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님께 용돈 드리는 문화 어떻게 생각하세요?

궁금해서 조회수 : 5,382
작성일 : 2014-12-02 00:06:50
글 읽다 보니 부모님 용돈 드리는 이야기가 나와서 궁금해져서요. 
제 경우도 부모님이 저보다 더 넉넉하시고, 친척분들도 그런데 용돈 받으시는 분은 없으시거든요. 
저도 명절이나 생신은 챙깁니다. 칠순때는 섭섭치 않게 해드리려고 동생하고 따로 돈도 모으고 있고요. 
그런데 주변 보면 매달 용돈 챙기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것 같네요. 부모님이 어려워서 도와드리는게 아니라 더 넉넉하신 경우에도요. 게다가 형편 안 좋아졌는데, 계속 드리기 힘든데 말 꺼내기 힘들다 이런 고민들도 종종 보이네요.

저는 솔직히 형편 좋은 부모님 매달 용돈 챙길 필요가 꼭 있나 하는 생각이거든요. 
받으시면 물론 기분은 좋으시겠죠. 자식들이 나를 이렇게 생각하는구나 생각하실테고 여유 있고 하는게 즐거우면 당연히 할수 있다고 봅니다. 그 만큼 돌려주시는 분들도 있고요. 
그렇지만 요새 보면 이게 일종의 사회적 분위기처럼 되버린것 같고, 부모님들도 은근히 다른 주변 자식과 비교해서 어딜 보내줬네. 뭘 해줬네 이런걸로 자랑거리 삼는 분위기라 프로포즈 어떻게 받았냐. 생일선물 뭐 받았냐처럼 일종의 경쟁처럼 되버린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들거든요.  

이런 용돈 문화 어떻다고 생각하세요? 아름다운 우리 정서일까요? 아니면 이것도 돌잔치 비슷한 의무가 되가고 있는 걸까요? 




IP : 78.87.xxx.234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파란하늘보기
    '14.12.2 12:11 AM (58.229.xxx.138)

    제 주변에도 드리는 분 없어요
    다들 안받으시는.. 명절에도 드리면 그걸로차비하라고 되돌려 주세요
    근데 제 시어머니는 당당히 생활비 요구
    드리는데 너무 당연시.
    이런 부모들 특징이 내가 키울때 고생했으니 당연하다 고 생각.. 어떤 부모든 다 그렇지 않나요?
    전 제 자식이 준다고 해도 안받을 듯요.
    자식들도아껴 지들 모으고 해야지..
    특별한ㅇ날은 몰라 매달 당연시 하는 부모들은 문제 있다 봐요..

  • 2. ..
    '14.12.2 12:11 AM (121.167.xxx.114)

    사회초년생입니다. 저는 용돈문화랄 것도 없이 매달 조금씩이라도 드리는게 최소한의 도리라고 생각해요. 적어도 자식 취직때까지 등록금, 학원비 심지어는 결혼비용까지 부모님이 다부담해주시는 우리나라에서는요. 돌잔치에 비교하시다니 어처구니가 없네요. 어찌 이리 생각이 다를 수 있는지...

  • 3. 안단테
    '14.12.2 12:15 AM (175.252.xxx.61)

    명절이나 생신에 드리는 것은 당연하지만 생활비를 보태드리고자 매달 보내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자식들은 생계를 꾸려야 하고 그들의 노후도 준비를 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뜯어가는 시댁은 양심없어요.

  • 4. 원글
    '14.12.2 12:16 AM (78.87.xxx.234)

    돌잔치라는 비유가 좀 거북하게 들리실수도 있겠네요. 제가 의미한건 본인이 여유있고, 기꺼워서 하는게 아닌 좀 밀려가는 분위기.. 이걸 표현하고 싶어서 그리 썼어요. 좀 경솔한 표현이었다면 사과드립니다.

  • 5. ........
    '14.12.2 12:16 AM (211.207.xxx.203)

    시댁이나 친정이 넉넉한데 용돈 드리는 분들의 경우, 그이상으로 받아요.
    어르신들은 대부분 자식 짝사랑하세요,
    그러니 수 십 억 부자라도 자식이 20만원 챙겨드리면 좋아하더라고요.
    연결하는 작은 끈같은 거죠.
    시작은 의무감같은 건데, 나이들고 어느 시기가 되면 자식에게 정서적으로 의존하는
    나이 든 사람의 애졍결핍이 와닿는 순간이 생겨요, 돈 드리거나 선물 드리면 대화거리도 더 많이 생기잖아요.

