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값 올랐는데 정부는 왜 그런거에요?

.. 조회수 : 3,353
작성일 : 2015-01-03 12:05:16
몇천씩 다 오른거 같던데
그리고 분양도 p가 붙었네 그랬잖아요.
원래 겨울은 거래량이 없다고 들었거든요.
근데 정부가 또 규제를 푼다 그러고 기대만큼 안되서 그런건가요?
저도 아파트를 갈아타야 하는지라 아파트가격 오른거보고
작년이라도 산사람들 좋겠다 하고 있거든요.
물론 경기가 안좋네 구조조정을 하네 중규직 그런 기사 보면
여기서 아파트값이 더 오르면 답이 없겠구나 생각은 들어요.
정부는 왜 그런거에요? 부동산이 올라야 나라가 사나요?
IP : 122.34.xxx.7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ㅋㅌㅊㅍ
    '15.1.3 12:06 PM (218.148.xxx.46)

    어느지역이 몇천씩 올랐나요

  • 2. ...
    '15.1.3 12:10 PM (118.220.xxx.141)

    높으신분덜이 여러개씩 많이 갖고있고 아파트가 올라야 또 짓고 지으면서 건설사서 뇌물바치고 하니까요.

  • 3. 한숨맘
    '15.1.3 12:24 PM (211.117.xxx.73)

    전세가 올라서 그런지
    솔직히 몇 천씩 올랐어요
    강남불패라는말을 실감 하네요...

  • 4. 여긴 대구
    '15.1.3 12:35 PM (182.215.xxx.139)

    올해 여름에 분양한 아파트 당첨되자마자 피가 3000이라더니, 지금은 1억이래요. 3년전에 분양한 아파트는 입주할때 6천 정도 오르더니, 2년전 분양한 아파트는 입주때 1억이 넘더니, 지금 분양 아파트들은 점점 가속도가 붙어서 인제 당첨만되면 그 자리서 3~4천이 애 이름이네요. 물론 몇년간 어느 동네나 다 일억씩은 올랐어요. 10년간 집값 끔쩍 안하다가, 요 3년사이에 헌집이든 새집이든 일억 올랐어요. 대구 전체가요. 그런데, 올해는 그 속도가 더 빠르고, 그래도 전세는 모자란다네요.

  • 5. dd
    '15.1.3 1:01 PM (116.33.xxx.17)

    2005년에 분양해서 2007년에 입주했거든요. 직후에는 몇천만원 올랐다가 끊임없이 내려서
    작년에 분양가로 내려갔습니다. 등기취득세 인테리어 등등의 비용은 고사하고 분양가 이하에도
    안 팔려서 경매로 넘어가고요. 지금 올랐다는 것들은 강남이겠죠. 나머지 지역은 다 이런 상황입니다.
    지금도 반토막되어야 한다는 사람들은 정말 무슨 생각들인지.
    전국의 아파트가 강남만 있습니까? 저처럼 분양받은 사람들 말고, 어느 정도 올랐을 때 산 사람들은
    지금 반토막인데, 그 사람들 피눈물 흘리고 있습니다. 한국적 현실에서 집 없으면 서럽다고 모두들
    집 한 채 겨우 장만해서 살고 있는 경우가 허다한데 말입니다.

  • 6. ...
    '15.1.3 1:40 PM (125.143.xxx.206)

    대구 올해부터 대규모입주 시작해요.정리 될겁니다.

  • 7. ..
    '15.1.3 1:40 PM (182.224.xxx.209) - 삭제된댓글

    작년 한해 서울 주요지역 전세값 상승이 매매가격을 밀어 올리는 형국으로
    특히 소형 아파트들 가격이 많이 올랐어요..

    현정부는 경기부양책을 부동산 활성화로 집중하고 있어요..
    2~3년은 집값상승 할거에요..

    시대에 편승할지 말지는 본인의 판단에 따를 일이고,
    확실한건 집 없는 사람들은 점점 더 살기 힘들어 질거라는거,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점점 더 심해질거라는거..

  • 8. 제발 집 없는 분들
    '15.1.3 1:55 PM (221.146.xxx.246)

    82에 올라오는 뻘글들 믿지 마시고 얼른 집 사세요. 봄 되면 더 급박하게 돌아갑니다. 지금 고정으로 저리 받아서 얼른 집 사야 됩니다. 여름이면 금리까지 치솟기 시작할거예요.

