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나중에는 정말 값어치가 없어지나요..?

궁금해요 조회수 : 4,074
작성일 : 2014-12-16 12:49:56

시댁, 신랑.. 아파트는 나중에 값어치가 없어진다고...

재건축도 안되고 매매도 안되어 요물단지가 되어 버리니 주택을 사야 한다고 합니다.

 

저는 아파트가 살기 편하여... (워낙 게으른 지라..) 그저 살집으로는 아파트 구매하고 싶은데

도통 관철할 수가 없네요..

 

10년된 아파트 마음에 두고 있었는데..

정말 신랑의 말이 맞는 건지..

아이들 전학 시키기도 싫고 아파트 언니동생들과의 인간 관계로 지금 좋은데...

 

제 짧은 생각에 아파트가 정말 값어치가 없어진다면 대한민국에 아파트가 얼마인데 정말 난리나게 되는 거 아닌가요...?

지금 분양되는 아파트 사는 사람들은 다 뭐란 말입니까...

 

나중에 아파트 재건축도 안되고 토지 지분 자체가 없어지네 어쩌네 이런 소리 하는데 혹시 아시는 분들,, 무지한 저에게 알려주세요

 

 

 

 

IP : 200.104.xxx.21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2.16 12:56 PM (72.213.xxx.130)

    주택 관리비 생각해 보세요. 아파트나 주택이나 낡으면 재건축해야 하는 건 똑같음.

  • 2. ...
    '14.12.16 12:57 PM (175.121.xxx.16)

    고층으로 갈수록 토지지분이 없어지는 것은 맞지만.
    아파트가 주거환경이 낫지요.
    학원차도 다니고 마트며 운동시설이며 학교며 아파트 밀집 지역에 집중되니까요.
    주택은....땅 값어치가 보장된다고는 하지만
    주거환경으로는 열악한 편이라고 보네요. 저는.
    또 사고팔기도 힘들고, 관리설서 대신 해주는 모든일을 직접 처리해야하니 관리비용 비싸고
    요즘 바쁜 세상에 누가 집관리해가며 여유갖고 사나요???

  • 3. 00
    '14.12.16 1:01 PM (118.32.xxx.161)

    장단점이 있겠죠.. 주택은 전원주택형이나.. 주택단지내에 있는거는 좋은거같아요. 다만 일산,부천같은외곽도 꽤나 비싸죠. 아파트보단여.. 주변 편의시설 이용시 차로 이동해야하고... 전 젊어서는 아파트살고 늙어서는 주택살고 싶어요. 아파트는 물론 빌라와같이 감가상각되면 낙후되어 매매가 잘안되죠, (주택은 토지지분이 크기때문에 낙후와 상관없이 가격이 오르죠.)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요, 아파트는 5년 단위로 팔고 좀더 새로운아파트가서 살고 또 5년 살고 또다른 아파트 살고.. 꼭 한번 샀다고 오래 20~30년 살꺼야 재건축얘기 나올때까지 사는건 의미가 없다고 봐요,. 그리고 재건축 사업은 쉽게 추친도 안될뿐더러(기본 년식이 30년은 되야함) 사업기간도 10년 이상 걸려요

  • 4. 주택
    '14.12.16 1:03 PM (115.164.xxx.229)

    지금 전국민이 아파트에 몰빵하고 아파트 공급과용입니다.
    단독이 빛 볼날이 올것 같아요.
    뭐든 너무 과 하면 외면 당하게 되 있어요.

  • 5. ,,
    '14.12.16 1:07 PM (72.213.xxx.130)

    아파트냐 주택이냐가 아니라 위치에요. 위치가 어떤가부터 따져야지 아파트, 주택이 중요한 게 아님. 위치가 제일 중요!

  • 6. 위치좋은데
    '14.12.16 1:09 PM (106.242.xxx.141)

    위치좋은데 단독은 어마무지하게 비싸요..
    상상을 초월하게 비싸요
    일반인들이 쉽게 살수 있는 주택은 슬럼화 되어가는 지역의 집이거나
    아주 외진 곳에 있는 집이에요
    10억이상 자금 동원 가능 하면(현금으로 빚 제외) 몇억 대출 더 받아서 주택 사시고
    아니면 아파트 사세요

  • 7.
    '14.12.16 1:11 PM (1.177.xxx.214)

    윗님 말씀이 맞아요. 아파트냐 주택이냐가 문제가 아니라 언제나 입지예요.
    특히 아파트는 첫째도 입지 둘째도 입지 다 필요 없고 입지다.라고들 하죠.
    그 말은 시간이 지나 새아파트일때의 장점과 편리성이 사라지고나면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데
    위치만 좋으면 건물이 아닌 땅값으로인해 언제나 그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뜻이거든요.
    이런 아파트는 불황에도 선방을 하기 마련이고 회복할 땐 제일 먼저 치고 올라가죠. 그런 아파트라면 사셔도 될겁니다.

  • 8. 88
    '14.12.16 1:13 PM (211.110.xxx.174)

    전 남편분과 같은 생각을 갖고 사는데요.
    아파트가 지금의 현가치로 사서 나중에 지금의 가치로 환원매매 가능하냐...하는 문제에서라면
    결코 그렇게 될 수 없다고 봐요.

