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말 슬픈 이야기...

.. 조회수 : 1,907
작성일 : 2015-06-27 18:07:33

故박동혁 병장 전사前 80일간 돌본 당시 군의관

제2연평해전이 발발한 이튿날인 2002년 6월 30일 성남 국군수도병원 응급실. 당시 국군수도병원 군의관이었던 이봉기(43) 강원대 심장내과 교수는 의사가 된 이래 가장 많은 기계와 약병을 단 환자를 만났다. 

고(故) 박동혁 병장. 당시 참수리 고속정의 의무병이었던 박 병장은 연평해전 와중에 부상 장병을 돌보기 위해 총탄이 날아드는 함교 위를 마구 뛰어다녔다. 온몸에 100여개의 파편이 박힌 뒤에야, 그는 쇼크로 쓰러졌다. 상황은 심각했다. 파편이 배를 뚫고 들어가 내장을 찢었고, 등으로 파고든 다른 파편은 척추에 박혔다. 등과 옆구리는 3도 화상으로 벌겋게 익어 있었다. 혈관이 손상된 오른쪽 다리는 새까맣게 죽어, 끝내 사타구니 아래쪽부터 잘라내야 했다. 순환기내과 전공의 이 교수는 박 병장의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매달렸다. 새로 개발된 항생제는 민간에서 따로 구해다 쓰면서 온갖 방법을 썼지만, 투병 80일 만에 박 병장은 숨을 거뒀다. 

이 교수의 가슴에도 구멍이 났다. 강산도 변한다는 10년이 흘렀지만, 그에게 제2연평해전은 생생하다. 아니, 그때의 순간들은 그의 삶을 바꿔놓고 있었다. 이 교수는 "당시 전사 장병과 유가족이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면서 "이런 정부를 위해서라면 (나 자신도) 털끝 하나 다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10년이 지났다. 제2연평해전은 어떤 기억으로 남아 있나? 

"그전에는 군인들을 보면 '군바리'라고 불렀다. 정치에도 관심이 없었다. 나는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했을 때 '드디어 군바리가 가고 민주정치가 오는구나!'라고 생각했던 사람이다. 제2연평해전 부상자 돌보면서, 희생이 뭔지 배웠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군인의 희생이 있기 때문에 내가 편하게 살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됐다. 당시 정부 관계자가 '우리 선박이 (작전) 통제선을 넘어간 잘못이 있다'고 말하는 걸 보고, 상황이 정말 심각하다고 느꼈다. 지금도 지난 정권 떠올리면 이가 갈리고 분통이 터진다. 당시 죽어간 사람들, 다친 이들이 생각나서…. 나 말고도 그 자리에 있던 군의관 모두 그랬다. 지금 종북(從北) 국회의원을 보면 내 세금이 왜 이런 사람들 위해 쓰여야 하나 싶다. 이건 보수·진보 문제가 아니다. 나라 생명이 걸린 문제다. 애국가를 부정하는 건 나라를 지키는 이들에 대한 모독이다. 종북 인사들은 나라를 지키는 사람에 대한 모독을 자주 하더라." 


―당시 국군수도병원에 있던 군의관들은 어떤 반응이었나? 

“우리끼리 일 끝나고 맥주 한잔씩 할 때마다 (제2연평해전) 이야기를 했다. 정말 너무하지 않느냐고. 나라 지키다가 젊은 사람들 죽어나갔는데, 국군 통수권자는 축구 본다고 일본에 가서 웃으며 손 흔들고. 이러면 어느 누가 나라를 지키겠나. 나 같아도 나서서 안 하겠다. 죽은 사람만 억울한 거다. 당시 부상장병을 돌봤던 군의관들은 사적인 자리에서 이런 식으로 불만을 토로했었다. ” 

―2002년 월드컵도 안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나? 

“그렇다. 제2연평해전이 묻혀버렸으니까. 효순·미선양 사건(2002년 6월 미군 장갑차에 치여 우리 여중생 2명이 숨진 사건) 당시 촛불시위에 대해서도 서운하다. 안타까운 사고였다. 하지만 나라 지키다 전사한 장병이 교통사고를 당한 아이들의 죽음보다 과연 못한가, 못한 대우를 받아야 하나, 그렇게 값어치가 없나 싶더라. 효순·미선양 때 들었던 촛불, 우리 목숨 지키려다 희생한 젊은이들 위해서 들어줬나. 당시 촛불 든 사람들에게 정말 한번 물어보고 싶다. 그 촛불 다른 곳에서 들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물론 좋은 뜻 가진 사람들이라는 건 알고 있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너무 홀대받은 장병 생각나서, 지금도 축구·촛불…. 보기 싫다.” 


―참수리 6용사의 유가족들도 지금까지 정부에 서운한 점이 많더라. 

