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이 문맹율이 높다니 !!

문맹율 조회수 : 3,283
작성일 : 2014-11-24 17:01:34
여태 한글의 우수성 때문에, 문맹율이 엄청 낮은 편에 속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아니라는군요.

http://media.daum.net/series/112950/newsview?rMode=list&cSortKey=depth&allCom...

IP : 112.221.xxx.19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4.11.24 5:01 PM (112.221.xxx.19)

    http://media.daum.net/series/112950/newsview?rMode=list&cSortKey=depth&allCom...

  • 2. qas
    '14.11.24 5:03 PM (175.200.xxx.175)

    글은 따라 읽을 줄 아는데(한글이 워낙 쉬우니), 그 글을 읽고 의미 파악을 못한다는 얘기죠?
    82에도 많이 보여요.

  • 3. qas
    '14.11.24 5:04 PM (175.200.xxx.175)

    하긴... 굳이 82이 아니라 중고등학생들 많은 커뮤니티에도 글 의미 파악 제대로 못 하는 애들이 많기는 하던데...

  • 4. 원글님도..
    '14.11.24 5:05 PM (58.140.xxx.43)

    잘 읽어보세요..문맹률과 독해율이 반비례하는걸....

    다들 기사를 읽어도 투표할때 보면 왜 자신과 전연 상관없는 정당에 표를 주는지..
    대부분 포털에 헤드라인만 읽고 뉴스 스킵할때도 많쟎아요.

    해당 기사를 자세히 읽어보면 헤드라인과 내용은 달라요
    어떤 신문사가 정부나 대기업을 홍보하는지....

  • 5. ...
    '14.11.24 5:07 PM (121.157.xxx.158)

    '문맹'이 문제가 아니라 ... 실질적인 국민의 지적 수준을 짚어보는 기사네요. 꽤 충격적입니다.

  • 6. ....
    '14.11.24 5:09 PM (121.181.xxx.223)

    근데 우리말이 좀 문맥파악하기가 쉬운 말은 아닌것 같아요..가끔 영어원서로 보면 이렇게 쉬운말을 이렇게 어렵게 번역을 해놨나 싶은게 있던데 우리말로 더 쉽게 번역 하기도 어렵겠다 싶기도 하더라구요..

  • 7. 나다
    '14.11.24 5:09 PM (115.95.xxx.229)

    요새 초등 학교에서 이미 한글을 다 배우고 입학한 것으로 간주하고, 수업 진도를 나가요.
    사교육에서 배우는 것이랑 진짜 전문적으로 한글을 가르치는 것을 배운 교육대학교 출신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것이랑은 완전히 다른데도, 똑같이 취급해서 한글을 배웠다고 치고, 진도를 뺍니다.

    그게 가장 큰 문제라고 교육현장에서는 말하고 있어요. 그외에는 조기유학이나 조기 영어교육 등으로 인해 언어에 혼란이 온 경우가 많아서 문맹률이 높다고 하고요.

    이건 다른 나라의 문맹률과는 다른 한국의 특수성 때문인 것 같아요.

  • 8. ...
    '14.11.24 5:11 PM (211.175.xxx.32)

    멀리 볼 것 없어요.
    글을 제대로 못 읽어서 이상한 댓글 다는 사람 82쿡에도 넘쳐나요.

  • 9.
    '14.11.24 5:14 PM (121.161.xxx.53)

    그러니까 그냥 1번 찍는 사람들이;;;
    노인들의 투표권에 대해서 생각이 많아지네요.

  • 10. ...
    '14.11.24 5:15 PM (121.157.xxx.158)

    글쎄요..이것도 우리나라 환경의 특수성을 탓하는 게 맞는 건가 싶습니다. 위에 기사에 나온 실험군에 속하신 분들도 ..적지 않게 살아오신 분들을 대상으로 한 건데요. 언어적 특수성을 얘기하기엔... 말 그대로 모국어인데요. 우리가 홍콩같은 case도 아닌 거구요. 쉽게 납득이 안 갑니다.

  • 11. ㄱㅈㄹ
    '14.11.24 5:15 PM (123.215.xxx.214)

    이게 경제력과도 연관이 있죠.
    지금 식자율이 가장 낮은 연령층이 중노년층인데
    이 사람들은 한창 학생으로서 배워야할 시기에 대한민국이 후진국이었죠.
    그래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초등학교만 졸업하고 바로 취업전선에 뛰어들었습니다.
    저희 큰이모도 초등학교만 졸업했죠.
    8살터울인 저희 어머니만해도 큰이모덕에 대학을 갔거든요.
    저희 큰이모는 따로 나중에 검정고시로 전문대까지 나오신걸로 압니다만
    또래 사람들 중에 글 읽는고 이해하는 걸 어려워하시는 분들도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 12. 문맹율
    '14.11.24 5:21 PM (112.221.xxx.19)

    조사 담당 연구자는 이렇게 말합니다. "독해력이 낮으면 의미 있는 의사소통이 힘들어지니까, 정치적인 참여나 정치적인 발전에 이르는 데도 저해가 된다."

