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까 문화에 대한 본문이 있었는데요

문화 조회수 : 575
작성일 : 2015-08-16 20:17:00
제가 이야기를 잘설명하지 못했네요;

죄송합니다

예로 한국은 중국이나 일본의 문화를 잘 몰라하는반면

한국과 다르게 유럽의 각각 독일,프랑스,이탈리아는 서로서로의 문화를 많이 알면서 정보도 많이 가지고 있잖아요

예로 독일인이 잉글랜드,폴란드,네덜란드,벨기에의 문화에 대해서 잘안다 이런거요

그런이야기였습니다;
IP : 125.172.xxx.20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걔넨 다
    '15.8.16 8:24 PM (126.205.xxx.251)

    붙어 있잖아요. 맘만 먹으면 걸어서도 가니.
    유럽인들은 서로 뿌리가 한가족이란 개념이 있는 거 같아요
    한중일은 서로 뱅기 타지 않으면 만날 일도 없죠

  • 2.
    '15.8.16 8:42 PM (88.171.xxx.189) - 삭제된댓글

    원글님의 질문이, '유럽인들은 서로서로 문화적 동질감을 강하게 느끼는 것 같은데, 이에 비해 한국/중국/일본인들은 왜 서로간에 약한 문화적 동질감을 느끼는가?'인가요?

  • 3. 문화
    '15.8.16 8:43 PM (125.172.xxx.201)

    네 그렇습니다 그런거겠군요 감사합니다

  • 4.
    '15.8.16 9:10 PM (88.171.xxx.189) - 삭제된댓글

    일단 '유럽'의 정의를 먼저 내려야 하겠지만 이건 넘어가고요.

    일반적으로 유럽 문명의 근간으로 그리스 로마 문명과 그리스도교(기독교)를 꼽잖아요. 많은 유럽국가가 이 뿌리를 공유하고 있으니 세월이 흘러도 비슷한 면이 많겠죠?

    한편, 유럽(러시아 제외)이 넓은 지역이 아닌 데다가 고만고만한 나라들이 얽히고 설키다 보니 긴 세월 동안 서로 접촉할 기회가 많았을테고요. 상징적인 예로, 유럽 왕가나 대귀족 가문은 오래 전부터 국경을 초월해서 혼맥으로 얽혀있었고 혼전계약 및 유산 분배 등으로 인해 땅덩어리의 국적이 하루 아침에 바뀌기도 했답니다. 한중일 상호 교류와 비교하여 유럽 내부의 정치, 경제, 문화 교류가 역사적으로 훨씬 활발했지요. 서로 전쟁도 끊임없이 했고요. 2차 대전 이후로 서유럽 지역에서는 폭력을 동반한 국제 분쟁이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해요. 그 쪽 역사상 가장 긴 비분쟁 기록이랍니다.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는 독서 등을 통해 접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화이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4840 코스트코 푸드코너에 자리 잡아놓는거요... 14 코스트코 2016/01/03 3,419
514839 김병관 웹젠 대표이사 10 진이마미 2016/01/03 2,518
514838 김,안에 묻다. 2 시대적 요청.. 2016/01/03 523
514837 김한길의 아버지, 문성근의 아버지 4 샬랄라 2016/01/03 1,843
514836 이제 박영선 의원도 탈당 하겠군요 15 ..... 2016/01/03 3,117
514835 신문 정기구독 하려면 어떻게 연락하시나요 5 궁금 2016/01/03 794
514834 다가구주택이 2채가 되면 1 임대사업 2016/01/03 1,223
514833 패딩 안타티카 구할 수 있는 곳이나 남편패딩 어디서 사세요? 2 패딩 2016/01/03 1,477
514832 베트남,캄보디아 선택관광 ㅜㅜ 4 여쭤봅니다 2016/01/03 3,600
514831 30대후반-40대초반 미혼분들, 얼마나 모으셨어요? 11 2016/01/03 6,034
514830 max 14가 끝인가요? 팝송 2016/01/03 418
514829 예비고3 독감 예방주사 맞히는게 나을까요 5 2016/01/03 959
514828 금난세 라고 쓰고 새 라고 읽는다 22 마리 2016/01/03 3,595
514827 11시에 완벽한 친노친문당이 탄생합니다.문재인님 축하.. 17 ,,,,, 2016/01/03 1,656
514826 일독할 책 한 권 권해봅니다 사랑이여 2016/01/03 832
514825 서울외대(통대)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실까요? 4 통대생 2016/01/03 2,658
514824 돈.. 어떻게 모으세요..? 15 다짐 2016/01/03 6,479
514823 아 속시원 항길이 나간다 10 .. 2016/01/03 1,067
514822 입안,코안이 자주 헐어요 1 어째 2016/01/03 1,358
514821 친정부모님께 저보고 철이없다했다는 시부모 6 ㄷㄱ 2016/01/03 2,165
514820 일산 미세먼지 수치 장난 아니네요 ㅇㅇ 2016/01/03 1,910
514819 집이없다면 집부터 사는게 우선일까요? 4 무주택자 2016/01/03 1,876
514818 부산여행 계획중 6 ㅅㅈ 2016/01/03 1,419
514817 자식 뒷바라지 정말 중요하네요 8 ㅡㅡ 2016/01/03 6,499
514816 초등여아데리고 서울구경갑니다^^ 2 ^^ 2016/01/03 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