  • 9. 단순한 위 댓글
    '15.1.3 2:07 PM (115.140.xxx.66)

    가계부채가 벌써 1000조 넘었다죠
    그것고 뺄 것 다 빼고 가장 낮게 잡아서 그렇구 실제는 2000조 넘는 말도 있구요
    근데 금리 치솟음....그 이자 어떻게 감당하나요
    다들 집 내 놓을 텐데
    집값이 더 떨어질 수 밖에요

    여름에 금리 치솟을테니 지금 집사라는 댓글.....참 단순하고 천진스럽네요

    부동산가격이 여기서 더 떨어지면 나라가 죽습니다
    부동산 대출해준 은행이 원금회수 못하게 되면....엉망되는거죠
    그런데 어쩌나요...겨우 버티는 거지...떨어질 일 밖엔 안남은 것 같네요
    일단 집을 살 수 있는 서민들이 다 몰락해 가고 있으니

  • 10. ..
    '15.1.3 2:14 PM (175.223.xxx.158)

    221.146 님글이 뻘글 같은데요? 금리 오르는데 집 사서 그 이자 감당은 어떻게 하려구요?

  • 11. ??
    '15.1.3 3:56 PM (223.62.xxx.16) - 삭제된댓글

    동부보다 더 큰 건설사들 부도 났을때도 집 값은 잘 만 올랐눈데

  • 12. 위에
    '15.1.3 4:06 PM (1.217.xxx.54)

    125.176. 님 말이 맞아요. 지금 집값이 오른건 정부가 노력했기에 가능한 일이지, 집은 장기전으로 가야해요. 반드시 내릴수 밖에 없는 루저게임이에요. 잠시잠깐 올랐다고 빨리사라는 분들.... 위험하세요. 본인이 실거주 목적이라면 사서 들어가서 살면 되는겁니다. 다른 사람들한테 빨리 사라는둥 말이 나중에 그 순진한 사람들 고생시키는겁니다. 전 대한민국 정부의 단기 작전과 이런 댓글보다 세계은행과 imf의 말, 그리고 우리와 아주 비슷한 환경의 케이스로 일본을, 또 뉴스에 나오는 유명교수의 편집된 인터뷰보다 내가 직접 아는 교수들의 수업을 믿습니다.
    돈 있어서 실거주로 집 구매 하는것 외에 빚내어 집사지마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3720 좋은 학교에 가라는 이유가 2 ㄴㄴ 2015/09/19 2,437
483719 여의도 아파트 아시는 분께 여쭤요 49 가을이 2015/09/19 3,098
483718 무도 ㅋㅋ 49 .. 2015/09/19 2,701
483717 당장 내일 이사하기로 했는데..원룸 계약건 좀 봐주세요 4 ,,, 2015/09/19 1,350
483716 시어머니 꼭 같이 살아야하나요...ㅠㅠ 48 기가막혀서... 2015/09/19 17,788
483715 작년 김치 속 양념 2 가을 2015/09/19 1,272
483714 베이비폴로 사이즈 문의요(28개월) 1 28개월 2015/09/19 1,178
483713 추석연휴때 소개팅하기도 하나요? 5 ........ 2015/09/19 1,739
483712 게으른 기질은 평생 바뀌기가 쉽지않나요...? 48 SJ 2015/09/19 3,289
483711 슬슬 날씨도 선선해지고 구스속통 사려고하는데요. 5 베고니아 2015/09/19 1,161
483710 누구를 사랑한다는 건 어떤 건가요? 18 행복 2015/09/19 5,474
483709 미혼인 내동생이 부럽네요 49 ㅇㅇ 2015/09/19 2,498
483708 세월호의 착한 사마리아인 법정에 서대 1 에휴 2015/09/19 970
483707 영국,캐나다,프랑스 의료체계.. 어떤가요?? 8 142 2015/09/19 2,620
483706 부산/김해 잘 아시는 분 - 김해박물관에서 사하구 괴정 3 택시 2015/09/19 1,112
483705 재팬 타임스 “남한의 대미 안보의존, 한-미 양국 모두에 이롭지.. light7.. 2015/09/19 806
483704 코스트코 가면 사람 많나요? 4 지금 2015/09/19 2,015
483703 담임에게 보낼 문자예요ㅠㅠ 67 ㅠㅠ 2015/09/19 20,123
483702 저는 시어머니처럼 되려구요. 11 ㅇㅇ 2015/09/19 4,394
483701 딸넷인 울시어머님 3 ~~~ 2015/09/19 2,980
483700 교육관과 사교육 사이 9 맹자맘 2015/09/19 1,603
483699 결국 의도적으로 침몰재난을 만든 거라는 거죠? 48 세월호 2015/09/19 4,460
483698 한번 신뢰가 깨진 관계 궁금해요 2 고민 2015/09/19 4,665
483697 미드 추천~! 로스트룸 2 상상 2015/09/19 1,397
483696 내일 제주도 가는데 옷때문에 여쭤봐요..지금 제주도 날씨 어떤지.. 3 요즈음 2015/09/19 1,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