다.

  • 5.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15.8.21 9:46 PM (1.241.xxx.40)

    참으로 마음 아프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고 고현철교수의 죽음이 헛되지 않아야 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6929 이번주 인간극장.. 8남매.. 소재 식상해요. 30 .. 2015/08/27 9,552
476928 멀리하고싶은데 자꾸 연락오는 지인 12 .. 2015/08/27 4,518
476927 어제 라스 너무 웃겼어요.. 16 2015/08/27 6,187
476926 인분 교수와 제자들, 법정에서 혐의 모두 인정 세우실 2015/08/27 1,203
476925 남자시계 어떤 걸로? 9 40대 2015/08/27 1,871
476924 제주 여행 첫날 5세 딸과 버스여행 가능할까요? 6 제주 여행 2015/08/27 1,106
476923 파리(유럽)에 그렇게 소매치기가 많은가요? 37 유럽,파리 2015/08/27 7,861
476922 지디는 기집애처럼 생겨가는데 군대 한방이면 8 아직 2015/08/27 4,938
476921 정말힘들때 친정 부모형제 전혀 왕래없었던분들 12 사업 2015/08/27 3,483
476920 진짜 좋아하는 동생이긴 한데 돈을 너무 안내요. 18 -- 2015/08/27 4,766
476919 백내장 수술 후, 8년 되셨는데, 요즘도 안약 넣으세요. 안약에.. 4 백내장문의 2015/08/27 2,135
476918 외국은 밥먹고 계산할때 먼저 separate??라고 물어봐줘서 .. 17 .. 2015/08/27 3,036
476917 82 미용실 재능기부 다녀온 후기 6 ㅇㅇ 2015/08/27 1,751
476916 땅을 사면서 파는 자의 양도세를 사는 사람이 대신 내줄 경우 증.. ..... 2015/08/27 867
476915 애니어그램 9번 타입 있으신가요? 11 ... 2015/08/27 4,448
476914 펀드 들어갔는데 1 ㅌㅌ 2015/08/27 1,010
476913 키작은 사람은 세련되기 힘든가요 ? 31 니니 2015/08/27 10,578
476912 아이허브 105달러 이하인데 왜 주문이 안될까요? 3 왜왜 2015/08/27 1,018
476911 트립어드바이저 등 호텔 예약사이트에서.. 4 무명 2015/08/27 667
476910 나이들수록 헐렁한 옷이 좋아지네요. 님들도 그러신가요? 18 헐렁 2015/08/27 4,670
476909 파운데이션만으로 얼굴 윤곽 성형하기 팁 ㅋ 1 저푸 2015/08/27 2,685
476908 남한합의문에는 빠져있는 한단어...남과북 해석이 달라진다 중요한 2015/08/27 713
476907 남자외모 얘기 나오니 문득 생각난 커플 2 외모 2015/08/27 1,315
476906 절대적으로 어울리는색이란게 있을까요? 7 이팝나무 2015/08/27 1,183
476905 옷 같은 디자인에 색만 다른 거 구입 23 수엄마 2015/08/27 3,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