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북유럽 말인데요

--- 조회수 : 3,551
작성일 : 2015-06-24 21:16:44
필리핀 댓글들 정독했습니다. 저도 궁금한 질문 좀 올려봐요.

사실 중고등 사회 시간에 북유럽은 존재감 없이 스치듯 넘어간 게 전부..
영프독 전통 유럽 강국들에 비해 보고 배울 게 없는 특이한 자연의 나라라는 인식이 남아 있어요. 실제로 노르웨이, 덴마크 사람을 만나 대화 나눠 보니 (제가 아예 대놓고 물어 봤어요.건축 문화 음악 식문화 잘난 부분  알고 싶다구^^) 내세울 문화 유물이나 역사적 전통 없다고 하더군요. 몇몇 회사, 자원 나열..

디자인 감각, 복지 외에 북유럽의 문화가 궁금해요. 왜 열광하는 건가. 우리 나라에서 유독 북유럽 찬양하는 건가요.
보고 배울 거 없는 해적의 후예들이 살기 좋은 나라가 된 "배후"도 궁금한데..

그들에게 필리핀 아르헨티나 같은 미래는 일어나지 않을까요.
IP : 91.44.xxx.14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6.24 9:51 PM (74.74.xxx.231)

    "제가 아예 대놓고 물어 봤어요.건축 문화 음악 식문화 잘난 부분 알고 싶다구^^) "

    좀 우습게 보였겠네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파쇼 독재국가의 국가주의 민족구의 교육을 받아서

    우리민족 우수 민족, 김치 캡짱, 한글 캡짱, 젓가락질 손재주, 사계절 있는 게 최고, 우리 금수강산 캡빵, 우리 민족이 이거 최초 저거 최초, 이런 거를 틈만 나면 말하려는

    경향들이 있는데요, 좀 자제했으면 하네요.

  • 2. 사민주의
    '15.6.24 9:57 PM (94.214.xxx.31)

    아래에서는 프랑스 혁명, 종교개혁
    왼쪽에서는 산업혁명,
    오른쪽에서는 사회주의 혁명.
    그 사이에 있던 나라들은 위와 같은 유럽의 역사적 변혁을
    잘 수용했어요.
    네덜란드도 그런 편이고요.
    프로테스탄트를 밑바탕에 깔고,
    자유와 인권, 평등을 중시하고
    실리 중심, 사회복지국가로 나아간 거죠.
    유럽의 양 대전에서도 상대적으로 손실이 적었고요.
    변방의 힘이랄까.

    진보적인 사회적 가치가 전반적으로 실현되어 있는데도
    프로테스탄트적 가치관, 군주제와 공존하지요.

  • 3. 자꾸 사민주의 같은
    '15.6.24 10:10 PM (74.74.xxx.231)

    댓글이 올라오는데 원글님이 물으신 것은 그런 게 아니라

    수백년 전에 너네 민족이 세계 최초로 뭘 했다던가, 너네 민족이 수백년 수천년 전 세계 최고 수순의 뭔가를 했다던가, 그런 걸 묻고 있는 것 같은데요.

    북유럽 전통 요구르트 중에 유명한 게 있냐, 뭐 그런 거 묻고 계시는 것 같아요.

  • 4. 삶의열정
    '15.6.24 10:11 PM (211.196.xxx.171)

    다른 북유럽 국가는 잘 모르겠구요. 노르웨이의 경우 유전이 개발됐을때 정부가 제일먼저 한일이 이 돈을 어떻게 윤리적으로 잘 쓸수있을까 연구하는 부처를 만들었다고 하네요. 좀 충격이었어요.
    노르웨이의 경우 사람들에 복지중 어린아이에 대한 복지. 그리고 동물복지가 매우 잘 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약자를 배려하는게 밑바탕에 깔려 있어요

  • 5. 북유럽 걱정을..
    '15.6.24 10:23 PM (90.219.xxx.211)

    이케아랑.. HnM 같은 옷회사들이 북유럽 것으로 알려져있고. 건축, 유전, 자동차 비행기 엔진 등에 상당히 고도의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상당하죠.

  • 6. 스웨덴의
    '15.6.24 10:31 PM (1.233.xxx.188)

    노벨을 모르시나요??

