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백종원 씨가 소면을 끓일 때 찬물을 두 번 넣으라고 했는데
1. 보통은
'15.7.6 3:36 PM (211.54.xxx.174)두번
수연소면처럼 가는건 한번넣으면 돼요2. ..
'15.7.6 3:36 PM (121.157.xxx.2)원래 그렇게 면을 삶는데 붓는 물 양이 많지 않으니 금방 끓어 올라요.
3. ...
'15.7.6 3:36 PM (175.121.xxx.16)찬물을 많이 넣지말고 우르르 끓어 넘치는거 방지하는 용도로다
한 반컵 좀 못되게 넣으면 그리 오래 안끓여도 되요4. ;;;;;;;;;;;
'15.7.6 3:37 PM (183.101.xxx.243)깜짝물이라고해서 막 끓어 오를때 찬물 부어서 온도 내려주면 다시끓어오르고 이걸 반복하면서 면이 더 쫄깃해진데요.저 요리 잘 못하는데 면은 잘 삶는데 오래전부터 저렇게 찬물 중간에 두번 정도 부어주고 다시 부르를 끓어 오르면 그때 찬물에 헹궈내거든요. 면 잘삶는다는 소리들어요. 해보세요
5. ....
'15.7.6 3:38 PM (112.220.xxx.101)백종원편 봐서 다들 아시네요..
전 이런거 중고딩때 다 알았던것 같은데..
헹굴때 비벼 헹구는거 끓일때 찬물 넣는거
막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답이 없어요
그때 찬물 조금 넣는거죠
오래 걸릴것 같지만 금방 또 끓어올라요
그럼 한번더 넣고6. 초록거북이
'15.7.6 3:38 PM (110.70.xxx.90)그게 일본사람들이 소면 삶을 때 쓰는 방법이에요.
'빗쿠리미즈'라고 직역하면 소면을 '깜짝 놀라게 하는 물'이에요.
끓어오를 때 찬물을 넣는데, 많이 넣는 게 아니고
끓어오르는 거품이 잦아들 정도로만 끼얹어줘요.
그렇게 두 번 하면 면발이 훨씬 쫄깃하게 삶아져요.7. ㅁㅁㅁ
'15.7.6 3:39 PM (221.165.xxx.132)전 중면 삶을땐 세번까지 물넣어봤는데 괜찮았어요
8. 저는 3번 넣고 잠시 후 내려요
'15.7.6 3:40 PM (101.250.xxx.46)제 입에는 종이컵으로 3컵 넣고
끓어오르기 전에 내려서 찬물에 씻으면 제일 맞더라구요
바탕 물이 많기 때문에 종이컵 한컵 넣어봤자
좀 있으면 금방 또 끓어올라요9. ..
'15.7.6 3:44 PM (118.42.xxx.125)끓어오를때 찬물넣는건 다 배우잖아요. 그리고 면 굵기에따라 삶는시간도 다르고..중면은 3번 4번까지넣고 삶아도 퍼지지않았어요.
10. 궁금
'15.7.6 3:45 PM (66.249.xxx.178)해보니까 아무리 기다려도 끓어 올라오지를 않아서 실패했고
두 번째는 물을 좀 적게 넣었더니 끓어올랐는데 찬물을 조금 넣고
다시 끓어 올라올 때 또 넣어주고 빼내서 찬물에 빨아줬더니
면이 쫄깃한 맛이 없이 물컹거리네요. 역시 너무 오래 삶아서 그런가 봐요.ㅜㅜ
참 맞추기 어렵네요.11. 모카
'15.7.6 3:47 PM (119.196.xxx.146)찬물 붓는 양이 넘 많은 거 아닌가요?종이컵으로 반정도입니다.그럼 금방 끓어요
12. 존심
'15.7.6 3:47 PM (110.47.xxx.57)물을 두번 넣는 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물의 양이지요...
최소한 국수량의 5배는 되야 하고
10배정도면 정말 맛있는 면을 삶을 수 있는 것이지요.
물양이많으면 찬물을 넣어도 얼마 안되서 끓어 오르지요...13. 모카
'15.7.6 3:48 PM (119.196.xxx.146)소면은 두번정도 부어주면 되고 세면은 한번이 적당한 듯
14. ㅇㅇㅇ
'15.7.6 3:50 PM (211.237.xxx.35)원글님의 국수삶는 방법의 문제점은
애당초 국수 삶은 물이 적고 끓어올랐을때 부은물이 너무 많아서죠.
한 10~15초 후면 다시 끓어오를 정도여야 하는데
원래 끓인 물이 적고 새로 부은물이 많으니 끓어오르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거예요.15. 존심
'15.7.6 3:51 PM (110.47.xxx.57)소면 80-100그램이 1인분입니다.
2인분을 끓이려면 최소 2리터의 물은 되어야 합니다. 3리터가 되면 더 좋지요.
면을 넣고 끓는 상태에서 반컵의 물이면 100미리리터인데
그 정도면 30초 내에 다시 끓어 오릅니다.
