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까 문화에 대한 본문이 있었는데요

문화 조회수 : 575
작성일 : 2015-08-16 20:17:00
제가 이야기를 잘설명하지 못했네요;

죄송합니다

예로 한국은 중국이나 일본의 문화를 잘 몰라하는반면

한국과 다르게 유럽의 각각 독일,프랑스,이탈리아는 서로서로의 문화를 많이 알면서 정보도 많이 가지고 있잖아요

예로 독일인이 잉글랜드,폴란드,네덜란드,벨기에의 문화에 대해서 잘안다 이런거요

그런이야기였습니다;
IP : 125.172.xxx.20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걔넨 다
    '15.8.16 8:24 PM (126.205.xxx.251)

    붙어 있잖아요. 맘만 먹으면 걸어서도 가니.
    유럽인들은 서로 뿌리가 한가족이란 개념이 있는 거 같아요
    한중일은 서로 뱅기 타지 않으면 만날 일도 없죠

  • 2.
    '15.8.16 8:42 PM (88.171.xxx.189) - 삭제된댓글

    원글님의 질문이, '유럽인들은 서로서로 문화적 동질감을 강하게 느끼는 것 같은데, 이에 비해 한국/중국/일본인들은 왜 서로간에 약한 문화적 동질감을 느끼는가?'인가요?

  • 3. 문화
    '15.8.16 8:43 PM (125.172.xxx.201)

    네 그렇습니다 그런거겠군요 감사합니다

  • 4.
    '15.8.16 9:10 PM (88.171.xxx.189) - 삭제된댓글

    일단 '유럽'의 정의를 먼저 내려야 하겠지만 이건 넘어가고요.

    일반적으로 유럽 문명의 근간으로 그리스 로마 문명과 그리스도교(기독교)를 꼽잖아요. 많은 유럽국가가 이 뿌리를 공유하고 있으니 세월이 흘러도 비슷한 면이 많겠죠?

    한편, 유럽(러시아 제외)이 넓은 지역이 아닌 데다가 고만고만한 나라들이 얽히고 설키다 보니 긴 세월 동안 서로 접촉할 기회가 많았을테고요. 상징적인 예로, 유럽 왕가나 대귀족 가문은 오래 전부터 국경을 초월해서 혼맥으로 얽혀있었고 혼전계약 및 유산 분배 등으로 인해 땅덩어리의 국적이 하루 아침에 바뀌기도 했답니다. 한중일 상호 교류와 비교하여 유럽 내부의 정치, 경제, 문화 교류가 역사적으로 훨씬 활발했지요. 서로 전쟁도 끊임없이 했고요. 2차 대전 이후로 서유럽 지역에서는 폭력을 동반한 국제 분쟁이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해요. 그 쪽 역사상 가장 긴 비분쟁 기록이랍니다.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는 독서 등을 통해 접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화이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4966 그거 뗏다 붙였다 할수있다면... 몽상쟁이 2016/01/03 819
514965 정리가 되어 가네요 3 정리 2016/01/03 2,826
514964 팔도 불짬뽕 맛있나요? 매운지도 궁금 8 .. 2016/01/03 1,939
514963 무염또띠아 파는곳 아시나요 2 퓨러티 2016/01/03 840
514962 한달 딸기값 40만원... 137 ... 2016/01/03 31,816
514961 얼굴이 갑자기 넓어지면서 변형되어요ㅠ 7 망고주스 2016/01/03 3,735
514960 저녁 뭐 먹을까요? 3 힌트좀 2016/01/03 1,177
514959 소다로 쿠키만들어도 되나요 4 쿠키초보 2016/01/03 816
514958 배우자와의 관계 횟수... 3 질문 2016/01/03 5,494
514957 선, 소개팅은 같이 식사하는 게 일반적인가요 10 ㅇㅇ 2016/01/03 5,284
514956 정*물 메이크업아티스트~메이크업 잘하는거 맞나요?? 7 nn 2016/01/03 5,681
514955 복면가왕 좀 불편해요 9 노래 잘해 2016/01/03 5,313
514954 인서울 의대들 수시... 2 .., 2016/01/03 2,542
514953 생전처음 가는 유럽 , 동유럽은 어떨까요 12 . . 2016/01/03 3,624
514952 남편이 시험준비 할 동안만 친정합가 어떨까요..? 22 ㅇㅇ 2016/01/03 3,965
514951 스마트폰 사주는 엄마가 더 이상해보이던데.. 44 독한엄마 글.. 2016/01/03 5,968
514950 가스 건조기 배관 공사비 35만원 8 우면 2016/01/03 4,616
514949 피부과에서 근육 건드리는 시술의 부작용? 4 피부과 2016/01/03 2,217
514948 욕조없는 아파트 질문이요 16 고민 2016/01/03 5,622
514947 부산 돌고래순두부 만드는법 10 미세스 2016/01/03 3,399
514946 홍콩 여행 매력이 뭔가요? 25 ..... 2016/01/03 7,870
514945 요즘도 개인병원은 원장 사모가 와서 간섭하는 경우 많아요? 16 의사 2016/01/03 5,404
514944 코스트코 양재 오늘은 어떤가요? 에쓰이 2016/01/03 544
514943 일을 운동 삼아 한다는 사람? 6 알바 2016/01/03 1,969
514942 마른멸치산거가 짜요 건어물 2016/01/03 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