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 담글때, 배추에 물 완전히 안빼도 되는듯..

물기 조회수 : 2,013
작성일 : 2014-11-21 09:54:43
전에는
인터넷이나 책에서 보고
배추 물기를 몇시간씩이나 완전히 뺏어요.
 
근데 레시피를 살펴보다보면
양념에 미지근한 물 들어가는것도 있고
어떤 나이든 요리사들은
김치 버무렸던 통에 물 한컵넣고 헹궈서
김치통에 부어라...이런것도 있더라구요.
 
또 어떤 이는 배추에서 빠진물
양념할때 넣어라 도 있구요.
 
그래서 이제는
배추 물 30분 정도만 물 빼서
양념해서 넣는데요.
이렇게 완전히 물 안빼도 되는거죠?
IP : 175.121.xxx.9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행복한 집
    '14.11.21 9:56 AM (125.184.xxx.28)

    배추에서 나온 단물이 양념이랑 버무려져서 더 맛있던데요.
    물속에 있는 김치가 더 맛있어요.

  • 2. ㅇㅇㅇ
    '14.11.21 9:58 AM (211.237.xxx.35)

    배추세포속?의 물을 빼내는것과 들어갈 양념에 물을 첨가하는건 다릅니다.
    똥그랑땡할때도 두부의 물은 꽉 짜지만 계란같은 수분을 따로 넣기도 해요.
    만두도 두부의 수분은 꼭 짜지만 물만두를 해먹을때도 있듯이
    배추 자체가 물기가 있는것과 배추는 쫀득한데 양념만 물기가 있는것은 다름
    배추 자체에 물기가 있으면 양념이 잘 안발라지고 겉돌기도 해요.
    김치가 숙성되면서 물러지기도 하고요.

  • 3. 원글
    '14.11.21 10:00 AM (175.121.xxx.98)

    000 님
    그런가요

    제 김치는 특별히 감칠맛 나거나 그런거 없어요.
    단지, 사먹는것보다 낫다는 정도 뿐이죠..

    그래서 그런지 이렇게 해도
    저렇게 해도
    맛 차이를 못느끼겠더라구요....

  • 4. 요건또
    '14.11.21 10:03 AM (182.211.xxx.176)

    저도 이 문제를 고민(?)한 적이 있었는데, 이 모순에 대한 제 생각은, 물기를 빼지 않은 배추에 속을 넣다보면 배추속에 물이 고이기 시작, 중간 이후 부터는 김장속(무채 버무린거) 속에 물기가 너무 많아져서 나중에 속을 넣는 배추들은 고추가루 양이나 소금양이 적절하지 않다는 결론이었습니다.
    그리고 배추에 속을 넣고 배추를 겉잎으로 감싸서 통에 넣어야 하는데 이 때도 물이 많으면 잘 싸지지도 않고 천지에 물 투성이..
    그리고 배추에 물이 많이 고여 잇으면 여전히 삼투압이 진해되어 간이 약해지기 때문에, 맨 마지막 물 헹굼에 소금 간해서 통에 물 붓는 것과는 간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은 올해부터 김장도 안 하기로 한 '안 프로'의 변이었습니다.

  • 5. 경험자
    '14.11.21 10:27 AM (218.236.xxx.211)

    배추씻은 물은 충분히 오래!!! 빼는 게 좋던데요.
    젓갈이나 풀 쑬 때 물이 또 들어가므로
    배추 자체는 충분히 물 뺀 상태로 양념해야 김치가 맛있습니다.
    양념 씻어낸 물은 전 된장찌개 끓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53497 서초동 비극은 13 착잡 2015/01/07 4,403
453496 좋은 부모가 된다는건 참...힘들어요 12 엄마 2015/01/07 3,193
453495 세월호 피해 지원 특별법 여야 합의…12일 본회의 처리 세우실 2015/01/07 1,109
453494 팽목항서 남편 소식 기다리다 결국 응급실로 4 참맛 2015/01/07 1,825
453493 부모님여행 오키나와 어떤가요 9 일본 2015/01/07 3,052
453492 요즘 오징어 먹으면 안되는 이유? 45 해산물 2015/01/07 17,851
453491 아침부터 82지난글읽다 군고구마 2015/01/07 1,020
453490 또 베스트 갔네요 죄송한데 또 삭제했어요 13 삭제 2015/01/07 4,567
453489 염색한 머리 다시 본래 머리로 기를 때 고민 2015/01/07 1,463
453488 저는 그 두 분말고 82분들께,,, 싸움은 말리고 흥정은 붙이.. 6 모녀글에 관.. 2015/01/07 1,770
453487 부분염색의 갑은 무엇일까요 3 베이 2015/01/07 1,617
453486 무쇠나라 전골팬 구입하려는데요 5 무쇠무쇠 2015/01/07 2,455
453485 아우디 A4 어떨지??? 16 궁금 2015/01/07 5,867
453484 드립용 원두 보관은 어느정도인가요 고수분들 팁좀 부탁드려요 6 짜라투라 2015/01/07 1,667
453483 알자지라, 통합진보당 의원들의 헌재 판결 법적대응 보도 light7.. 2015/01/07 945
453482 마트에서 통3중냄비를 샀는데요,,, 4 스텐둏아 2015/01/07 2,314
453481 전세 대출 1억.. 4 teo 2015/01/07 3,198
453480 모녀분 4 처음본순간 2015/01/07 2,636
453479 옛날 생리대 없던 시절엔 얼마나 불편했을까요? 55 생리 2015/01/07 16,343
453478 2015년 1월 7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5/01/07 1,272
453477 라면 끓여먹었어요. 3 ... 2015/01/07 1,644
453476 가족 잃은 사람이 죄인 되는 사회, 이제 끝냅시다 2 416인권선.. 2015/01/07 1,423
453475 내가 너한테 왜 잘해주는지 알아? 따님분.. 8 // 2015/01/07 4,156
453474 살짝 헤갈리는 인생 살아가는법 3 ㅁㄴㅇ 2015/01/07 2,432
453473 영국에서 가구를 사려고 합니다 8 고견 부탁드.. 2015/01/07 2,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