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제비할 때 전분기 없애는 법

처음처럼 조회수 : 1,652
작성일 : 2015-08-21 12:59:32
국물이 맑아야 맛잇는데. 이상하게 제가 수제비 끓이면 밀가루 통째 넣른 것처럼 뿌옇게 되어버려요 ㅜ. ㅜ 전분기 없애는 법 없나요?
IP : 123.248.xxx.1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8.21 1:00 PM (60.196.xxx.210)

    칼국수보니, 물에 씻거나, 따로 데쳐내는 방법으로 하니까, 그렇게 하면 되지 않을까요?

  • 2. &
    '15.8.21 1:17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국물이 팔팔 끓고 있을때 반죽을 떠 넣으시는거죠?
    반죽이 너무 질거나 하는건 아니죠?

  • 3.
    '15.8.21 1:19 PM (218.52.xxx.149) - 삭제된댓글

    반죽의 문제예요.
    질게 반죽되면 수제비는 흐물하고 부드럽지만
    국물은 뿌옇고 살짝 걸죽해지죠.
    반대로 여러번 치대서 쫀쫀하게 반죽해서 끓이면 쫄깃하고

  • 4.
    '15.8.21 1:34 PM (14.52.xxx.25)

    반죽을 물 소금 넣고 열심히 치댄 후
    냉장고에서 하루이틀 정도 숙성시켜 보셨나요?

  • 5. 맛없었던 이유가 있었네영
    '15.8.21 1:39 PM (123.248.xxx.15)

    그동안 맛이 없었던 이유는 숙성을 안 시켜서인지;;;;

  • 6. ..
    '15.8.21 1:47 PM (183.98.xxx.245)

    옛날 할머니들은 숙성 안해도 맛있잖아요.
    반죽하실때 물을아주 조금씩 부어가면서 하시고 마른밀가루가 적셔질때까지 원을 그리듯 가루를 서서히 돌리세요
    그다음에 또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힘주어 반죽하세요.
    반죽이 질면 퐁당퐁당 넣을때 반죽에서 전분이 녹아서 뿌옇게 된답니다.

  • 7. 존심
    '15.8.21 2:18 PM (110.47.xxx.57)

    조리하는 양이 적으면 어쩔 수 없는 현상일 수도 있습니다.
    즉 4인분 이상 양이 많을 수록 걸죽해 지지 않습니다.
    즉 육수의 양이 많으면 펄펄 끓을때 수제비를 띠어서 넣으면 육수의 온도가 떨어지지 않고 계속 끓지만
    1-2인분처럼 적게 하면 육수가 적어서 조금만 수제비를 띠어 넣으면 육수의 온도가 떨어져 펄펄 끓지 않고
    수제비가 불게 되면서 육수가 맑게 되지 않습니다.
    1-2인분할때 대안으로는 뚝배기나 두껍고 무거운 냄비를 쓰면 좀 낫습니다...

  • 8. 원글
    '15.8.21 4:09 PM (123.248.xxx.15)

    맞아요 2인분 해먹어요. 윗분님들 조언해 주신대로 해볼게요. 넘넘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3982 전에 만났던 남자가 자기아버지 직업(교수)을 그렇게 팔았어요 3 ㅇㅇ 2015/12/31 2,053
513981 40대 중반 데일리 손가방 어떤게 좋은가요? 8 ㅇㅇ 2015/12/31 3,470
513980 율무차요. 칼로리 높은가요? 3 율무차맛있어.. 2015/12/31 4,349
513979 조롱거리된 韓갑상선암 ㅠㅠㅠ.. 2 .... 2015/12/31 5,083
513978 이사하는데 기사님들 점심값 따로 챙겨드리나요? 21 동그라미 2015/12/31 4,180
513977 동참합니다 100억 모으기 9 .. 2015/12/31 1,995
513976 방학인 아이와 계시는분 지금 뭐하세요 8 선물 2015/12/31 1,391
513975 로맨스 낭만 너무 찾는 남자들은 조심해야 19 2015/12/31 4,780
513974 회사 계신 분들 오늘 몇시쯤 퇴근하실 건가요? 3 종무식 2015/12/31 1,179
513973 애들이 젤 좋아하는 샐러드 드레싱 뭔지요? 6 먹거리 2015/12/31 1,691
513972 지하철 개통전과 개통후 아파트 값에 차이 있나요? 2 ........ 2015/12/31 1,527
513971 호주Rmit 졸업했으면 실력있는건가요? 2 궁금 2015/12/31 1,117
513970 표창원님 글 보셨나요 ;;; 21 글이더좋네요.. 2015/12/31 5,545
513969 탕수육 할 때 궁금한점 알려 주세요~ 3 탕수육 2015/12/31 811
513968 블룸버그 통신, 위안부 협상 타결 잘못된 것 강력주장 ... 2015/12/31 529
513967 성희롱으로 고소해본적 있으신 분 있나요? 2 ff 2015/12/31 761
513966 82cook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세요. 18 행복하세요 2015/12/31 952
513965 울쎄라 시술 조무사가 하면 안되지 않나요? 3 더블로와 울.. 2015/12/31 1,869
513964 19금 글들이 종종 보이는데 궁금한게 있어서요. 8 ..... 2015/12/31 4,366
513963 봉사시간 개인적으로 몇시간 해야하나요? 10 중학교 봉사.. 2015/12/31 1,175
513962 감정표현 불능증 치료하신 분 있나요? 1 2015/12/31 1,868
513961 집이 좀 어두울경우.. led? 4 차니맘 2015/12/31 1,655
513960 사주단자 lemont.. 2015/12/31 916
513959 상여금 받았는데 찝찝해요 6 쫑알엄마 2015/12/31 3,165
513958 ㅊ ㅌ ㅇ 씨가 고백한 이유 10 설에 따르면.. 2015/12/31 15,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