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소비형태가 달라진건 사실이고... 또 그럴수 밖에 없죠.

ㅇㅇㅇㅇ 조회수 : 3,516
작성일 : 2014-12-15 14:32:45
30-40만원 모아서 10년뒤에 3600만원...

만들어서 집사는데 보탠다?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그것보단 그냥 그때그때 좋아하는것 사고싶은것 사고 만족하는게

행복의 총량에 있어선 뛰어난게 맞죠.

예전처럼 좀 열심히 모으면 집을 살수 있는 시대가 아니니까.

포기하는거죠... 

좋은집.. 큰차..

덩치가 큰것일수록 그거 하나 포기해서 다른것 여러개를 얻을수 있으니..

너도 나도 그러자 하는 추세구요.

집사느라 평생 거지로 사느니.. 집하나 포기하고 조금 숨통 트이게 살겠다 하는.. 뭐 그런거죠.

이해가 가고.. 또 안쓰럽기도 하고..

그렇네요..

그만큼 우리 사회의 양극화는 심화되어가는거죠.

그걸 부추긴것이 과거의 부동산 투기구요.

젊은 세대는 그 폐해를 고스란이 떠안을수 밖에 없으니 

저런식으로 소비형태가 보여지는거고..

또 그럴수 밖에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IP : 218.159.xxx.178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40만원이면
    '14.12.15 2:35 PM (203.247.xxx.210)

    5200

  • 2. ㅋㅌㅊㅍ
    '14.12.15 2:40 PM (122.153.xxx.12)

    은행에 넣어봤자 이자도 안주는데 뭐하러 은행 좋은 일 시키냐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죠.

    예전에 imf전에는 이자 많이 주니까 저축을 많이 했지만

    지금은 이자를 안주니 은행에 돈을 안넣죠

  • 3. ㅇㅇㅇ
    '14.12.15 2:45 PM (221.132.xxx.20)

    제가 결혼하고 남편한테 말한게 있죠.
    한달에 50만원 1년이면 600, 10년해봤자 6천만원이라고.
    이 6천만원 내가 직장 1년 더 다닐테니 한달에 50만원정도 여유자금으로 소소한 행복 누리며 살자고.

  • 4. 애엄마
    '14.12.15 3:14 PM (168.131.xxx.81)

    지나치게 크고 비싼 집을 빚내서 사는 건 문제가 있지만,월세로 바뀌는 추세에서 직장 그만두면 당장 길바닥에 나앉아야하는데 집 없이 어떻게 하려고요.

    제가 살던 집이 재건축 들어가는 바람에 전세 구하는데 죽을 뻔 했습니다.올수리했다는 집이 샤시 사이로 바람이 숭숭 들어오고 하수도 물도 안빠지고. 욕실 수납장은 최저물건이라 매번 치약 수건이 바닥으로 떨어져요.

    좁은 집이나마 자기 집이면 수납 짜 넣고 어찌어찌 하겠는데.(저는 33평 집을 30평으로 줄여서 재건축 선택했어요. 추가부담금으로 돈 더넣고 싶지않아서요)

  • 5. ...
    '14.12.15 3:31 PM (61.97.xxx.39)

    내가 언제까지 일할수 있다고 버는거 다 써버리고 살아요
    써버리고 사는 사람들 하는 얘기가 한결같이 똑같죠
    내가 내일이라도 죽을수 있는건데 즐기고 살꺼라고
    그렇게 생각한다면
    내가 내일 당장 사고가 나서 돈을 못 벌게 되거나 아파서 돈이 필요한 상황이 될수도 있는거 아닌가요
    자신에 소비를 한쪽 방향으로만 듣고 합리화시키는거죠

  • 6.
    '14.12.15 3:32 PM (61.79.xxx.82)

    6천이적은돈인가요
    늙으면 한달 십만원용돈이 아쉬워요
    노인연금 2 30 만원받는덕에
    조금 형편풀린분들많아요
    젊었을때 내가 나가 파출부라도하지
    할수있을때와
    늙어서 어디일할데도없고 일할몸도안될때랑은
    하늘과 땅차이예요

  • 7. ..
    '14.12.15 3:34 PM (218.234.xxx.133)

    세상 살다보면 자의 반 타의 반 경제 생활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와요...

    1년 더 직장 다니지 뭐 하시는데 그게 자기 뜻대로 안될 경우가 온다는 거에요..
    (내가 사고나 질병을 앓을 수도 있고, 회사가 도산하거나 부서/내가 정리해고 당할 수 있고...)

    그래서 (미래를 위해서) 저축을 하는 거고,
    집을 꼭 살 필요는 없지만 좁은 집이라도 전세 구할 만큼의 자금은 있어야 하는 거고..

    컨설턴트들에 따르면 집에서 경제활동하는 사람이 실직했을 경우(즉, 고정 수입이 갑자기 없어질 경우)
    최소 3개월 버틸 자금 있어야 한다는데요, 제가 경험해보니 나이 먹을수록
    재취업이 어려워서 3개월 아니라 1년 버텨야 할 자금이 필요하더라고요.
    (월 생활비 200만원 내외라면 최소 3000만원 정도로 언제든 꺼내쓸 수 있는 현금이 있어야 한다는 거)..

  • 8. 문제는
    '14.12.15 3:36 PM (211.36.xxx.27)

    40만원만 쓰자..하면 100만원 쓰게 되요. 하나를 사서 만족하면 다음엔 두개는 사야 만족이 된다는거.

