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은 대학의 죽음이다

물빛 조회수 : 757
작성일 : 2015-08-21 16:37:01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성명서>

 

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은 대학의 죽음이다

- 대학자치와 교육자치 회복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지난 8월 17일 부산대학교 故 고현철 교수가 대학 민주화를 주장하며 투신하는 가슴 아픈 사건이 일어났다. 이는 부산대학교의 학내 문제만으로 볼 수 없으며 한국의 교육정책 전체를 되돌아보게 하는 중대한 사건이다.

 

오늘날 정치화하고 상업화한 대학은 더 이상 학문과 지성의 전당이라고 볼 수 없고, 양심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생산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다. 이명박 정부 이후 교육부는 이른바 국립대학 선진화 방안이라는 미명 하에 대학의 자율성과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해 왔다. 대학민주화의 산물인 총장직선제를 기형적인 간선제로 바꾸고, 성과급적 연봉제를 실시하였으며, 이 모든 정책을 철저히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지표와 연계시켜, 대학을 종속시켜 왔다.

 

총장직선제는 자치에 따른 쟁점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는 대학민주화노력의 산물이다. 직선제의 장단점과 무관하게 적어도 지난 수년간 대학구조조정 정책과 맞물려 이루어져온 직선제 철회 시도는 명백하게 대학의 민주화에 역행하는 것이다. 각종 대학지원정책, 대학평가 등으로 인해 대학들은 학문과 교육의 자율성을 심각하게 통제받으며 국가의 관료기구에 종속되고 있다. 특히 대학의 고유한 학문 교육 기능을 무시한 획일적인 대학평가와 관리주의 중심의 교수평가 정책 등으로 인해 한국의 대학은 수준 높은 학문연구와 교육 공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잃어버린 지 오래다. 대학사회에 만연한 관리주의와 불안정노동은 경쟁과 효율의 논리 속에서 출구를 찾기 어려운 지경이며, 대학구성원들은 주체로 나설 수 있는 동력을 상실하고 있다.

 

故 고현철 교수의 죽음은 이러한 한국 대학의 총체적 질식과정에 대한 경고이다. 대학 내 구성원의 민주주의를 도외시한 관료적 통제는 한국 교육의 미래를 극히 어둡게 한다. 신자유주의적 관리주의와 국가통제로 많은 대학들에서 의사결정의 민주화는 제한되고 있다. 학문사상의 자유에 기초한 대학의 공공성이 상실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정부의 대학에 대한 통제는 비단 대학에서의 민주주의를 원점화하려는 시도일 뿐 아니라 교육자치 전체를 위협하는 것이기도 하다. 교육감 직선제 폐지 논의 등 투쟁과 희생으로 이루어낸 형식 민주주의를 폐기하려는 시도들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오늘날의 한국 대학은 날카로운 지성 대신 통제와 관리, 무관심과 체념이 난무하고 있다. 자신의 목숨을 한국 교육의 희생양으로 바친 故 고현철교수의 죽음을 통해, 대학사회의 부끄러운 현주소를 낱낱이 드러내고, 한 개인의 고귀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학문․교육의 자율성과 민주주의를 되찾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 사회에서 민주주의의 성과들을 되찾고 역사를 다시 앞으로 이끌어나가는 성찰과 행동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2015.8.21.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IP : 58.234.xxx.24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학문의 상아탑
    '15.8.21 4:47 PM (113.131.xxx.41) - 삭제된댓글

    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대학도 경쟁력이 필요하지요. 그러나 줄세우고 통제하고 과정보다는 성과위주의 평가등등이 만연하면서 기초학문등이 고사되고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씹습니다.. 대학이 대학다워야죠.

  • 2. 학문의 상아탑
    '15.8.21 4:48 PM (113.131.xxx.41) - 삭제된댓글

    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대학도 경쟁력이 필요하지요. 그러나 줄세우고 통제하고 과정보다는 성과위주의 평가등등이 만연하면서 기초학문등이 고사되고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씹습니다. 대학은 대학다원합니다.

  • 3. 학문의 상아탑
    '15.8.21 4:49 PM (113.131.xxx.41)

    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대학도 경쟁력이 필요하지요. 그러나 줄세우고 통제하고 과정보다는 성과위주의 평가등등이 만연하면서 기초학문등이 고사되고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깝습 니다. 대학은 대학다워야 합니다.

  • 4. 물빛
    '15.8.21 5:10 PM (58.234.xxx.245)

    예, 진정한 학문 연구와 교육은 대학 자율에 맡겨야 합니다.
    대학 안에서 만큼은 지성과 민주주의가 작동되어야 합니다.

  • 5.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15.8.21 9:46 PM (1.241.xxx.40)

    참으로 마음 아프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고 고현철교수의 죽음이 헛되지 않아야 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7225 빗질안해줬더니 개털이 뭉친데가 있어요 2 강아지 2015/08/29 1,130
477224 우드블라인드를 샷시에 못박아 고정했는데 괜찮을까요 2 미도리 2015/08/29 3,022
477223 오늘 무슨일로 태극기 조기 다는건가요? 6 오늘 2015/08/29 2,039
477222 강력한 청소세제 알려주세요. 5 .. 2015/08/29 2,405
477221 육아에서 '손탄다' 라는 게 8 2015/08/29 1,604
477220 이러는 것도 일종의 컴플렉스인가요? 1 어떤사람 2015/08/29 849
477219 소개팅에서 하면 좋을 질문에 뭐가 있을가요?(노츠자의 도움 부탁.. 2 기대감 2015/08/29 1,624
477218 스타벅스 스티커 1 스티커 2015/08/29 846
477217 오늘따라 고양이얘기가 많네요 저도 인상적이었던 고양이 게시글 올.. 5 님들~ 2015/08/29 1,362
477216 지금 공영홈쇼핑 안심강정 드셔본분 계세요? 궁금 2015/08/29 1,061
477215 대중탕에 휴대폰 들고 들어오는 님... 6 소란 2015/08/29 1,946
477214 친일파들의 두가지 키워드.. 반공 과 경제 5 지배원리 2015/08/29 660
477213 수능 정시지원하는 사람은 수시에는 지원안하나요 ? 2 궁금 2015/08/29 1,435
477212 재수생 수능 접수 사진 문의요 4 컴앞 대기 2015/08/29 1,388
477211 지하철역에서 누가 노래를 부르는데ᆢ 1 ㅊㄴ 2015/08/29 1,022
477210 떡볶이로 곤욕..맛의 비법을 알려주세요.흑흑 10 아몰랑 2015/08/29 3,144
477209 보이스피싱 전화 받았어요 1 바부들 2015/08/29 1,305
477208 분당 서울대 병원 주변 인근에 레지던스 문의드립니다 2 도와주세요 2015/08/29 2,226
477207 청담현대아파트 어떤가요? 2 청담역 근처.. 2015/08/29 1,965
477206 돼지고기 3대천왕 점포 공개됐나요? 6 참맛 2015/08/29 3,062
477205 근육마사지나 자세교정 받는거요 2 피로 2015/08/29 1,313
477204 국가 경쟁력이 11위에서 26위네요.. 4 dd 2015/08/29 964
477203 불교이신분들 질문있어요. 7 11 2015/08/29 1,572
477202 안좋은 일이 생기면 모두 니가 교회를 안다녀서 라는 시어머니 16 ... 2015/08/29 2,329
477201 스키니진도 핏이 중요할까요? 6 스키니 2015/08/29 2,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