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제비할 때 전분기 없애는 법

처음처럼 조회수 : 1,613
작성일 : 2015-08-21 12:59:32
국물이 맑아야 맛잇는데. 이상하게 제가 수제비 끓이면 밀가루 통째 넣른 것처럼 뿌옇게 되어버려요 ㅜ. ㅜ 전분기 없애는 법 없나요?
IP : 123.248.xxx.1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8.21 1:00 PM (60.196.xxx.210)

    칼국수보니, 물에 씻거나, 따로 데쳐내는 방법으로 하니까, 그렇게 하면 되지 않을까요?

  • 2. &
    '15.8.21 1:17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국물이 팔팔 끓고 있을때 반죽을 떠 넣으시는거죠?
    반죽이 너무 질거나 하는건 아니죠?

  • 3.
    '15.8.21 1:19 PM (218.52.xxx.149) - 삭제된댓글

    반죽의 문제예요.
    질게 반죽되면 수제비는 흐물하고 부드럽지만
    국물은 뿌옇고 살짝 걸죽해지죠.
    반대로 여러번 치대서 쫀쫀하게 반죽해서 끓이면 쫄깃하고

  • 4.
    '15.8.21 1:34 PM (14.52.xxx.25)

    반죽을 물 소금 넣고 열심히 치댄 후
    냉장고에서 하루이틀 정도 숙성시켜 보셨나요?

  • 5. 맛없었던 이유가 있었네영
    '15.8.21 1:39 PM (123.248.xxx.15)

    그동안 맛이 없었던 이유는 숙성을 안 시켜서인지;;;;

  • 6. ..
    '15.8.21 1:47 PM (183.98.xxx.245)

    옛날 할머니들은 숙성 안해도 맛있잖아요.
    반죽하실때 물을아주 조금씩 부어가면서 하시고 마른밀가루가 적셔질때까지 원을 그리듯 가루를 서서히 돌리세요
    그다음에 또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힘주어 반죽하세요.
    반죽이 질면 퐁당퐁당 넣을때 반죽에서 전분이 녹아서 뿌옇게 된답니다.

  • 7. 존심
    '15.8.21 2:18 PM (110.47.xxx.57)

    조리하는 양이 적으면 어쩔 수 없는 현상일 수도 있습니다.
    즉 4인분 이상 양이 많을 수록 걸죽해 지지 않습니다.
    즉 육수의 양이 많으면 펄펄 끓을때 수제비를 띠어서 넣으면 육수의 온도가 떨어지지 않고 계속 끓지만
    1-2인분처럼 적게 하면 육수가 적어서 조금만 수제비를 띠어 넣으면 육수의 온도가 떨어져 펄펄 끓지 않고
    수제비가 불게 되면서 육수가 맑게 되지 않습니다.
    1-2인분할때 대안으로는 뚝배기나 두껍고 무거운 냄비를 쓰면 좀 낫습니다...

  • 8. 원글
    '15.8.21 4:09 PM (123.248.xxx.15)

    맞아요 2인분 해먹어요. 윗분님들 조언해 주신대로 해볼게요. 넘넘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2076 이런 베개를 뭐라고 부르나요? 2 음음음 2015/10/19 1,122
492075 사다놓고 안먹는 습관이 있어요 11 습관 2015/10/19 4,546
492074 요새 미친인간들 많은듯 9 ... 2015/10/19 3,512
492073 복도식아파트 변태도둑 2 소름 2015/10/19 3,806
492072 혹시 프랑스의 '메종&오브제" 참관 구경하셨던 .. 2 인테리어 관.. 2015/10/19 1,111
492071 '엄마' 에서 박영규씨 넘 섹시하지 않아요? 6 픽업 2015/10/19 1,938
492070 카카오뮤직 1 노래 2015/10/19 817
492069 그알과 비슷한 경험담 얘기 많이들 하시는데.. 4 ㅈㅈ 2015/10/19 2,438
492068 그알 보고 하루종일 2층에 숨어있던 여자로 빙의되어 떨고 있어요.. 20 공포 2015/10/19 14,694
492067 중학교 때 겪은 위험했던 순간... 1 무서움 2015/10/19 1,616
492066 신정동일대 로드뷰로 보는데... 12 무서워요 2015/10/19 6,303
492065 대구 계명대 근처 하루묵을 숙소있을까요? 3 보라카이 2015/10/19 2,045
492064 고등자녀를 두신 분들께 수학교재 고민 여쭤보고 싶어서요... 중3맘 2015/10/19 731
492063 고객은 왕이 아니다 라고 광고 좀 나왔으면 좋겠어요 4 ... 2015/10/19 1,060
492062 부산 불꽃 축제가 그렇게 11 볼만한가요?.. 2015/10/19 2,682
492061 목구멍에 새우꼬리가 걸려서 안내려가는데요.. (이틀째) 10 새우꼬리 2015/10/19 4,961
492060 석촌호수.안전 장담 못해 49 .... 2015/10/19 1,926
492059 성능좋은 믹서기 뭐로 사면 좋나요 4 집파 2015/10/19 3,074
492058 그것이 알고싶다와 비슷한 경험이 있어요. 6 샤팔 2015/10/19 4,161
492057 쉼이 필요한 이유.. 1 ss 2015/10/19 878
492056 뷰티인사이드에서 이진욱 ‥ 12 어흑 2015/10/19 4,486
492055 학교서 조별과제에서 같은과 동기 친구랑 공동조장인데 속상해요 2 2015/10/19 1,147
492054 건물세 받으시는 분 진심부러워요ㅠ 8 ㅇㅇ 2015/10/19 3,624
492053 피부관리 10년이상 받아보신분?? 1 궁금 2015/10/19 2,669
492052 비혼 언니들 오지랖 대처 어떻게 하시나요? 15 신경꺼 2015/10/19 5,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