    섹스엔더 시티의 여주인공이 집 구하러 은행 갔다 퇴짜맞고 그동안 구두 사쟁이지 말고 돈 좀 모을걸..하고 후회하는 장면 나와요.

    소비를 통해 느끼는 즐거움이 온전히 내것일까요? 남과 다름을 티내는 한 방법이 아닐까요? 내가 소비했음을 남들이 알아봐주고 부러워해주니 즐거운거 아닐까요?

    어제 sbs에 나온 직구족 남편은 물건이 오자마자 물건 싸게 샀다고 자랑하더군요. 주방용품 싸게 샀다고 자랑하고.

    결국 그 즐거움은 자랑...내지는 티내기.. 그건거죠. 나 혼자 산다면 안즐거울 걸, 남들이 봐주니 즐겁다는거.. 이건 온전히 내것은 아닌거 같아요.

  • 9. ...
    '14.12.15 3:44 PM (115.139.xxx.18)

    젊을적 갖은 궁상 다 떨면서 살았고
    절약해야 한다는 생각때문에 맘이 힘들었어요.
    그래봤자 모은 돈도 얼마 안 됐구요.
    제가 돈을 모은 것은 분양받은 집 오르고 부모님께 증여 받은 것이 컸어요.
    그렇지만 소소한 행복이란게 소비를 통해야만 누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소비란 할수록 더 소비하고 싶게 만드는 것이기도 하고요
    지금의 젊은 세대를 이해하고는 있지만
    그게 맞는 거란 생각은 안 듭니다.

  • 10. ..
    '14.12.15 3:59 PM (121.167.xxx.114)

    10년에 6천이면 있는 사람한테는 껌값이지만
    그정도 스득에 그런고민 하실분에겐 큰 돈이죠
    형편은 다르면서 생개은 있는 사람에 빙의해서 한다는게 에러
    이게 한국서민들의 현주소

  • 11. 뷰부브차
    '14.12.15 4:07 PM (211.172.xxx.246)

    한달40만원 저축에 1년이면 600만원 이지만,+알파라는게 있지요
    물론 요즘 금리가 너무 밑바닥이긴하지만, 오르는 시기가 또 오겠죠.
    종잣돈이 모여지면 돈이 돈을 모을 수가 있어요.
    사람들은 늙어도 지금같이 돈 벌 수 있다고 착각하며 버는대로 쓰고 늙어가죠. 그러나 늙으면 전혀 그럴 수 없다는걸 그때서야 깨닫게 됩니다.
    돈 모으는 재미도 쓰는 것 만큼 즐거울 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8960 허니버터칩때문에... 7 왜그랬을까 2014/12/23 2,383
448959 바닥이 좀 두꺼운 털신 없나요? 5 겨울신 2014/12/23 853
448958 전국적 선거 없는 해 ‘구조개혁’ 강행…가계소득 증대는 퇴색 2 세우실 2014/12/23 436
448957 아직 좀 이르지만 새해 결심 공유해 봐요. 8 각오 2014/12/23 913
448956 [ 세월호 노란 리본 트리 ] 며칠이라도,,,, 10 노란리본트리.. 2014/12/23 776
448955 얼마전에 뱅크리치라는 곳에서 상담 받았는데요 뭘로 해야될지.. 1 푸드앤 바니.. 2014/12/23 460
448954 크리스마스이브에 유방암 조직검사해요. 모양이 안좋다고 9 저요 2014/12/23 2,945
448953 방금 정시 세군데 접수 했는데요. 10 어렵다ㅠ 2014/12/23 3,009
448952 여자들이 타인에게 더 냉정한것 같아요 5 .. 2014/12/23 1,520
448951 남편의 빚 조언구합니다. 10 쨍쨍 2014/12/23 2,874
448950 저지방이나 무지방은 20 .. 2014/12/23 2,366
448949 직딩맘님!!! 알려주세요. 3 ... 2014/12/23 525
448948 아빠가 아이를 과하게 혼낼때 어찌하시나요 20 조언절실 2014/12/23 2,855
448947 건식으로 화장실 사용하시는분 답주세요~~~~ 8 화장실 2014/12/23 2,404
448946 저보다 나이 많은 분이 자꾸 언니라고 부를떄... 13 언니 2014/12/23 2,695
448945 갈색병 낮에 쓰면 안되나요? 4 나이트 2014/12/23 5,180
448944 르쿠르제 주물냄비 안쪽으로 실금이 갔어요 르쿠 2014/12/23 617
448943 상처에 밴드? 연고?? 반짝반짝 2014/12/23 712
448942 미국 시애틀.포틀랜드에 있는 칼리지 가면 일년에 학비가 어느정도.. 9 주립대학이나.. 2014/12/23 1,899
448941 삼시세끼 인절미가 어른거려요 13 삼시 2014/12/23 3,542
448940 코스트코 인도커리 먹을만 한가요? 크리스마스 케익도 고민.. 2 .. 2014/12/23 1,357
448939 내년에 수능최저기준 없애는 대학 또 있을까요 4 한양대처럼 2014/12/23 1,720
448938 미니 오븐 어떤 것이 좋나요? .... 2014/12/23 395
448937 테팔 에어포스 무선 청소기 청소기 2014/12/23 1,044
448936 눈앞에 분비물이 자꾸 끼이는데요 2 ,. 2014/12/23 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