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돌잔치 직계가족만 불러서 하는것도 시댁허락 받아야되나요?

고민.. 조회수 : 2,755
작성일 : 2014-11-21 12:51:12

내 아이 첫 생각이라는 생각으로 돌잔치 그냥 직계가족(시어머니, 시아버지, 미혼 시누, ) (저희엄마 아빠 언니 형부) 이렇게만 불러서 할까 하는데요

 

이렇게 하는 것도 시부모님 허락 받아야하나요?-_-;;;;

 

양가 첫 아기인지라 시부모님 관심 많으시긴 한데 남편이 시댁에선 무조건 이모 고모 다 부르고 싶어할꺼래요.

 

전 그런 돌잔치 싫어서 그렇게 안하고 싶은데 그냥 제 맘대로 요새는 이렇게들 많이 하니 소규모로 직계가족만 하겠다고 말씀드려도될까요?

 

참고로 돌잔치 간소하게 하려는 이유에 시아버지가 술주정이 어마어마 하신지라(술먹으면 콧물 침 다 흘리시면서 본인이 그러시는지 인지도 못하세요, 어머님이 닦아주려고 하면 싫어하시구요) 저희집 친척이나 회사사람들한테 그런모습 보이기 싫거든요.

술먹으면 화내고 소리도 치시구요. 분명 손주 돌잔치라고 술 드실텐데 그냥 직계가족끼리 하고싶어요..

IP : 58.234.xxx.14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1.21 12:54 PM (175.118.xxx.40)

    원글님이 말씀하신 직계만 모이면 서로 엄청 불편할텐데요...서먹서먹
    돌 전후로 시댁 친정 따로 직계 모여 식사하고 돌잡이는 아이 진짜 생일에 가족만 하는 것도 괜찮을 듯 해요

  • 2. ...
    '14.11.21 12:55 PM (175.215.xxx.154)

    어머니 아버지 이러저러 해서 직계 가족만 모시고 돌잔치 하기로 했습니다. 몇일에 괜찮으시겠어요?
    라고 조근조근 허락반 통보반 으로 이야기 하세요

  • 3. 윗님 말씀대로 하세요.
    '14.11.21 1:04 PM (122.128.xxx.220)

    돌잔치부터 허락받는 버릇을 들여놓으면 나중에 어쩌시려고요?
    님은 시가의 하녀가 아닙니다.

  • 4. 저는
    '14.11.21 1:18 PM (113.216.xxx.33)

    그렇게 하고싶은데 더부르고싶은 분 있냐고 여쭤보고
    몇분만 더 초대해서 했어요
    친하게 지내시는 이모 사촌 고모 정도 부르셔서 다해서 열다섯명정도?
    한정식집 상차려주고 간단히 사회봐주는데서 하니 적당하고 좋았네요

  • 5. ...
    '14.11.21 2:09 PM (110.9.xxx.122)

    아마 시부모님들이 조카 손주들 돌잔치에 축의금을 낸 적이 있으시면 부르고 싶어하실수도 있어요.
    '허락'을 받는다기 보다는 그냥 다른분 말씀처럼 이러저러한 일이 있어서 직계가족만 모시고 싶다고 말씀드리면 될것 같아요.

    그래도 정 섭섭해 하신다면 그냥 회사 사람이나 친구분은 빼고,양가에서 정말 친한 친척 몇분 정도는 모셔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 6. 저도..
    '14.11.21 4:37 PM (175.192.xxx.83)

    전 첫째는 부모님만 모시고 하고 둘째는 안 할 생각인데 남편이 자기네 집에 뭐라고 얘기하냐고 난감해 해서 벙쪘어요.
    부모인 우리가 안하겠다는데 그냥 안한다고 하면 될 일 아닌지..

  • 7. ,,,
    '14.11.21 8:05 PM (203.229.xxx.62)

    시아버지가 주사 있으시면 친정, 시댁 따로 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64731 한달에 50만원 더 버는게 많은 차이가 있을까요? 16 ... 2015/07/17 3,815
464730 집과 예단 8 ss 2015/07/17 2,677
464729 경제 보는 눈을 기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13 ... 2015/07/17 1,839
464728 제 다이어트는 성공하질 못하네요. 11 ... 2015/07/17 2,845
464727 이거 왜 이슈가 안되죠? 1 PD 폭행 2015/07/17 1,224
464726 산모 면회시 필요한 물건이나 선물 추천 부탁드려요 4 이모된당 2015/07/17 1,538
464725 중학 수학문제 부탁드립니다. 7 베아뜨리체 2015/07/17 856
464724 종가집 김치도 맛이 왔다갔다 5 무지개 2015/07/17 1,510
464723 지혜를 주세요 2 외동맘 2015/07/17 964
464722 주식시장이란게..결국 개사기 아닌가요? 17 투기 2015/07/17 4,928
464721 지인이 신문정기구독 할당 떨어져서, 남편이 구독신청했다네요~~ㅠ.. 5 신문강매 2015/07/17 1,011
464720 인공심박기 대해 경험하시거나 아시는분 2 심장 2015/07/17 1,249
464719 설화수 트윈케이크 써보신 분? 4 ... 2015/07/17 3,371
464718 라마다서울호텔과 리베라부페..비비큐가보신분 2 부페 2015/07/17 589
464717 전기압력밥솥 몇년 쓰세요? 9 sss 2015/07/17 1,749
464716 맞벌이.. 남편설득이 쉽지 않네요.. 20 ... 2015/07/17 5,016
464715 중1중국어 학습지 뭐가 좋을까요? 2 2015/07/17 924
464714 “궁 스테이, 각계 의견 충분히 수렴… 문화재 보존·활용 조화롭.. 4 세우실 2015/07/17 668
464713 성적표 받으셨나요? 6 고등 2015/07/17 1,785
464712 일반유치원...거친 아이들 많나요 1 ..... 2015/07/17 1,296
464711 외국어 특기생으로 대학가는 법? 10 걱정 2015/07/17 2,664
464710 신경숙 이건 어떻게 보세요? 30 표절? 2015/07/17 5,312
464709 파마를 하고 집에 와서 정수리를 비춰보니 훤~하네요 4 날개 2015/07/17 2,410
464708 내솥에 흠있는 밥솥 쓸모 있나요? 5 무지개1 2015/07/17 1,376
464707 상처가 있는 아이를 위한 육아서 좀 추천해주세요... 4 ... 2015/07/17 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