    실거주아파트에 산다면 우리세대까진 어찌어찌 버티겠지만 그 이후를 보신다면 주택이 훨씬 안정적이죠.

    5년 10년 사이에는 체감하지 못하겠지만 10년 이후의 아파트 현황은 아마 급속도로 나빠질 거예요.
    아주 역세권이 아니라면 노후된 아파트를 재건축하며 살 주민들도 줄어들어 재건축이 될지 안될지도 모르구요. 점차적으로 10년 이후부터는 대부분의 주거형태는 1인 노인가구나 독신가구가 더 많아질겁니다. 결국 공동화 현상이 일어날 수밖엔 없는 시대가 올거예요. 공실률도 높아질테구요.

    저희 아파트(라인)만해도 한 분이 살고 계시는 가구수가 30%나 되요. 이 큰 건물 한 집에 한 명씩 사는 날이
    멀지 않았다고 절감하면서 살죠. 네 식구 이상 북적대며 사는 집이 4집밖에 안되네요.
    당연히 노인독거세대분들은 재건축에 관심 없으십니다.

    저도 내년지나면 다시 주택으로 돌아갈거예요.
    단독에 살때보다 편리한게 많이 있지 않더라구요.
    식구 수 많으니 움직이는건 다 거기서 거기..비슷한거같아서요.

  • 9. 서초동
    '14.12.16 1:16 PM (175.209.xxx.125)

    눈독 들이는 단독들~
    가격이 어마무시합니다.
    단독 노래를 부르지만,
    평생 살아보기 힘들듯...
    외진곳 단독은 싫고...

  • 10. ...
    '14.12.16 1:22 PM (175.121.xxx.16)

    주택을 사셔가지고
    전세주시고 아파트 가서 전세 사셔요 그럼 되겠네요.ㅎㅎ

  • 11. ..
    '14.12.16 2:33 PM (39.7.xxx.155)

    낡은 고층아파트는 가치가 없죠. 저층은 재건축 하면 되지만 고층은 힘들어요.

  • 12.
    '14.12.16 2:41 PM (223.33.xxx.40)

    진짜 부자는 단독 살지 않나요?너무너무 비싸서 엄두도 못낼...

  • 13. ㄷㅈ
    '14.12.16 4:28 PM (121.168.xxx.243)

    요즘 아파트는 이미 투자용으로 끝났다고 봅니다. 오를 일이 없지요.
    앞으론 세가 나오는 상가주택이 최곱니다. 작은 평수라도 상가주택으로 알아보시길...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8497 수원 영통 초/중학교 추천부탁드려요 4 다롱맘 2014/12/23 1,362
448496 모금을 받아서 어디로 썼는지 - 구세군조차 월별 명세 비공개 참맛 2014/12/23 493
448495 몸이 아파서 회사를 좀 쉬고 싶은데... 4 .. 2014/12/23 1,153
448494 5학년 올라가는 아이.. 이제는 수학학원 보내는 게 좋을까요? 8 곱슬강아지 2014/12/23 2,141
448493 리걸 마인드 법이란 2014/12/23 349
448492 결정했어! 2 그래 2014/12/23 485
448491 새로운 사고방식...멘탈이 폭발할꺼같은 느낌 ..하소연... 4 나원참 2014/12/23 962
448490 고용·해고 쉽게…노동개혁 본격 추진 1 세우실 2014/12/23 504
448489 초등1학년 책가방 선물 추천해주세요 3 초등 2014/12/23 1,327
448488 전세 계약 50일전에 나가면 복비는 누가 부담하나요? 6 ㅇㅇ 2014/12/23 1,955
448487 주말에 애 둘 보고난 후 남편의 표정 10 -- 2014/12/23 3,440
448486 외국에서 구매대행시 금액은 어떻게 받아야되나요? 18 완전멘붕 2014/12/23 981
448485 시어머니되실 82분들~ 며느리가 집값에 더 많이 보태면 명절때 .. 41 궁금 2014/12/23 4,814
448484 안양에 대해 아는게 없어서요 6 문의 2014/12/23 1,294
448483 워드 문서작업할때 페이지번호 이럴경우 어떻게 해야되나요? ..... 2014/12/23 552
448482 오른쪽 이마에 주름이 잡혔는데 어떡하죠? ㅠ 1 어떡 2014/12/23 911
448481 중2 수학교과서를 구할수 없을까요? 3 커피향기 2014/12/23 947
448480 크리스마스 계획 어떻게들 되세요? 3 클스 2014/12/23 966
448479 금보라씨 전 남편도 연예인이신가요? 9 그냥궁금 2014/12/23 7,847
448478 외항사 승무원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 4 외항사 2014/12/23 5,118
448477 50대 초, 침대 추천 부탁드려요. 1 침대 2014/12/23 1,240
448476 오늘 오후에 이케아가면 막힐까요? 6 Toya 2014/12/23 1,045
448475 클라우즈 오브 실즈마리아 4 그랬어 2014/12/23 845
448474 퇴직임원(60대) 선물 문의 1 문의 2014/12/23 1,157
448473 외국인 자금.아시아중 한국에서 최대 이탈 1 .... 2014/12/23 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