  • 6. 맞아요
    '14.12.2 12:20 AM (211.36.xxx.67)

    저희 친정 엄마는 날씨 안 좋은날 걱정하는 전화 한통 드려도 좋아하세요. 제가 챙겨 갖고가는 단호박. 고구마 그런거 받으셔도 누군가 본인을 챙겨준다는 생각에 행복해 하시더라고요.

    용돈 드리면 너무 좋아하시고 다른 루트로 곱절이상 돌려주시네요. 나이 드시면서 자식이 본인을 살펴준다는 것에 감동 받으시는것 같아요

  • 7. ..
    '14.12.2 12:36 A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대학 이후 어학연수비용이나 고시준비비용도 대고, 집까지 사주는 현실에선 자식이 생활비를 상납하는 게 마땅하지만,
    보통 부모가 베푸는 집에서 자식한테 뜯기고,
    자식한테 투자도 안하고 베짱이처럼 논 부모는 죽는 날까지 자식을 뜯어먹는다는 게 함정.
    한국처럼 부모자식 간의 유착이 심한 나라에서는 어떤 해결책도 불가능하고
    능력껏, 양심껏 벗겨먹든, 뜯겨주든 알아서 해야겠죠.

  • 8. 멜란지
    '14.12.2 1:21 AM (42.82.xxx.29)

    이런건쌍방간의 서로의 암묵적인 상호관계가 존재하므로 어떻게 하라 하는건 의미가 없는문제같아요.
    아차피 자식한테 이렇게까지 뽕 다 뽑아서 주는 문화도 우리나라에서 유독 심한거구요.그러니 자식한테 손벌리는것도 어느정도 가능한거겠죠.애가 성인이 되어도 계속 주잖아요 결혼비용이다 뭐다..

  • 9. ....
    '14.12.2 1:25 AM (175.223.xxx.235)

    결혼할때 십원도 안보탰으면서 다른집 사위 며느리는 용돈 주더라 하면서 억지 요구하는 시부모도 있기에 결혼할 때 도움을 받은 사람은 매달 드리는게 도리지요

  • 10. 아직
    '14.12.2 2:07 AM (182.208.xxx.69)

    우리나라는 부모님 용돈 드려야 하나?를 논할 계제가 못돼요.
    결혼할 때 부모지원을 당연하게 여기는 게 자식들인데
    용돈 몇푼 드리는 건 아까운가보죠?

  • 11. 음...
    '14.12.2 2:24 AM (118.46.xxx.79)

    제 경우에는 정말 친정이나 시댁에서 지원받은 거 한푼도 없거든요.
    결혼할 때도 그렇고 결혼하기 전도 그렇구요.
    대학때도 제가 알바했고요.
    그리고 친정에서는 제가 밥 먹는 것도 아까워하던 정도였어요.

    그래도 저는 저희 친정어머니 살아계실 때는 매달 부족하지 않게 용돈을 어머니 통장에 이체했어요.
    어머니 돌아가시니 이젠 끝났지만요.
    시댁에는 주로 큰돈으로 몇천씩..ㅠㅠ

    남편하고 제가 결혼해서 살면서 정말 천원 한장에 바들바들 떨면서 살고
    악착같이 안 쓰고 모아서 겨우 살만 해졌어요.
    친정 아버지는 저보다 훨씬 부자시고요.

    솔직히 저는 친정 아버지께 갈때마다 한우 사가지고 가고
    평소에도 좋은 거 많이 배송해드리고 선물 드리지만
    저같은 경우 아버지께 용돈을 보내드려야 한다는 생각은 안드네요.
    받은게 많은 자식들은 그럴 수도 있다고 봐요.

  • 12. ....
    '14.12.2 2:47 AM (218.147.xxx.56)

    악순환이라고 생각해요. 자기노후대비는 자기가 알아서 해야지요.

  • 13. ..
    '14.12.2 3:01 AM (112.149.xxx.183)

    결혼할 때 지원 받고 말고간에 제주위엔 저희나 형제들도 그렇고 어쨌든 노후 생활이 되시는 부모님들께 매달 용돈 드리고 이런 경우는 없어요..명절, 생신, 간간히 여행, 뭐 이것저것 챙겨드리긴 해도 일정하게 드리고 하는 건..
    여기 82서나 맨날 봄..