따라서 물을 많이 잡으면 두번 끓어 오르고도 더 끓여야 합니다.
물은 넣지 않아도 200그램 소면정도면 2리터 끓는 물에 3분 시간재서 끓여도 쫄깃한 소면이 됩니다.16. 저도
'15.7.6 4:02 PM (110.70.xxx.23)예전 샘표국수 사장님 인터뷰에서 저 방법을 알았는데 윗님 말씀처럼 물 양을 잘 조절해야겠죠 그렇게 불지 않고 맛있어요
17. 존심
'15.7.6 4:06 PM (110.47.xxx.57)소면을 라면 끓이 듯이 물을 잡으면 무조건 실패...
18. 면끓이는 업소
'15.7.6 4:21 PM (58.143.xxx.39)물값 장난 아니겠어요. 물 국수양보다 살짝 넘치게
잡았더니 빗꾸리미즈 두 번했어도 확실히 맛 떨어지더군요.
여기에서 원인을 찾았네요. 모두 감사^^19. 흠냐
'15.7.6 4:22 PM (125.129.xxx.218)소면으로 비빔국수 잘 해먹는데
중간크기 냄비에 반 정도 물 넣고 끓여서 소면 넣고
끓어오르면 작은 공기 반 정도 물을 넣고 끓이다가 또 한번 넣어주고
또 끓어오르면 그때 끕니다.
오뚜기보다 샘표 국수가 좀 찰진거 같아요. 샘표국수는 건져서 잠깐 뒀다가 찬물로 식혀줍니다.20. 물만두도
'15.7.6 5:51 PM (211.202.xxx.240)그런 식으로 하는게 불지 않고 쫄깃하니 맛있어요.
21. 저
'15.7.6 10:36 PM (122.36.xxx.73)예전에 요리수업들을때 배운공식인데....
이렇게 하면 진짜로 먹어보거나 할 필요없이 딱 알맞게 익던데요.
끓어오를때 물 한컵씩 두번 부으면 딱 좋아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481601 | 수류탄을 던지려고 팔을 뒤로 젖히자 펑..1명사망 2명부상 | 또군대사고 | 2015/09/12 | 924 |
481600 | 2억원대 벤츠 골프채로 부순 30대... 3 | ... | 2015/09/12 | 4,026 |
481599 | 왠지 다음 타겟은 82가 될것같아요. 3 | ㅇㅇ | 2015/09/12 | 1,669 |
481598 | 제주도 시부모님과 여행지 추천해주시면 복받으실거에요 10 | 가을 | 2015/09/12 | 2,187 |
481597 | 근종수술후에 회복 오래걸를까요? 4 | 근종긴 | 2015/09/12 | 2,178 |
481596 | 코스트코 드롱기오븐이요~ 지금 1 | 야옹 | 2015/09/12 | 2,732 |
481595 | 중고등에서 국영수의 비율을 줄인다고... | 콩 | 2015/09/12 | 1,033 |
481594 | 토론 잘하는 팁 알려주세요 ㅠ 3 | 대학원 | 2015/09/12 | 1,040 |
481593 | 동네산등산과요가하는데 체력이 안생겨요 9 | 유투 | 2015/09/12 | 2,819 |
481592 | 좋은 아내란 무엇일까요? 7 | 예비신부 | 2015/09/12 | 2,657 |
481591 | 만찢남 곽시양 아세요? 3 | 아항 | 2015/09/12 | 2,336 |
481590 | 노무현의 진정성을 말하는 분들에게 59 | 애플트리 | 2015/09/12 | 2,723 |
481589 | 묵은쌀로 가래떡 뽑고싶은데요... 4 | ,,,, | 2015/09/12 | 2,556 |
481588 | 월요일 대장내시경인데 아침에 김먹었어요 4 | 우째요 | 2015/09/12 | 3,951 |
481587 | 차긁힘 문의 1 | ** | 2015/09/12 | 1,189 |
481586 | 스팀 다리미 1 | .. | 2015/09/12 | 830 |
481585 | 김무성을 노무현과 비교한 연합뉴스의 비열함 3 | 참맛 | 2015/09/12 | 983 |
481584 | 진중권의 돌직구 10 | 참맛 | 2015/09/12 | 2,898 |
481583 | 축복같은 아들 4 | 감사 | 2015/09/12 | 2,099 |
481582 | 학원 샘 때문에 기막히네요. 47 | 난처 | 2015/09/12 | 15,509 |
481581 | 부산에서 속초를 와야하는데요. 8 | 교통정보 | 2015/09/12 | 2,501 |
481580 | 둥근호박이 쓴맛이 나요 2 | 된장찌개 | 2015/09/12 | 1,716 |
481579 | 일본 도쿄 5.2강진 1 | 일본지진 | 2015/09/12 | 3,042 |
481578 | 세무 자켓이 보관 잘못으로 햇볕에 장시간 노출로 변색~염색이 가.. | 염색문의 | 2015/09/12 | 818 |
481577 | S헬스 쓰시는분들께 질문요~ 2 | 간만에 운동.. | 2015/09/12 | 9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