“정부 인사의 무관심이 서운할 것이다. 사건 당시 전사자 빈소에 일반인들 조문 못하게 막았다. 유족들과 몇몇 군 관계자들만 왔다 갔다. 그건 진짜 아니다. 고(故) 조천형 중사 따님은 지금쯤 초등학생 되었을 텐데…. 정말 그때 마음 아팠다. 만약 누군가 나라를 지키다 숨졌을 때, 그 자녀의 친구들이 훗날 ‘너희 아버지는 영웅이셨어. 훌륭한 아버지를 둔 거야’라고 말한다면 어떨까. 유가족들에게 더 나은 혜택들을 보장해준다면 나도 그런 상황이 닥쳤을 때 몸을 던질 것 같다. 제2연평해전도 그렇게 명예를 드높여 줬다면, 자존감을 높여줬다면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유가족이 한을 풀지 못하고, 국가 상대로 소송 걸고 그럴까? 당시 정부는 대단히 잘못한 거다. 응당 해줘야 할 것을 안 해준 것이다. 유가족이 홀대받는 모습을 보면서 ‘이런 정부를 위해서라면 조금도 다치고 싶지 않다’는 생각만 자꾸 들었다. 북한이, 간첩이 원하는 것도 그런 게 아닐까. 이 나라 젊은이들이 조금씩 그런 생각 먹게 하는 거다. 그래서 결국 안보가 무너지게 하고, 분열되게 하는 것이다.” 

―고 박동혁 병장을 돌보던 경험을 바탕으로 ‘유진아, 네가 태어나던 해에 아빠는 이런 젊은이를 보았단다’라는 수기를 썼다. 

“수기에 등장하던 딸이 벌써 초등학교 4학년이 됐다. 제2연평해전 10주기가 다가오면서 딸이 그 수기를 찾아 읽었다. ‘총알이 날아오면 피하고 숨으면 되잖아. 근데 왜 아프게 이렇게 죽게 됐어?’라고 묻더라. 그래서 ‘유진아, 아빠가 80일간 지켜본 오빠(박동혁 병장)는 총탄 포탄이 막 날아다니는데, 다른 죽어가는 친구들 살리려고 막 뛰어다녔어. 되게 용감하게 싸웠대. 왜 그랬을까?’라고 되물었다. 딸이 ‘그 오빠들이 도망갔으면, 나쁜 사람들이 더 넘어와서 우리 총 쏘고 막 죽였을 테니까’라더라. 그게 안보 아닌가. 어떤 이들이 최전선에서 희생하고, 지키고 있으니까 우리가 편안하게 있을 수 있다는 거…. 그게 안보 아닌가.”

 

2010년 법률저널펌

IP : 180.196.xxx.157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더 압권인것은...
    '15.6.27 6:20 PM (180.196.xxx.157)

    김대중 자기야 장례식에 이유가 있어서 안온다고 쳐도, 국무총리도 국방장관도 보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정말 초라한 장례식... 교통사고로 죽은 사고는 지들 입맛에 맞는 특별법 안만들어준다고 국정을 1년을 마비시키는 잘나고 잘난 천사표 진보라는 정치인들이... 국가를 지키다 죽은 청년들에게는 꼴랑 3천만원...

    심지어, 일반인들 조문까지 강제로 막았으니.... 진짜 꼴보기싫은 자기들식 민주주의이지요.

  • 2. 예...
    '15.6.27 6:48 PM (112.167.xxx.198)

    저도 동감합니다
    연평도 영화 말만들어도 가슴이 먹먹해
    며필 지나고 보려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2918 옛~날에 정글법칙에서 이성재가 입었던 ,, 2015/09/17 709
482917 인도에서 사올만한 거 뭐가 좋은가요? 8 선물 2015/09/17 2,628
482916 박수추인 뭐라시는 분들 6 의사결정의 .. 2015/09/17 986
482915 최경환 부총리 인사청탁 의혹 검찰수사 어디까지? 또다른 의혹.. 2015/09/17 948
482914 [단독] 최경환 전 운전기사도 중소기업진흥공단 취업 3 열정과냉정 2015/09/17 1,594
482913 전세 연장 3 오공주 2015/09/17 1,464
482912 원글지울께요... 43 아흑 2015/09/17 17,530
482911 벌(bee)을 통해 느끼는 인생의 교훈 같은 게 있다면? 7 2015/09/17 1,202
482910 이주영 따님 6 ㄴㄴ 2015/09/17 1,951
482909 2015년 9월 17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1 세우실 2015/09/17 821
482908 군에 가 있는 아들녀석이 10 군화모 2015/09/17 2,597
482907 카스도 마이클럽 처럼 망하려나 봐요? 1 안녕사랑 2015/09/17 3,886
482906 학원에서 초등아이에게 화분 흙을 넣은 물을 마시라고 했다면 21 ㅇㅇㅇ 2015/09/17 2,848
482905 전화가 와요 1 ... 2015/09/17 1,086
482904 친정합가시 월 생활비 얼마 드리면 될까요? 22 행복하자 2015/09/17 6,534
482903 새 전기 밥솥청소해야 하나요? 1 김효은 2015/09/17 6,870
482902 방금 한밤의 tv연예 뭐에요?????? 5 일베충SBS.. 2015/09/17 4,306
482901 스킨케어 제품에 디메치콘 괜찮은가요? 2 .. 2015/09/17 806
482900 보험아줌마 4 보험 2015/09/17 1,121
482899 도대체 남의재산세 고지서 몰래 뜯어보는건 왜죠?? 11 희망이 2015/09/17 4,145
482898 아기 백일 맞아 후원을 하고싶은데요... 3 후원 2015/09/17 792
482897 앞머리때문에 신경이 쓰여요ㅠ.ㅠ 1 앞머리 2015/09/17 1,068
482896 엄청 잔인한 살인미수 사건 7 2015/09/17 4,516
482895 '군인 열차 할인, 없어졌지 말입니다?' 2 참맛 2015/09/17 1,129
482894 자동차 긴급회피 테스트에서 현기차 재앙! 2 허접쓰레기 2015/09/17 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