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북유럽 말인데요

--- 조회수 : 3,541
작성일 : 2015-06-24 21:16:44
필리핀 댓글들 정독했습니다. 저도 궁금한 질문 좀 올려봐요.

사실 중고등 사회 시간에 북유럽은 존재감 없이 스치듯 넘어간 게 전부..
영프독 전통 유럽 강국들에 비해 보고 배울 게 없는 특이한 자연의 나라라는 인식이 남아 있어요. 실제로 노르웨이, 덴마크 사람을 만나 대화 나눠 보니 (제가 아예 대놓고 물어 봤어요.건축 문화 음악 식문화 잘난 부분  알고 싶다구^^) 내세울 문화 유물이나 역사적 전통 없다고 하더군요. 몇몇 회사, 자원 나열..

디자인 감각, 복지 외에 북유럽의 문화가 궁금해요. 왜 열광하는 건가. 우리 나라에서 유독 북유럽 찬양하는 건가요.
보고 배울 거 없는 해적의 후예들이 살기 좋은 나라가 된 "배후"도 궁금한데..

그들에게 필리핀 아르헨티나 같은 미래는 일어나지 않을까요.
IP : 91.44.xxx.14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6.24 9:51 PM (74.74.xxx.231)

    "제가 아예 대놓고 물어 봤어요.건축 문화 음악 식문화 잘난 부분 알고 싶다구^^) "

    좀 우습게 보였겠네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파쇼 독재국가의 국가주의 민족구의 교육을 받아서

    우리민족 우수 민족, 김치 캡짱, 한글 캡짱, 젓가락질 손재주, 사계절 있는 게 최고, 우리 금수강산 캡빵, 우리 민족이 이거 최초 저거 최초, 이런 거를 틈만 나면 말하려는

    경향들이 있는데요, 좀 자제했으면 하네요.

  • 2. 사민주의
    '15.6.24 9:57 PM (94.214.xxx.31)

    아래에서는 프랑스 혁명, 종교개혁
    왼쪽에서는 산업혁명,
    오른쪽에서는 사회주의 혁명.
    그 사이에 있던 나라들은 위와 같은 유럽의 역사적 변혁을
    잘 수용했어요.
    네덜란드도 그런 편이고요.
    프로테스탄트를 밑바탕에 깔고,
    자유와 인권, 평등을 중시하고
    실리 중심, 사회복지국가로 나아간 거죠.
    유럽의 양 대전에서도 상대적으로 손실이 적었고요.
    변방의 힘이랄까.

    진보적인 사회적 가치가 전반적으로 실현되어 있는데도
    프로테스탄트적 가치관, 군주제와 공존하지요.

  • 3. 자꾸 사민주의 같은
    '15.6.24 10:10 PM (74.74.xxx.231)

    댓글이 올라오는데 원글님이 물으신 것은 그런 게 아니라

    수백년 전에 너네 민족이 세계 최초로 뭘 했다던가, 너네 민족이 수백년 수천년 전 세계 최고 수순의 뭔가를 했다던가, 그런 걸 묻고 있는 것 같은데요.

    북유럽 전통 요구르트 중에 유명한 게 있냐, 뭐 그런 거 묻고 계시는 것 같아요.

  • 4. 삶의열정
    '15.6.24 10:11 PM (211.196.xxx.171)

    다른 북유럽 국가는 잘 모르겠구요. 노르웨이의 경우 유전이 개발됐을때 정부가 제일먼저 한일이 이 돈을 어떻게 윤리적으로 잘 쓸수있을까 연구하는 부처를 만들었다고 하네요. 좀 충격이었어요.
    노르웨이의 경우 사람들에 복지중 어린아이에 대한 복지. 그리고 동물복지가 매우 잘 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약자를 배려하는게 밑바탕에 깔려 있어요

  • 5. 북유럽 걱정을..
    '15.6.24 10:23 PM (90.219.xxx.211)

    이케아랑.. HnM 같은 옷회사들이 북유럽 것으로 알려져있고. 건축, 유전, 자동차 비행기 엔진 등에 상당히 고도의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상당하죠.

  • 6. 스웨덴의
    '15.6.24 10:31 PM (1.233.xxx.188)

    노벨을 모르시나요??

