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수제비할 때 전분기 없애는 법

처음처럼 조회수 : 1,637
작성일 : 2015-08-21 12:59:32
국물이 맑아야 맛잇는데. 이상하게 제가 수제비 끓이면 밀가루 통째 넣른 것처럼 뿌옇게 되어버려요 ㅜ. ㅜ 전분기 없애는 법 없나요?
IP : 123.248.xxx.1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8.21 1:00 PM (60.196.xxx.210)

    칼국수보니, 물에 씻거나, 따로 데쳐내는 방법으로 하니까, 그렇게 하면 되지 않을까요?

  • 2. &
    '15.8.21 1:17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국물이 팔팔 끓고 있을때 반죽을 떠 넣으시는거죠?
    반죽이 너무 질거나 하는건 아니죠?

  • 3.
    '15.8.21 1:19 PM (218.52.xxx.149) - 삭제된댓글

    반죽의 문제예요.
    질게 반죽되면 수제비는 흐물하고 부드럽지만
    국물은 뿌옇고 살짝 걸죽해지죠.
    반대로 여러번 치대서 쫀쫀하게 반죽해서 끓이면 쫄깃하고

  • 4.
    '15.8.21 1:34 PM (14.52.xxx.25)

    반죽을 물 소금 넣고 열심히 치댄 후
    냉장고에서 하루이틀 정도 숙성시켜 보셨나요?

  • 5. 맛없었던 이유가 있었네영
    '15.8.21 1:39 PM (123.248.xxx.15)

    그동안 맛이 없었던 이유는 숙성을 안 시켜서인지;;;;

  • 6. ..
    '15.8.21 1:47 PM (183.98.xxx.245)

    옛날 할머니들은 숙성 안해도 맛있잖아요.
    반죽하실때 물을아주 조금씩 부어가면서 하시고 마른밀가루가 적셔질때까지 원을 그리듯 가루를 서서히 돌리세요
    그다음에 또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힘주어 반죽하세요.
    반죽이 질면 퐁당퐁당 넣을때 반죽에서 전분이 녹아서 뿌옇게 된답니다.

  • 7. 존심
    '15.8.21 2:18 PM (110.47.xxx.57)

    조리하는 양이 적으면 어쩔 수 없는 현상일 수도 있습니다.
    즉 4인분 이상 양이 많을 수록 걸죽해 지지 않습니다.
    즉 육수의 양이 많으면 펄펄 끓을때 수제비를 띠어서 넣으면 육수의 온도가 떨어지지 않고 계속 끓지만
    1-2인분처럼 적게 하면 육수가 적어서 조금만 수제비를 띠어 넣으면 육수의 온도가 떨어져 펄펄 끓지 않고
    수제비가 불게 되면서 육수가 맑게 되지 않습니다.
    1-2인분할때 대안으로는 뚝배기나 두껍고 무거운 냄비를 쓰면 좀 낫습니다...

  • 8. 원글
    '15.8.21 4:09 PM (123.248.xxx.15)

    맞아요 2인분 해먹어요. 윗분님들 조언해 주신대로 해볼게요. 넘넘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2571 정환이 쌍거풀 없는 눈, 마음에 들어용^^ 6 1988 2015/11/22 2,150
502570 키우던 강아지가 집 나가고 행불이 되어도 15 ㅎㄴㄴ 2015/11/22 3,162
502569 종합전형, 수상 실적 없으면 어려운가요? 18 입학사정관 2015/11/22 2,430
502568 등과 목까지 받쳐주는 의자 추천해주세요 1 질문 2015/11/22 900
502567 응팔 택이가 덕선이 좋아할 이유가 있나요? 30 ... 2015/11/22 11,481
502566 아파트 세월에 따른 노후로.. 소음이 심해질 수도 있을지. 8 ㅇㅇ 2015/11/22 2,771
502565 과외시간변경을 아들하고만 얘기해서 바꾸시는 과외샘 21 .. 2015/11/22 5,107
502564 말없고 몽상적인 여자는 어떤 남자를 만나는게 좋을까요?? 3 ... 2015/11/22 2,202
502563 같이 그만 살자 하면 18 9% 2015/11/22 5,861
502562 가수 이용 노래가사중에 몸받쳐서 몸받쳐서~~ 10 노래제목 2015/11/22 4,349
502561 강주은씨 글이 많아서보니 TV조선이네요 10 종편 2015/11/22 3,223
502560 북유럽이 인종차별이 심한가요? 4 책을 읽다가.. 2015/11/22 3,421
502559 중학생이 공부 손놔버리면 방법이 없나요? 2 방법 2015/11/22 1,987
502558 ys-국가장, DJ- 국장, 노무현대통령- 국민장, 바뀐애? 2 ㅋㅋ 2015/11/22 2,684
502557 온수매트에 수맥이 흐른다는말이 있던데요. 6 dd 2015/11/22 6,563
502556 주말 내내 기절한듯 잠만잤어요. 3 .. 2015/11/22 2,512
502555 내일 제주도 가는데 요즘 날씨? 5 어떤가요 2015/11/22 1,185
502554 술집에서 명함 주는 남자 어떻게 생각하세요?? 49 .... 2015/11/22 6,941
502553 다들 자기자식은 파악하기 어려운거죠? 21 2015/11/22 4,011
502552 일본은 영어를 일부만 하는데 한국은 영어를 전부 하려는 이유 39 영어 2015/11/22 4,423
502551 키아누리브스와 강주은 6 복실이 2015/11/22 11,056
502550 애견샵 하시는 분들보면요 19 애견 2015/11/22 4,461
502549 옷에 묻은 스티커의 끈적이 제거 1 ㅏㅏㅏ 2015/11/22 4,064
502548 수요일부터는 코트입어야 할까요 7 코트 2015/11/22 3,664
502547 뭘 시켜먹어야할까요 1 엄마 2015/11/22 1,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