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유아시기에 왜 창작책이 좋은건가요?

왕초보 조회수 : 1,449
작성일 : 2015-08-10 23:47:39
초보엄마입니다ㅠ

문과나와서 수학못하는게 한맺힌관계로..
어릴때부터 아이는 수과학쪽으로 많이시키고싶다는
생각을 막연히하왔었는더

요며칠 인터넷이나 블로그로 육아잘하시는분들
얘기를 어깨넘어접하고있자니.

모두 어린시절 특히 유아기때에는
창작책많이읽히는게 좋다고들하시네요..

이유가 뭔지 아시는 분계시나요?^^;;
그리고..다들..
아이들 독서지도어찌시키셨는지요ㅠ

오늘도 밤새 헤메는 초보엄마에게
82선배님들은 제등불입니더이~~~~
IP : 58.140.xxx.15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8.11 12:18 AM (115.140.xxx.189)

    일단 창작책은 인성형성에 도움이 되고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봅니다
    어른이 읽어보면 싱겁고 쉽게 느껴지지만 주제가 심어져 있어요
    작가의 마음도 정신도 들어있죠,,,한 문장 한 문장 고통속에서 탄생해요 그림도 마찬가지구요,,,

    그러나 음식도 그렇고 편중되는것 보단 두루 두루 접하게 하는 것이 좋다는 주의예요 저는,,

  • 2. 일단
    '15.8.11 12:23 AM (115.136.xxx.178)

    명작동화들이 의외로 시대착오적이고 (공주가 왕자를 만나 영원히 행복하게) 잔인 (늑대가 할머니를 꿀꺽) 한 내용등이 많고 전래동화는 부뚜막이라든지 김을 맨다든지 호롱불을 켜고 이런 내용이 어린애들은 어려워요. 창작에서 명작, 전래로 많이 가죠. 자연관찰책은 뭐랄까 우리때의 백과사전 같은 존재라 좀 다르고요.

  • 3. 책 읽어 주기
    '15.8.11 12:28 AM (121.172.xxx.90)

    유아기 아기들은 글의 주제보다는 등장인물과 교감하는
    특성이 있다고 해요.
    그래서 윗님 글처럼 창작도서에만 집중하는 것보다는
    고루 읽히는게 좋지요.

    가장 좋은 방법은 엄마가 책을 끊임없이 읽어 주는 것이랍니다.
    가끔 글의 내용을 줄여서 읽어 주거나 바꾸는 분들도 있는데
    원본 그대로 읽어 주는게 좋습니다.

  • 4. ㅡㅡ
    '15.8.11 12:42 AM (221.147.xxx.130)

    명작동화는 내용이 좀 계급적인게 많잖아요. 어른의 욕망을 투영한 동화랄까. 우리애는 왜 맨날 결혼하면서 끝나냐고

  • 5. ........
    '15.8.11 12:56 AM (115.140.xxx.189)

    명작이나 고전은 좋은 출판사로 읽히시는것이 좋아요 그 시대의 고증이 되거나 감수가 된 책들로요,,,
    그때의 복식이나 문화에 충실한 정확하게 그려넣은 책들이 좋은 책입니다
    전래동화는 아무래도 시대적 배경이 다르고 그래서 어릴수록 어려워할 수 도 있어요 대체로 취학전에 전래, 고전 읽으면 부담없어요
    더 어릴때 간략하게 줄여놓은 고전이나 전래동화를 접해도 되지만 차라리 편집당한 책보단
    창작이 낫고요,
    과학, 역사, 수학관련 책은 조금씩 맛보기를 하다가 점점 글밥을 늘리는것이 덜 부담스러워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2720 대전 재활병원 아시는 분 : 유성 웰니스 vs. 신탄진 보니파시.. 홍차소녀 2015/11/23 3,518
502719 애인있어요 설리 49 ㅇㅇ 2015/11/23 2,506
502718 저는 응답88에서 동룡 아빠가 제일 재밌는데 비중이 넘 적어요... 8 응답 2015/11/23 3,142
502717 이성당 양배추빵은 레시피가뭘까요 1 dd 2015/11/23 2,132
502716 사람들 말투나 뉘앙스에 예민하신분 계신가요? 2 real 2015/11/23 1,764
502715 대학신입생도 학자금대출 받을수 있나요? 1 씁쓸 2015/11/23 1,175
502714 김장 독립 1 주부 2015/11/23 1,091
502713 시유지땅이 포함된 집 사도 될까요? 2 .. 2015/11/23 3,164
502712 아내가 예쁘면 과연 결혼생활이 행복할까.. 49 ........ 2015/11/23 19,508
502711 엄청 맛있는 중국산 김치를 먹었어요! 2 ... 2015/11/23 2,404
502710 40대 중반, 남자 시계 어떤걸로 할까요? 6 시계 2015/11/23 2,573
502709 여행 많이 다녀보신 아버지 팔순인데.. 색다른 여행 추천좀 부탁.. 3 ㅇㅇ 2015/11/23 1,315
502708 소문난 김치집 며느리인데요. 어머니김치 기본외엔 안넣거든요 19 제가 2015/11/23 6,626
502707 가을이 떠나는 길목에서 사랑을 생각합니다. 1 슬퍼요 2015/11/23 641
502706 근데 마리텔이 뭐하는 방송인가요? 4 궁금 2015/11/23 1,461
502705 라섹수술 한 분들께 질문있어요 12 궁금 2015/11/23 4,051
502704 같은 모임안에서 3 도리 2015/11/23 1,115
502703 소비습관-이해 안가는 사고방식 9 ㅇㅇㅇ 2015/11/23 2,815
502702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해요... 3 아... 2015/11/23 965
502701 당신도 해당?..괴상한 '천재의 특징' 5가지 2 2015/11/23 2,650
502700 부모는 자녀를 온전히 사랑하지 못하나요 7 .. 2015/11/23 1,790
502699 남대문 시장 갈예정인데 뭐사면 좋나요? 1 남대문 2015/11/23 1,151
502698 대학생 아이 사회성 어떻게 개발 시켜야 할까요? 4 마음 아픈 2015/11/23 2,336
502697 이 맞춤법 맞게 쓰셨나요? 23 이제 2015/11/23 2,522
502696 광희는 반응좋은데 정준하는.. 4 ㅇㄷ 2015/11/23 2,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