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삶의 주인이 돼 운명을 개척하는 근대인의 탄생 (2편)
안상호는 관비 유학생이었지만 가난했다. 그는 변두리 절 한 켠의 방에서 자취를 하면서 다카키 이사장의 주선으로 학교 해부 실습실 준비와 청소를 하여 생활비를 보탰다. 점심은 학교에서 군고구마를 사먹고 때우며 열심히 노력하여 1학년 때부터 성적이 항상 2,3등을 유지했으며, 1902년 6월 28일 나이 30살에 졸업했다. 졸업식 때에는 메이지 천왕을 대신하여 참석한 가야노미야 비 앞에서 졸업생 대표로 답사를 읽었다. 안상호는 졸업 후 모교 부속병원인 자혜병원에 남아 2년간 임상수련을 하였다. 병원실습 1년 후 의국장이 되었고, 해부학을 가르치는 한편 부설 간호학교에서도 가르쳤다. 이렇게 하여 그는 성공한 유학생의 모델이 되었다.
1906년 4월 30일 일본 도쿄에서 러일전쟁 승리를 축하하는 개선관병식이 열렸을 때 대한제국 황실에서 의친왕 이강이 사절로 와서 약 두 달간 일본에 머물렀다. 이때 의친왕이 하코네의 휴양지에서 병이 났다. 자혜병원에 한국인 의사가 있다는 말을 듣고 진료를 요청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의친왕은 안상호를 자주 불렀다. 이때 의친왕은 안상호에게 한국으로 같이 돌아가 한국 국민을 위해 봉사하라며, 귀국할 때 꼭 함께 귀국할 것을 종용했다. 그러나 이때는 의사면허 시험을 앞두고 있었기 때문에 올 수 없었다. 1906년 9월 의사시험에 합격했다.
안상호의 의술과 인품을 깊이 신뢰한 의친왕은 일본에 올 때마다 자신의 귀국 시에 동행하여 귀국할 것을 종용하였다. 이때의 안상호는 임상수련을 끝냈고, 의사면허도 받았으며 일본에서 인정받는 의사가 되어 있었다. 안상호를 신임하여 중책을 맡기고 있었던 자혜병원 원장도 난감했다. 그러나 대한제국 황실의 의친왕 전하 부탁이므로 거절하기도 어려웠다. 병원 측도 결국 안상호의 귀국을 양해했다.
안상호는 도쿄의 의친왕 저택에 자주 출입하게 되면서 그곳에서 사무를 보단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 출신의 가와구치 이츠코라는 여성을 소개받아 결혼했다. 35세 늦은 나이였다. 1907년 3월 21일 안상호는 의친왕을 수행하여 귀국선에 몸을 실었다.
한국에 돌아온 안상호는 황실 의사로 일하는 한편 의학교 교관으로서 가르쳤다. 안상호는 황제를 비롯한 황실의 의료를 책임지는 전의로 일할 것을 여러 번 종용받았다. 그러나 궁중의사는 의사이면서 관리였다. 성격상 격식을 싫어하며 실질적인 안상호는 관리 생활이 자신을 옥죄는 듯해서 싫었다. 그는 궁내부 촉탁의로서 1주일에 1회만 입시할 것을 약속하였다.
(다음 주 3편에 계속됨)
출처 : 역사와 문화를 깨우는 글마루 1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