  • 7. 공부하자
    '15.6.24 10:58 PM (119.192.xxx.141)

    학생때 공부를 너무 안한게 티가 확 나네요. 그래도 82쿡 회원님들 덕분에 수박겉할기지만 상식이란건 알아갑니다. 기억했다가 우리애들한테 알려줘야지~~~~

  • 8. ;;;;
    '15.6.24 11:38 PM (115.137.xxx.240)

    보고 배울게 없는 나라라;;;; 일단 북유럽은 사회 투명성, 공정성에서 탑5안에는 다 들어가 있구요. 그렇기 때문에 시민들이 그 많은 세금을 내면서도 불만없이 살수 있는 거예요. 그 돈이 누구 주머니로 들어가지 않으니깐요. 사람들 정직하고 검소하며 실용적입니다. 그리고 겸손하구요. 그래서 아마 별거 없다고 얘기 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대부분의 나라에서 그 많은 세금을 걷으면서 투명성 공정성 분야 선두에 있을수 있을지. 퀄리티 보장되는 시민의식 있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예요

  • 9. --
    '15.6.25 12:38 AM (90.161.xxx.212)

    갑자기 생각이 나서.. 댓글을..
    예전에 이곳에 살던 (남유럽) 아이가 북유럽의 한 나라로 긴 출장을 갔는데, 첫 몇 주에 회사 가는 차편이 불편하니 같은 직장 동료가 차를 태워 주더랍니다. 그 동료와 함께 일찍 출발해서 회사에 도착하면 이 동료는 회사 건물 바로 앞이 아닌 떨어진 곳에 주차하고 회사 건물까지 같이 걸어갔답니다.
    어느 날 이 친구가 궁금해서 "우리는 일찍 오면 회사 건물 바로 앞에 차를 세우면 가까운데 왜 먼데 세우고 걸어가?"라고 물으니..
    "우리는 일찍 출근하는 여유로 걸어가면 되잖아. 회사 건물 앞 주차 자리는 피치 못해 늦게 도착하는 사람들을 위해 남겨두는 거지." 라고 하는 여담이... 생각나네요...

  • 10. //
    '15.6.25 1:29 AM (118.33.xxx.1)

    서유럽에 오래 살았던 사람인데도 몰랐던 북유럽의 멋진 부분들 알고 갑니다.
    댓글님들 감사합니다~

  • 11. ABBA
    '15.6.25 1:20 PM (74.74.xxx.231)

    가 전통이라 얘기할 수 없듯이 사민주의 등등은 현대 그 쪽 사회이 모습이지 원글님이 물으신 전통은 아닙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8910 강남 고속 터미날 근처 돌솥 비빔밥 먹을 곳? 3 마트 2015/09/03 1,301
478909 중학생, 고등학생들 요즘 다 스마트폰이죠? 6 ?? 2015/09/03 1,470
478908 중1아이 학습적인것 관여하시나요 2 자식 2015/09/03 942
478907 고소공포증 있으신분들 높은층 어떻게 살아요 2 공포 2015/09/03 1,770
478906 드디어 문근영도 나이들어 보이네요... 17 .. 2015/09/03 6,790
478905 정형외과에서 필러맞기..괜찮을까요? 2 나이들어가는.. 2015/09/03 844
478904 뛰는거랑 빨리걷는거 효과 궁금해요 7 궁금 2015/09/03 1,976
478903 인테리어, 확장된 새아파트도 춥나요? 19 아자아자 2015/09/03 4,459
478902 둘쨰 출산인데 산후조리원 꼭 가야하나요? 5 ... 2015/09/03 2,305
478901 35주 임산부인데 신랑은 주말에 나가기 싫어하메요 2 서운 2015/09/03 1,247
478900 고3 수시 접수 결제 방법 학교에서 써오라고 했는데 카드정보 모.. 8 .. 2015/09/03 2,505
478899 살짝 19금일락 말락한 고민인데요 ... 7 ㄷㄷ 2015/09/03 5,230
478898 인중제모 효과있나요? 7 ... 2015/09/03 2,734
478897 지금 부터 한시간 정도 청소기 8 ;;;;;;.. 2015/09/03 1,804
478896 죽도록 힘든데 사주 보시는 분 3 죽도록 2015/09/03 3,321
478895 오늘 82에서 제일 답답한 글 32 싱글이 2015/09/03 14,314
478894 사용하기 편하고 장시간 녹음 가능한 보이스레코더 부탁합니다. 4 기록 2015/09/03 949
478893 오늘 건강검진후 바로 생리를하는데‥ 괜찮은건지 2015/09/03 934
478892 집주인이 제가 현재 거주중인 상태에서 전체 도배를 하겠다는데.... 14 ... 2015/09/03 3,949
478891 고급진.. 이란 말이 거슬려요. 17 ... 2015/09/03 2,838
478890 얼마전 토미 페이지 글을 보고 6 추억돋음 2015/09/03 1,851
478889 급질)두부곽 사료 가득 넣으면 고양이 몇마리나 먹을수 있나요 ?.. 5 퓨어코튼 2015/09/03 961
478888 내일 수시입시설명회가 겹쳤는데... 4 ..... 2015/09/03 1,705
478887 사주에 시부모복도 있나요? 11 치즈생쥐 2015/09/03 5,359
478886 60살 할아버지가 저한테 집착해요. 139 정말 괴로워.. 2015/09/03 28,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