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무원 커트라인 및 군가산점에 관해

wjsrkrcjfl 조회수 : 2,345
작성일 : 2015-01-04 05:29:27
82 쿡에서 군가산점 논란 때마다 보는 댓글 유형인데요 .
( 자신은 잘 알고 다른 사람을 훈계하는 식으로 )
‘ 커트라인 평균 90 점을 넘어 만점에 육박하는 시험에서 가산점을 주면 불합리하다 .’
 
저렇게 말하는 사람들은 진짜 공무원 시험에 대해서 아는 분들인가 의심스럽습니다 . 알고도 말했다면 사실왜곡을 통해서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고자 하는 분들일 테고요 .
 
군가산점 반대할 수도 있는 건데 저렇게 사실을 왜곡해서 반대하면 안 되죠 .
 커트라인 평균 90 점을 넘어 만점에 가까운 직렬이 무엇인지 ? 공무원 시험 인기가 높아도 커트라인 90 점은 흔한 게 아닌데 말이죠 . 경쟁률 높아도 시험 문제가 어려우면 커트라인은 낮아질 수도 있는 거고요 .
 
가장 많이 뽑고 가장 일반적이며 커트라인 또한 높은 행정직을 기준으로 보면요 .
 
2014 년 7 급 국가직 공무원 커트라인 85.28
2014 년 7 급 국가직 공무원 커트라인 ( 장애인 전형 ) 72.85
 
2014 년 7 급 지방직 경기도 공무원 커트라인 81.42
참고 . 전 지역 중 경기도가 가장 높았음 .
2014 년 7 급 지방직 경기도 공무원 커트라인 ( 장애인 전형 ) 65.00
 
9 급 공무원의 경우는 조정점수라 서울 및 광역시 기준으로도 커트라인 평균 80 점 넘는 지역도 없지만 조정점수라 이걸로 보기는 힘들고요 . 조정점수가 시행되기 전인 2012 년을 보면요 .
 
() 은 2011 년 기준
 
2012 년 9 급 국가직 공무원 커트라인 ( 전국 기준 ) 89.5 점 (87 점 )
 
2012 년 9 급 지방직 서울시 공무원 커트라인 81 점 (79 점 )
2012 년 9 급 지방직 서울시 공무원 커트라인 ( 장애인 ) 66 점 (70 점 )
 
2012 년 9 급 지방직 공무원 부산 커트라인 86.5 점 (80 점 )
2012 년 9 급 지방직 공무원 부산 커트라인 ( 장애인 )72 점 (66.50 점 )
 
당연히 커트라인은 가산점 포함이며 ( 합격자 상당수 자격증 가지고 있음 ) 평균 90 점을 자신할 수 있다면 가산점 필요도 없습니다 .
 
2011 년 이전에는 정보처리기사 같은 자격증으로 무려 평균 3 점의 가산점이 주어졌는데 ( 현재 1 점 ) 그 당시도 커트라인 90 점은 흔한게 아니었습니다 .
 
2010 년도 지방직에서 커트라인 90 점이란 점수가 나오긴 했지만 2010 년이 유독 커트라인 높았던 해이며 당시만 해도 정보처리기사 같은 자격증으로 평균 3 점의 가산점을 얻던 시절입니다 . 그런데 90 점도 광역시 중에선 대구가 유일하게 찍은 겁니다 . 지금과 같은 가산점이었다면 대구도 90 점 못 찍었다는 이야기죠 .
( 일반적으로 대도시 커트라인이 더 높으며 중소도시의 경우엔 대박 지역과 쪽박 지역이 발생하기도 함 .)
 
 
 
제가 한 이야기는 경쟁률도 높고 상대적으로 채용인원도 많으며 커트라인도 높은 행정직 기준이며 다른 직렬은 대부분 저것보다 커트라인 낮습니다 . 또한 , 행정직의 경우는 장애인의 경우 굳이 일반인과 같은 전형을 지원할 필요가 없죠 . 보시다시피 장애인전형의 커트라인이 훨씬 낮으니까요 .
 
군가산점은 충분히 반대할 수 있는 부분인데 사실관계를 알고나 반대했으면 합니다 . 네이버나 구글에서 공무원 커트라인 검색만 해도 알 수 있는 건데 뭘 보고 이야기 하는지 모르겠고요 . 예전부터 반박댓글 다려다가 말았는데 최근에도 그러한 글을 우연찮게 봐서 글을 쓰게 되었네요 .
 
공무원 시험 커트라인이 만점에 육박해서 가산점 주면 커트라인이 100 점이 넘는다는 이상한 소리하는 사람도 종종 보이고 말이죠 .
 
IP : 175.223.xxx.95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15.1.4 9:42 AM (203.226.xxx.181)

    싫은거죠 군가산점 자체가 ᆢ 그런인간들에겐 어떤논리도 안통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2185 휴가 나온 아들,복귀할때 10 가을 2015/10/19 2,497
492184 나한테 말 해놓고 안했다고 딱 잡아떼는 사람 4 bbbb 2015/10/19 1,466
492183 예비고3 엄마 걱정이 많네요 .. 2015/10/19 1,402
492182 창구에서 저를 지칭하면서 '이 사람 다음에 내차례에요?' 그러는.. 49 ........ 2015/10/19 5,002
492181 맛있는 탕수육 만들기방법 아시는분요 4 맛있는 탕수.. 2015/10/19 1,255
492180 [비평] ‘교과서’ 문제가 아니다 / 문강형준 2 역사전쟁 2015/10/19 638
492179 아이 겨울내복.. 사이즈 관련 질문입니다~ 6 질문 2015/10/19 869
492178 이미 삶은 달걀 껍질 잘까지게 하는 법 없나요? 7 이미 2015/10/19 1,824
492177 (해결) 교육부에 팩스 보냈어요 2 쪼꼬렡우유 2015/10/19 762
492176 알콜중독엄마 약먹었답니다. 4 ㅜㅜ 2015/10/19 4,513
492175 은마상가에 유명한 떡집아세요? 3 날개 2015/10/19 3,353
492174 잘먹고 잘자는데 몸이 피곤한 경우는 왜그런가요ㅠㅠ 3 dsds 2015/10/19 1,790
492173 신민아의 기부선행 기사.. 2 칭찬할건칭찬.. 2015/10/19 1,696
492172 오래동안 모쏠 .. 이 경우 어떻게 할까요? 7 ㅇㅇ 2015/10/19 2,284
492171 뒤 늦게 이승철 노래와 ...리즈시절 이승철에게 빠져버렸어요.... 1 ... 2015/10/19 771
492170 도라지 대추차 끓이는데 하얀 거품 괜찮나요? 3 lll 2015/10/19 3,021
492169 전세 만기 전 이사시에 세입자인데요. 1 ... 2015/10/19 853
492168 독해가 안돼서 그러는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4 엊그제 글 2015/10/19 646
492167 히든싱어 재방 보는데 민경훈 입이 너무 이쁘네요. 9 ... 2015/10/19 3,298
492166 미세먼지 많은데 청소기는 돌려야하고..창문 열까요? 2 미세 2015/10/19 1,342
492165 영화 사도, 대체 어떻게 봐야 재밌나요? 4 ... 2015/10/19 1,464
492164 저 갑상선 질문인데요... 1 유봉쓰 2015/10/19 1,733
492163 줄넘기.종아리 근육 생길까요? 1 .. 2015/10/19 2,045
492162 오징어 볶음시, 오징어에 간을 하나요? 5 .. 2015/10/19 905
492161 김한국부인은 왜저리 극존칭을 쓰나요? 17 2015/10/19 5,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