  • 14. 이런얘기전에
    '14.12.2 10:23 AM (110.70.xxx.148)

    부모가 대학등록비 주고 집사주고 하는건 이해되세요

  • 15. 답 드리자면
    '14.12.2 10:37 AM (178.59.xxx.52)

    전 부모라면 대학교육까지는 책임질 의무 있다봅니다. 동시에 그렇게 해주신 부모님이 경제적으로 힘드시면 부양해야 할 의무도 있다고 생각하고요.
    그렇지만 자식에게 집까지 해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저와 남편도 결혼식, 집 다 지원 없이 저희끼리 했고요.

  • 16. 원글
    '14.12.2 8:16 PM (178.59.xxx.52)

    이야기가 왜 결혼 어떻게 했냐까지 가는지 모르지만, 반반하고 결혼했어요. 그러고 보니 제 돈이 좀 더 들어가긴 했지만 뭐 거의 비슷합니다. 모은 돈으로 시작하고 나머지는 대출 받았고요. 지금도 대출금 갚고 있네요.
    교육시켜주신거 감사하고 당연한거라 생각은 안해요. 그래서 저도 나름대로 효도하려 하고요. 그래도 제가 부모입장이 되었을땐 내가 베푸는 호의다 생각하진 않을것 같거든요. 전 제 자식에겐 대학까지는 의무라 생각하고 하려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3052 갑자기 배변에 문제가 생긴 37개월 여아..어쩌면 좋을까요 2 ... 2014/12/07 750
443051 영하의 강추위속에 계속되는 횃불연대의 48차 박근혜 퇴진 시위.. 1 뉴스 2014/12/07 930
443050 직구, 배송료가 너무 비싸요. 22 왕초보 2014/12/07 6,364
443049 종각,광화문, 혹은 우장산 발산 커피 맛있는 곳 좀 알려주세요... 3 궁금 2014/12/07 818
443048 비자에서 하는 직구 이벤트 lim920.. 2014/12/07 505
443047 오피스텔에서 혼자 일하는데 무서워요 5 해결책은? 2014/12/07 3,753
443046 38살싱글열분 앞으로 어떻해요?ㅠㅠ 16 아흑 2014/12/07 4,763
443045 근데 호텔 결혼식장은 왜 다들 어두컴컴 한지 4 구름 2014/12/07 1,930
443044 이런경우 원룸계약 어찌해야하나요 푸우 2014/12/07 450
443043 약사님 계신가요?-에피시나정을 아이가 조금 먹었어요 Dd 2014/12/07 878
443042 소개팅 당일 파토 6 알토 2014/12/07 6,731
443041 2015년 상반기 대한민국의 토정비결 꺾은붓 2014/12/07 1,357
443040 고3 기숙학원 추천 4 ... 2014/12/07 1,443
443039 우체국적금안전할까요? 3 적금만기 2014/12/07 2,474
443038 요새 가산아울렛 세일하나요? 4 ... 2014/12/07 1,313
443037 중1 패딩 뭘사주세요 ~네파를 샀는데 25 에고 2014/12/07 4,565
443036 음영섀도우 잘 아시는 분들 좋은 제품 추천해주세요 4 섀도우 2014/12/07 1,446
443035 대학원 학비 속인 며느리 22 grad 2014/12/07 20,959
443034 케이팝 '정승환'좋지않나요...?!!! 14 아,,,, 2014/12/07 2,479
443033 음악에 재능있는애가 영어듣기도 6 aa 2014/12/07 1,051
443032 연세 많은분과의 카톡에 이모티콘 사용 괜찮나요? 3 질문 2014/12/07 659
443031 밑에 직업 속이는 남자 글 보고...... 근데 남자 아니라도 .. 4 .... 2014/12/07 1,408
443030 39 에요 ..제 나이 또래분들 무슨낙으로 사세요 ? ^^ 44 튼튼이 2014/12/07 18,488
443029 선보고 혹시 두달이나 석달..만에 결혼하신분 계세요? 18 ,,,, 2014/12/07 7,926
443028 신경성 위염 증세가 어떤건가요? 1 위염 2014/12/07 1,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