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말 슬픈 이야기...

.. 조회수 : 1,872
작성일 : 2015-06-27 18:07:33

故박동혁 병장 전사前 80일간 돌본 당시 군의관

제2연평해전이 발발한 이튿날인 2002년 6월 30일 성남 국군수도병원 응급실. 당시 국군수도병원 군의관이었던 이봉기(43) 강원대 심장내과 교수는 의사가 된 이래 가장 많은 기계와 약병을 단 환자를 만났다. 

고(故) 박동혁 병장. 당시 참수리 고속정의 의무병이었던 박 병장은 연평해전 와중에 부상 장병을 돌보기 위해 총탄이 날아드는 함교 위를 마구 뛰어다녔다. 온몸에 100여개의 파편이 박힌 뒤에야, 그는 쇼크로 쓰러졌다. 상황은 심각했다. 파편이 배를 뚫고 들어가 내장을 찢었고, 등으로 파고든 다른 파편은 척추에 박혔다. 등과 옆구리는 3도 화상으로 벌겋게 익어 있었다. 혈관이 손상된 오른쪽 다리는 새까맣게 죽어, 끝내 사타구니 아래쪽부터 잘라내야 했다. 순환기내과 전공의 이 교수는 박 병장의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매달렸다. 새로 개발된 항생제는 민간에서 따로 구해다 쓰면서 온갖 방법을 썼지만, 투병 80일 만에 박 병장은 숨을 거뒀다. 

이 교수의 가슴에도 구멍이 났다. 강산도 변한다는 10년이 흘렀지만, 그에게 제2연평해전은 생생하다. 아니, 그때의 순간들은 그의 삶을 바꿔놓고 있었다. 이 교수는 "당시 전사 장병과 유가족이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면서 "이런 정부를 위해서라면 (나 자신도) 털끝 하나 다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10년이 지났다. 제2연평해전은 어떤 기억으로 남아 있나? 

"그전에는 군인들을 보면 '군바리'라고 불렀다. 정치에도 관심이 없었다. 나는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했을 때 '드디어 군바리가 가고 민주정치가 오는구나!'라고 생각했던 사람이다. 제2연평해전 부상자 돌보면서, 희생이 뭔지 배웠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군인의 희생이 있기 때문에 내가 편하게 살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됐다. 당시 정부 관계자가 '우리 선박이 (작전) 통제선을 넘어간 잘못이 있다'고 말하는 걸 보고, 상황이 정말 심각하다고 느꼈다. 지금도 지난 정권 떠올리면 이가 갈리고 분통이 터진다. 당시 죽어간 사람들, 다친 이들이 생각나서…. 나 말고도 그 자리에 있던 군의관 모두 그랬다. 지금 종북(從北) 국회의원을 보면 내 세금이 왜 이런 사람들 위해 쓰여야 하나 싶다. 이건 보수·진보 문제가 아니다. 나라 생명이 걸린 문제다. 애국가를 부정하는 건 나라를 지키는 이들에 대한 모독이다. 종북 인사들은 나라를 지키는 사람에 대한 모독을 자주 하더라." 


―당시 국군수도병원에 있던 군의관들은 어떤 반응이었나? 

“우리끼리 일 끝나고 맥주 한잔씩 할 때마다 (제2연평해전) 이야기를 했다. 정말 너무하지 않느냐고. 나라 지키다가 젊은 사람들 죽어나갔는데, 국군 통수권자는 축구 본다고 일본에 가서 웃으며 손 흔들고. 이러면 어느 누가 나라를 지키겠나. 나 같아도 나서서 안 하겠다. 죽은 사람만 억울한 거다. 당시 부상장병을 돌봤던 군의관들은 사적인 자리에서 이런 식으로 불만을 토로했었다. ” 

―2002년 월드컵도 안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나? 

“그렇다. 제2연평해전이 묻혀버렸으니까. 효순·미선양 사건(2002년 6월 미군 장갑차에 치여 우리 여중생 2명이 숨진 사건) 당시 촛불시위에 대해서도 서운하다. 안타까운 사고였다. 하지만 나라 지키다 전사한 장병이 교통사고를 당한 아이들의 죽음보다 과연 못한가, 못한 대우를 받아야 하나, 그렇게 값어치가 없나 싶더라. 효순·미선양 때 들었던 촛불, 우리 목숨 지키려다 희생한 젊은이들 위해서 들어줬나. 당시 촛불 든 사람들에게 정말 한번 물어보고 싶다. 그 촛불 다른 곳에서 들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물론 좋은 뜻 가진 사람들이라는 건 알고 있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너무 홀대받은 장병 생각나서, 지금도 축구·촛불…. 보기 싫다.” 


―참수리 6용사의 유가족들도 지금까지 정부에 서운한 점이 많더라. 

