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은 대학의 죽음이다

물빛 조회수 : 806
작성일 : 2015-08-21 16:37:01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성명서>

 

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은 대학의 죽음이다

- 대학자치와 교육자치 회복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지난 8월 17일 부산대학교 故 고현철 교수가 대학 민주화를 주장하며 투신하는 가슴 아픈 사건이 일어났다. 이는 부산대학교의 학내 문제만으로 볼 수 없으며 한국의 교육정책 전체를 되돌아보게 하는 중대한 사건이다.

 

오늘날 정치화하고 상업화한 대학은 더 이상 학문과 지성의 전당이라고 볼 수 없고, 양심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생산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다. 이명박 정부 이후 교육부는 이른바 국립대학 선진화 방안이라는 미명 하에 대학의 자율성과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해 왔다. 대학민주화의 산물인 총장직선제를 기형적인 간선제로 바꾸고, 성과급적 연봉제를 실시하였으며, 이 모든 정책을 철저히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지표와 연계시켜, 대학을 종속시켜 왔다.

 

총장직선제는 자치에 따른 쟁점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는 대학민주화노력의 산물이다. 직선제의 장단점과 무관하게 적어도 지난 수년간 대학구조조정 정책과 맞물려 이루어져온 직선제 철회 시도는 명백하게 대학의 민주화에 역행하는 것이다. 각종 대학지원정책, 대학평가 등으로 인해 대학들은 학문과 교육의 자율성을 심각하게 통제받으며 국가의 관료기구에 종속되고 있다. 특히 대학의 고유한 학문 교육 기능을 무시한 획일적인 대학평가와 관리주의 중심의 교수평가 정책 등으로 인해 한국의 대학은 수준 높은 학문연구와 교육 공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잃어버린 지 오래다. 대학사회에 만연한 관리주의와 불안정노동은 경쟁과 효율의 논리 속에서 출구를 찾기 어려운 지경이며, 대학구성원들은 주체로 나설 수 있는 동력을 상실하고 있다.

 

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은 이러한 한국 대학의 총체적 질식과정에 대한 경고이다. 대학 내 구성원의 민주주의를 도외시한 관료적 통제는 한국 교육의 미래를 극히 어둡게 한다. 신자유주의적 관리주의와 국가통제로 많은 대학들에서 의사결정의 민주화는 제한되고 있다. 학문사상의 자유에 기초한 대학의 공공성이 상실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정부의 대학에 대한 통제는 비단 대학에서의 민주주의를 원점화하려는 시도일 뿐 아니라 교육자치 전체를 위협하는 것이기도 하다. 교육감 직선제 폐지 논의 등 투쟁과 희생으로 이루어낸 형식 민주주의를 폐기하려는 시도들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오늘날의 한국 대학은 날카로운 지성 대신 통제와 관리, 무관심과 체념이 난무하고 있다. 자신의 목숨을 한국 교육의 희생양으로 바친 故 고현철교수의 죽음을 통해, 대학사회의 부끄러운 현주소를 낱낱이 드러내고, 한 개인의 고귀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학문․교육의 자율성과 민주주의를 되찾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 사회에서 민주주의의 성과들을 되찾고 역사를 다시 앞으로 이끌어나가는 성찰과 행동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2015.8.21.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IP : 58.234.xxx.24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학문의 상아탑
    '15.8.21 4:47 PM (113.131.xxx.41) - 삭제된댓글

    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대학도 경쟁력이 필요하지요. 그러나 줄세우고 통제하고 과정보다는 성과위주의 평가등등이 만연하면서 기초학문등이 고사되고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씹습니다.. 대학이 대학다워야죠.

  • 2. 학문의 상아탑
    '15.8.21 4:48 PM (113.131.xxx.41) - 삭제된댓글

    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대학도 경쟁력이 필요하지요. 그러나 줄세우고 통제하고 과정보다는 성과위주의 평가등등이 만연하면서 기초학문등이 고사되고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씹습니다. 대학은 대학다원합니다.

  • 3. 학문의 상아탑
    '15.8.21 4:49 PM (113.131.xxx.41)

    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대학도 경쟁력이 필요하지요. 그러나 줄세우고 통제하고 과정보다는 성과위주의 평가등등이 만연하면서 기초학문등이 고사되고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깝습 니다. 대학은 대학다워야 합니다.

  • 4. 물빛
    '15.8.21 5:10 PM (58.234.xxx.245)

    예, 진정한 학문 연구와 교육은 대학 자율에 맡겨야 합니다.
    대학 안에서 만큼은 지성과 민주주의가 작동되어야 합니다.

  • 5.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15.8.21 9:46 PM (1.241.xxx.40)

    참으로 마음 아프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고 고현철교수의 죽음이 헛되지 않아야 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7929 위안좋으신분들 11 ... 2015/08/31 2,779
477928 생리 3일째 밑이 시큰? 화끈? 거리는 증상은 뭘까요? 8 생리 2015/08/31 3,465
477927 아직 방학ㅠㅠ 2 ㅡㅡ 2015/08/31 1,095
477926 알바생 잘못뽑았다가..(담배피며 치킨만드는 알바생) 4 알바 2015/08/31 2,085
477925 경상도 사람들요 34 ㄱㄱ 2015/08/31 6,138
477924 2015년 8월 31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1 세우실 2015/08/31 546
477923 집 계약 앞두고 있는데...성기 자르는 꿈 나쁜꿈이죠? 20 ㅁㅁ 2015/08/31 16,624
477922 비행기 화물칸으로 보낼 짐에 주방용 칼 넣어가도 되나요? 2 궁금 2015/08/31 1,859
477921 남향의 5층, 동향의 수리된 11층. 선택이 어려워요 34 오결정 2015/08/31 5,574
477920 대구 월드컵 경기장 보조경기장 가려면 대구역 이랑 동대구역이랑 2 ...^^ 2015/08/31 742
477919 이태리여행 조언 해주세요 13 이태리 여행.. 2015/08/31 2,809
477918 허리가 너무 아파요.. 살려주세요...ㅠㅠ 17 도와주세요... 2015/08/31 5,959
477917 결혼 선물? 축의금? 2 뭐가 좋을까.. 2015/08/31 1,008
477916 6세 아이 유치원 꼭 다녀야할까요? 8 규리 2015/08/31 5,610
477915 아는집 아들이 부자집에 장가 갔는데~ 50 ::: 2015/08/31 34,316
477914 전세연장시 계약서 다시 쓰는게 좋은가요? 2 세입자는 2015/08/31 1,253
477913 헬요일 1 프레드 2015/08/31 837
477912 알바 관리 ... 2015/08/31 808
477911 초등아이 이태리 여행가는데 선생님이.. 19 나비 2015/08/31 5,708
477910 ktx 하행 열차 순방향 맨 앞자리요. 111 2015/08/31 1,715
477909 14 마우코 2015/08/31 2,672
477908 물건을 사고 2주후에 5 어이없음 2015/08/31 1,532
477907 결국 지 멋대로 할 거면서 연애사로 친구 진 빼는 애들 3 에헴 2015/08/31 1,178
477906 그리움이라는 감정... 5 그냥 그래 2015/08/31 2,160
477905 나이가 들수록 괜찮은 남자들이 없는 이유가 뭘까요 ... 19 ........ 2015/08/31 7,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