  • 13. ㅎ...
    '14.11.24 5:23 PM (121.157.xxx.158)

    대선 토론 때도.. 토론회에서 나왔던 말이 무슨 말인지 알았다면, 장물로 부를 쌓고, 세금도 안 내고, 거기다가 독재자의 딸인 사람을 비난한 것을 '싸가지가 없다'면서 배척하진 않았겠죠...그게 우리나라 국민의 일반적인 수준인가봅니다.

  • 14. 하이
    '14.11.24 5:31 PM (220.76.xxx.94)

    40년중반부터 55년생쯤은 문맹율이높을거예요 우리소꼽친구들도
    그당시 국민학교도 못간 사람들 많아요 읽기는억지로 읽는데 한글못써요
    그시절에는먹고살기힘들어서 여자아이들은 학교에 안보냈어요
    중학교까지만가도 엄청많이학교 다닌겁니다

  • 15.
    '14.11.24 5:41 PM (110.13.xxx.33)

    반드시 읽는 것에만 국한되는 얘기가 아니라,
    말 잘 안듣고, 자기 얘기 할 차례만 기다리는 스타일이죠.
    대화와 토론이 어려움.

  • 16. 문맹률
    '14.11.24 5:59 PM (211.192.xxx.132)

    한국의 노인 문맹률이 상당히 높은 편이에요. 외국 노인들과 달라도 너무 다르죠. 그쪽은 오히려 노인들이 더 책을 많이 읽으시고 교육수준 낮은 젊은층 때문에 골칫거리...

    우리나라는 대통령만 봐도 짐작이 가지 않나요. 말귀도 제대로 못 알아듣는데 글은 이해하겠어요?

  • 17. 멀리
    '14.11.24 6:56 PM (219.248.xxx.153)

    갈것도 없이 제 주변만 봐도 오십넘어 책 읽는 사람 못봤어요.
    책 읽는것도 일종의 습관인데 나이 먹어 책 안 읽는 사람은 대체로 그전부터 쭉 안 읽었던 사람이죠.
    지적인 호기심이 없이 그냥 늙는거 바로 꼰대로 가는 지름길이죠.
    나이먹어 고집만 세져서 남의 말도 안들으려 하고 철석같이 믿는건
    조중동에 뉴스...끔찍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9584 아파트 월세 주인한테 언제말해야 하나요? 2 궁금 2014/11/25 1,382
439583 일반고 전형에 대해서 아시는 분 설명 좀 16 이가갈린다M.. 2014/11/25 1,816
439582 서울 요즘 옷차림 어떤가요? 8 옷~ 2014/11/25 2,363
439581 무역영어 관련 책 추천 부탁해요 1 완전초보 2014/11/25 894
439580 무료로 공부할 수 있는 사이트를 정리해봤어요 117 다루1 2014/11/25 9,572
439579 두집 중에 어디가 나을까요? 6 도움좀 2014/11/25 1,070
439578 정윤회의 ‘정’ 자만 나와도 청와대까지 벌벌 떠는 것을 보며 5 얼레꼴레 2014/11/25 1,836
439577 국민협동조합에 대해서 2 뚜벅네 2014/11/25 843
439576 아직 난방 시작 안하신 분들 계세요? 10 난방 2014/11/25 2,031
439575 눈밑 스컬트라에 꽂혀버렸는데... 5 쉽지않네 2014/11/25 10,585
439574 스토커 기질이 있는 남자를 알아볼수 있는 힌트엔뭐가있을까요? 6 고민중 2014/11/25 4,897
439573 이번 주말 제주도 추울까요 2 모르겠어서 2014/11/25 492
439572 전남친이 있는 대학원 가도될까요?ㅠㅠㅠㅜ 16 공수니&am.. 2014/11/25 3,002
439571 하루에 2시간 걷는거 무리일까요 11 ㅇㅇ 2014/11/25 3,886
439570 스마트폰 전자파에 저처럼 예민하신 분 계신가요? 2 스마트폰 2014/11/25 997
439569 올해 정말 안춥네요 44 호올~ 2014/11/25 14,826
439568 전세 재계약 해보신분 알려주세요 1 난쟁이 2014/11/25 769
439567 다리미 추천 부탁 드려요~^^;; 1 ^^* 2014/11/25 906
439566 교통사고 합의금 2 ... 2014/11/25 1,714
439565 개주인을 찾습니다. 7 알래스카 맬.. 2014/11/25 986
439564 베란다 타일깨고 방수공사새로했는데 온집안에 분진땜에 미치겠어요... 2 엠제이11 2014/11/25 1,648
439563 성북동 최순우 옛집에서 삼청동가는길 알려주세요. 7 나들이 2014/11/25 1,279
439562 찹쌀풀을 넣으면 뭐가 달라지나요? 6 무말랭이 무.. 2014/11/25 2,071
439561 중고딩 패딩 어디가 좋은가요? 8 밤에 춥다... 2014/11/25 2,188
439560 공복혈당이 100 나왔어요 안떨어지나요? 10 2014/11/25 3,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