“정부 인사의 무관심이 서운할 것이다. 사건 당시 전사자 빈소에 일반인들 조문 못하게 막았다. 유족들과 몇몇 군 관계자들만 왔다 갔다. 그건 진짜 아니다. 고(故) 조천형 중사 따님은 지금쯤 초등학생 되었을 텐데…. 정말 그때 마음 아팠다. 만약 누군가 나라를 지키다 숨졌을 때, 그 자녀의 친구들이 훗날 ‘너희 아버지는 영웅이셨어. 훌륭한 아버지를 둔 거야’라고 말한다면 어떨까. 유가족들에게 더 나은 혜택들을 보장해준다면 나도 그런 상황이 닥쳤을 때 몸을 던질 것 같다. 제2연평해전도 그렇게 명예를 드높여 줬다면, 자존감을 높여줬다면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유가족이 한을 풀지 못하고, 국가 상대로 소송 걸고 그럴까? 당시 정부는 대단히 잘못한 거다. 응당 해줘야 할 것을 안 해준 것이다. 유가족이 홀대받는 모습을 보면서 ‘이런 정부를 위해서라면 조금도 다치고 싶지 않다’는 생각만 자꾸 들었다. 북한이, 간첩이 원하는 것도 그런 게 아닐까. 이 나라 젊은이들이 조금씩 그런 생각 먹게 하는 거다. 그래서 결국 안보가 무너지게 하고, 분열되게 하는 것이다.” 

―고 박동혁 병장을 돌보던 경험을 바탕으로 ‘유진아, 네가 태어나던 해에 아빠는 이런 젊은이를 보았단다’라는 수기를 썼다. 

“수기에 등장하던 딸이 벌써 초등학교 4학년이 됐다. 제2연평해전 10주기가 다가오면서 딸이 그 수기를 찾아 읽었다. ‘총알이 날아오면 피하고 숨으면 되잖아. 근데 왜 아프게 이렇게 죽게 됐어?’라고 묻더라. 그래서 ‘유진아, 아빠가 80일간 지켜본 오빠(박동혁 병장)는 총탄 포탄이 막 날아다니는데, 다른 죽어가는 친구들 살리려고 막 뛰어다녔어. 되게 용감하게 싸웠대. 왜 그랬을까?’라고 되물었다. 딸이 ‘그 오빠들이 도망갔으면, 나쁜 사람들이 더 넘어와서 우리 총 쏘고 막 죽였을 테니까’라더라. 그게 안보 아닌가. 어떤 이들이 최전선에서 희생하고, 지키고 있으니까 우리가 편안하게 있을 수 있다는 거…. 그게 안보 아닌가.”

 

2010년 법률저널펌

IP : 180.196.xxx.157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더 압권인것은...
    '15.6.27 6:20 PM (180.196.xxx.157)

    김대중 자기야 장례식에 이유가 있어서 안온다고 쳐도, 국무총리도 국방장관도 보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정말 초라한 장례식... 교통사고로 죽은 사고는 지들 입맛에 맞는 특별법 안만들어준다고 국정을 1년을 마비시키는 잘나고 잘난 천사표 진보라는 정치인들이... 국가를 지키다 죽은 청년들에게는 꼴랑 3천만원...

    심지어, 일반인들 조문까지 강제로 막았으니.... 진짜 꼴보기싫은 자기들식 민주주의이지요.

  • 2. 예...
    '15.6.27 6:48 PM (112.167.xxx.198)

    저도 동감합니다
    연평도 영화 말만들어도 가슴이 먹먹해
    며필 지나고 보려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60710 매실 엑기스를 오이지에 넣게되면 깻잎장아찌도.. 2015/07/02 614
460709 둘마트 플러스메이트복사용지 어떤가요? .. 2015/07/02 900
460708 뭐부터살까요? 3 2015/07/02 837
460707 남자도 이런센스있는 사람이 있네요^^ 3 모모 2015/07/02 2,471
460706 인간이 날때부터 죄인이란 말이 이해가 6 ㅂㅂ 2015/07/02 1,532
460705 서울시내면세점 1 시내 2015/07/02 593
460704 조선일보도 걱정하는 박근혜 대통령의 '공주병' 6 세우실 2015/07/02 2,904
460703 배우자 찾을때 가장 중요한점이 5 /// 2015/07/02 2,442
460702 낮에 들어갔던 쇼핑몰 이름이 당췌 생각안나는데 찾을수있을가요 2 겨울 2015/07/02 1,693
460701 의자가 잘 안 미끄러지게 하려면? 4 엉덩방아ㅠ 2015/07/02 1,978
460700 한식대첩 패자부활시작했어요 1 ㅅㅅ 2015/07/02 1,371
460699 과민반응인가요? 1 이게 2015/07/02 523
460698 헬로우드림 이런건 뭐하는걸까요? 3 드림? 2015/07/02 1,648
460697 리얼스토리 눈 보세요? 1 ~~ 2015/07/02 1,858
460696 ^^.. 13 매봉역 2015/07/02 2,919
460695 팔다리에 식중독 걸린것 처럼 며칠전부터 1 .. 2015/07/02 1,172
460694 82님들 베개파는 사이트 찾고 있어요.도움주세요. 4 .... 2015/07/02 1,285
460693 기억에 남는 결혼기념일 있으세요?? 2 ... 2015/07/02 872
460692 이삿짐 업체 추천좀요~ 82 2015/07/02 496
460691 유관순 논쟁이 뭔가요? 3 궁금해 2015/07/02 1,563
460690 전세 그냥 버텨도 될까요? 5 세입자 2015/07/02 2,851
460689 아들 영외면회시 맛집좀 알려주세요 2 뭘 먹어야할.. 2015/07/02 641
460688 남편의 사표 후기 3 외벌이 2015/07/02 4,548
460687 몇시간 전에 로그인 했는데 아직도 로그인 2015/07/02 1,176
460686 1억이 아니라 천만원이라도 4 인생 2015/07/02 3,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