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리코타 치즈가 좀 묽어서요

궁금 조회수 : 1,569
작성일 : 2015-01-11 19:54:26

처음으로 리코타 치즈 만들어 봤어요.

레시피대로 했는데 제가 먹어 본 리코타 치즈(마마스와 요리 강습 때 샘이 만든 것)보다

좀 더 부드러워요. 소금을 조금 넣었는데 간이 거의 없고 약간 생크림 먹는 느낌?

물론 신선해서 지금도 맛있지만 조금 더 단단한 리코타 치즈였으면 하는데

뭐가 잘못되었을까요?

IP : 14.52.xxx.6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5.1.11 7:56 PM (121.167.xxx.205)

    간을 원하시면 소금을 좀 더 넣으시면 되구요
    물을 조금 더 빼시면 단단해집니다.
    면보에 싼채로 조금 더 매달아 두세요

  • 2. ...
    '15.1.11 7:58 PM (119.64.xxx.40)

    면보에 싸고 아래 물 잘 빠지게 한 다음 위에 무거운 거로
    눌러놓고 충분히 단단해질때까지 빼요. 안그러면 무르더라고요.

  • 3. 원글
    '15.1.11 7:59 PM (14.52.xxx.6)

    면보에 싸서 하룻밤 재우고 난 뒤 냉장고에서 넣어서 굳였어요. 그런데도 덜 굳은 느낌?
    더 많이 끓여야 했을까요? 생레몬즙 3큰술 넣었는데 그게 부족했을까요?

  • 4. 22
    '15.1.11 8:01 PM (59.187.xxx.109)

    위에 단단한 걸로 눌러서 30분에서 40분 정도 물빼주면 처음엔 묽은 것 같아도 냉장고에 두면 단단해 져요
    전 너무 단단한 것 보다 몇 번 해보니 10분정도만 뒀다 크림치즈 처럼 먹는게 부드럽고 맛있네요

  • 5. 22
    '15.1.11 8:03 PM (59.187.xxx.109)

    그러시면 락앤락통에 넣고 하루나 이틀 기다려 보세요 단단해질 것 같아요

  • 6. ..
    '15.1.11 8:03 PM (221.148.xxx.2)

    저도 그랬어요. 그게 만드는 과정에서 많이 저었다던지 무슨 문제가 있었나봐요.
    그래도 맛은 좋아서 빵에 발라 먹으니 정말 맛있더군요.

  • 7. 22
    '15.1.11 8:24 PM (59.187.xxx.109)

    다시 댓글 다는데 위에 꼭 무거운걸로 누르셔야 돼요
    저는 끓은후 요플레 식초 넣고 약불로 10분정도 끓였다 대충 응고 된 것 같으면 면보에 거르는데
    응고 정도는 위에 무거운 걸로 얼마큼 누르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아요

  • 8. 가브리엘라
    '15.1.11 8:56 PM (1.252.xxx.170)

    저 어제 만들었는데요.
    지난번에 좀 많이 묽게되서 어젠 평소보다 좀 더 끓였어요.
    레몬즙도 세스푼 반정도 넣고.
    물기 쫙 빼고나니까 평소보다 단단하게 됐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5593 매일분유는 분유교환서비스가 없나요 맘마 2015/08/24 1,438
475592 요양보호사 6 내생각 2015/08/24 3,495
475591 어지럽고 걸을때 술취한것처럼 중심을 못잡겠어요.왜이럴까요? 3 어질어질 2015/08/24 1,743
475590 맛이 쓴.김장김치 어떻게 해야하나요? 6 2015/08/24 4,061
475589 지금 파리 날씨..어떤가요? 4 날시 2015/08/24 1,235
475588 고추장아찌 1 겨울이네 2015/08/24 749
475587 해잘들어오는 아파트 진짜 최악이에요! 73 돌아가고파 2015/08/24 30,825
475586 고양이가 달걀먹나요? 6 2015/08/24 1,343
475585 베테랑~ 우왕 2015/08/24 753
475584 저도 암살 두 번 보니 발견한 장면 있어요. 스포 11 ... 2015/08/24 4,565
475583 텔레그램 질문이예요~~ 3 처음 2015/08/24 1,133
475582 세균번식한 화장품냄새 2 2015/08/24 1,182
475581 개룡 자녀를 두신 분들 29 밑에 글 보.. 2015/08/24 5,179
475580 이런 시어머니 어떻게 대해야 합니까? 16 와글와글 2015/08/24 4,580
475579 중학생 아들 폭풍성장시기 20 중 2 2015/08/24 7,954
475578 보험을 꼭 들어줘야할 상황입니다. 뭘 들을까요? 15 보험 2015/08/24 2,177
475577 베란다에서 조리하지 마세요. 23 어이상실 2015/08/24 17,856
475576 홀어머니 계신 남자는 50 =) 2015/08/24 8,444
475575 향이 오래가는 핸드크림. 4 오잉꼬잉 2015/08/24 1,724
475574 2015년 8월 24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1 세우실 2015/08/24 821
475573 미국이든 유럽이든 좀 안씻고 살아도 됩니다 8 루비 2015/08/24 4,044
475572 미국에서 우버택시 탈때 팁 줘야 하나요?^^; 6 .... 2015/08/24 16,599
475571 이런 경우 여러분이라면 어쩌시겠어요? 3 ... 2015/08/24 1,032
475570 세월호] 지식채널e - 아들들.jpg 2 오유 2015/08/24 1,230
475569 미국 월마트에서 산 음식 못먹겠어요 ㅠㅠㅠ 8 양배추잎 2015/08/24 4,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