  • 7. 공부하자
    '15.6.24 10:58 PM (119.192.xxx.141)

    학생때 공부를 너무 안한게 티가 확 나네요. 그래도 82쿡 회원님들 덕분에 수박겉할기지만 상식이란건 알아갑니다. 기억했다가 우리애들한테 알려줘야지~~~~

  • 8. ;;;;
    '15.6.24 11:38 PM (115.137.xxx.240)

    보고 배울게 없는 나라라;;;; 일단 북유럽은 사회 투명성, 공정성에서 탑5안에는 다 들어가 있구요. 그렇기 때문에 시민들이 그 많은 세금을 내면서도 불만없이 살수 있는 거예요. 그 돈이 누구 주머니로 들어가지 않으니깐요. 사람들 정직하고 검소하며 실용적입니다. 그리고 겸손하구요. 그래서 아마 별거 없다고 얘기 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대부분의 나라에서 그 많은 세금을 걷으면서 투명성 공정성 분야 선두에 있을수 있을지. 퀄리티 보장되는 시민의식 있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예요

  • 9. --
    '15.6.25 12:38 AM (90.161.xxx.212)

    갑자기 생각이 나서.. 댓글을..
    예전에 이곳에 살던 (남유럽) 아이가 북유럽의 한 나라로 긴 출장을 갔는데, 첫 몇 주에 회사 가는 차편이 불편하니 같은 직장 동료가 차를 태워 주더랍니다. 그 동료와 함께 일찍 출발해서 회사에 도착하면 이 동료는 회사 건물 바로 앞이 아닌 떨어진 곳에 주차하고 회사 건물까지 같이 걸어갔답니다.
    어느 날 이 친구가 궁금해서 "우리는 일찍 오면 회사 건물 바로 앞에 차를 세우면 가까운데 왜 먼데 세우고 걸어가?"라고 물으니..
    "우리는 일찍 출근하는 여유로 걸어가면 되잖아. 회사 건물 앞 주차 자리는 피치 못해 늦게 도착하는 사람들을 위해 남겨두는 거지." 라고 하는 여담이... 생각나네요...

  • 10. //
    '15.6.25 1:29 AM (118.33.xxx.1)

    서유럽에 오래 살았던 사람인데도 몰랐던 북유럽의 멋진 부분들 알고 갑니다.
    댓글님들 감사합니다~

  • 11. ABBA
    '15.6.25 1:20 PM (74.74.xxx.231)

    가 전통이라 얘기할 수 없듯이 사민주의 등등은 현대 그 쪽 사회이 모습이지 원글님이 물으신 전통은 아닙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6288 체험학습보고서 몇일전까지 1 언제 2015/09/29 957
486287 강남 한복판에 이런집 어때요? 3 ㅇㅇ 2015/09/29 2,716
486286 내일 초6딸래미와 뭐하고 놀까요? 2 궁금이 2015/09/29 963
486285 전업주부십년차...남은건? 5 이름이름 2015/09/29 3,766
486284 정장 수선 맡길데가 있을까요? 2 새옹 2015/09/29 1,071
486283 지금 명량 보고 있어요. 왜 지문을 읽어주죠? 6 00 2015/09/29 2,314
486282 권상우는 결혼할때 왜 욕을먹은거죠 49 2015/09/29 21,224
486281 영화볼 때 스포 미리 알고 보는게 더 좋던데요 8 차차 2015/09/29 1,093
486280 수원용인 부동산잘아시는분... 6 고민녀 2015/09/29 2,360
486279 단어가 기억이 안나서요.. 9 ㅇㅇ 2015/09/29 1,748
486278 죽은 줄 알았던 앞발 뭉개진 길냥이가 살아있었어요!! 15 행복한저녁 2015/09/29 2,111
486277 시골.. 1 내일 2015/09/29 935
486276 세월호532일) 아홉분외 미수습자님! 꼭 돌아오세요~!!! 11 bluebe.. 2015/09/29 607
486275 지금 백선생하나요? 4 2015/09/29 1,761
486274 이연복 셰프의 책 읽으니 열심히 사는 사람이구나 싶어요 3 사부의 요리.. 2015/09/29 2,559
486273 요즘 공인인증서 어디에 저장하세요? 6 82쿡스 2015/09/29 2,217
486272 서울 아파트거래량 역대 최고행진 멈췄다. .... 2015/09/29 1,347
486271 엄마가 치매 관련 저녁 뉴스보고 충격 받으셨네요ㅜ 2 2015/09/29 4,671
486270 올해말 집구매 계획이신분 있으신가요? ... 2015/09/29 1,131
486269 염소? 양? 우리에서 메~ 해봤더니... 3 양?염소? 2015/09/29 1,320
486268 그렌저 색상 추천 2 6 도와주세요 2015/09/29 2,237
486267 싱글이 한 네명정도 공동체 생활하는 건 어떨까요? 21 ..... 2015/09/29 5,647
486266 카키색 딱 집어 어떤색인가요? 7 카키색 2015/09/29 2,084
486265 하정우 나오는 의뢰인에서 장혁이 부인 죽인범인인가요? 9 blueu 2015/09/29 3,092
486264 추석특집극 황신혜주연.. 3 드라마 2015/09/29 2,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