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애가 용돈을 잃어버렸어요

초5아들엄마 조회수 : 2,648
작성일 : 2014-11-18 19:11:06
달래주시나요? 혼내시나요?
2주쯤 전에 5천원을 잃어버렸는데 그날
속상해서 울더라고요
안됐어서 주의하라하고 위로했는데
오늘 또 그랬네요
게임기를 뽑겠다고
200원 짜리 뽑기를 7000원어치 할 생각에
잠바주머니에 넣고 가다 흘렸나봅니다
전화해서는 떼쓰고 뽑기뽑아 달라는데
이 녀석 어쩌죠?
오늘은 단단히 혼을 내야할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좀 잘 챙기고 조심할까요?
IP : 61.80.xxx.53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이
    '14.11.18 7:13 PM (175.121.xxx.181)

    얘기에는
    나이와 성별을 적어주셔야 합니다.

  • 2.
    '14.11.18 7:14 PM (211.36.xxx.10)

    애가 몇살인가요?

  • 3. 초5아들엄마
    '14.11.18 7:15 PM (39.7.xxx.158)

    라고 닉넴에 나와있는데

  • 4. 초5 아들이라고
    '14.11.18 7:15 PM (111.118.xxx.140)

    닉에 나와있네요
    용돈 관리요령을 교육하는게 우선순위같음
    7천원어치 뽑기!!!!!헉!!!!

  • 5. ..
    '14.11.18 7:17 PM (211.109.xxx.242) - 삭제된댓글

    부모가 잘못했네..

  • 6. 아이
    '14.11.18 7:21 PM (175.121.xxx.181)

    전 중1아들 키우는데
    저희앤 뭘 잃어버리지를 않아서..
    초1때 사준 가방을 지금도 소중히 간직하는 아이라서...

    아이마다 성향이 다릅니다.

    님 아들같은 성향의 아이는 안키워봤습니다만.
    일단 상습범? ㅋ 이네요.

    애를 혼내기전에...집안 환경이
    좀 물건을 잘 잃어버리거나,,허술히 다루는 분들이 있지않을까...싶네요.

    아이구..하여간 복잡하네요.
    남 가정사를 알아야 이건 좀 해결 가능한 문제라.
    부부간에 이 일로 대화를 해보시고

    부부와 아이 3명이 모여 또 대화를 해보세요.
    각자의 가정이 처한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요.

  • 7. 잃어버리는건
    '14.11.18 7:22 PM (39.7.xxx.158)

    어른도 하는실수니
    조심시키식고
    뽑기도 한때더라구요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마시고
    야단치지마시고
    좋은말로 타이르세요

  • 8. 그냥
    '14.11.18 7:33 PM (211.207.xxx.205)

    그냥 성향이에요.. 윗분 말씀처럼.......... 저희 남편은 어렸을때 물건을 자주 두고 다니고 잃어버리고 했다는데 지금도 똑같아요. 심지어 차키 조차도...

  • 9. 저라면
    '14.11.18 7:34 PM (121.144.xxx.56)

    용돈 잃어버려 속상한 마음은 위로해주고 관리를 제대로 할줄 모르니 앞으로는 용돈을 주지 않겠다 하겠어요.
    돈은 버는것도 힘들지만 쓰는것도 심사숙고 해서 써야 하고, 잃어버리지 않게 잘 간수해야 하는데 뽑기를 하겠다고 7천원이나 들고 간것은 돈을 그냥 버리는 것과 마찬가진데 잃어버린것도 모자라 떼까지 쓰는 것은 잘못된 행동임을 일깨워 줘야지요.

    먹고싶은것, 하고싶은 것 모두 다 하는 사람은 짐승과 같아요. 제대로 된 어른이 되려면 절제하는 법부터 배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용돈이 필요하면 집안일을 거들어서 네가 벌어서 써라 하겠습니다. 힘들게 벌어봐야 돈 아까운 줄 알죠.

  • 10. 아이
    '14.11.18 7:38 PM (175.121.xxx.181)

    근데....돈을 그냥 주머니에 넣어가면 안돼요.
    저는 아들에게 어릴때부터
    돈을 주머니에 그냥 넣으면 미끄러워서
    돈이 올라와서 빠져버린다.

    전 아들이 돈 넣어갈때는 항상
    지퍼있는 주머니나
    가방...등

    돈이 올라오지 못하게 단속 한번 하고 나가라고 해요.

    원글님도 천원짜리 돈 청바지 주머니 같은데 넣고 나가보세요.돈이
    슬슬 삐져나와서 도망가 버려요.
    실제로 주머니에 7만원 정도 넣어다니다가 잃어버린 아짐도 봤구요.

  • 11. 행복한 집
    '14.11.18 7:56 PM (125.184.xxx.28)

    다 쓰고 잃어버렸다고 하는거 아니여~
    그러고 모른척 오천원을 다시주면

    아이도 느끼는게 있지 않을까요?
    뽑기에 돈을 쓰는건 좀 아깝다라고 짦게 이야기해주세요.

  • 12. ...
    '14.11.18 7:56 PM (223.62.xxx.37)

    왜 엄마가 잘못한걸까요??

    전 그렇게 생각안하는데요..^^

    일단......
    많이 속상해한다면
    꼬옥 안아주고...

    도와줄걱 같아요...

    돈을 다시 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그게 아니여도 지지해줄래여..

    좋은 방법 생각해내시길 응원합니다

  • 13. ㅡㅡㅡㅡ
    '14.11.18 7:57 PM (49.174.xxx.58) - 삭제된댓글

    본인이 잃어버리고 떼를 쓰나요?
    용돈을어떤식으로 주시는지모르지만 용돈받을자격이안되는 아이같은데요?
    주당 얼마 정해두고 일급으로만 주세요

    용돈이란건 본인이 관리못했으면 그기간은 궁핍도스스로감당해야
    용돈받을 자격되는 겁니다

  • 14. 초5아들맘
    '14.11.18 8:00 PM (61.80.xxx.53)

    밥 먹으면서 다시 차근차근 물어보니 뽑기를 6천원 정도 하면 원하는 게임기가 나올것 같았대요 .
    가득 차 있는 것이 아니라 몇개밖에 없었던 거죠 .
    천원은 붕어빵 사먹고 나머지는 될때까지 해보려했대요.
    그렇게 갖고 싶은 게임기가 도대체 뭐냐 누군가 친구중에
    가진 아이가 있냐 물어봤더니 그냥 갖고 싶었대요.
    뽑기를 해도 원하는 것이 나오는 경우는 정말 거의 없다고 항상 말해줘도 귓등으로도 안듣네요.
    이 한 때가 얼른 지나가면 무서운 중 2가 될까요?
    남자형제도 없이 자랐는데 아들키우기 참 힘드네요.

    성향이 그래요. 급하고 못 기다리고 ... 어릴때 스티커모으기도 하려했으나 절대 성공한 적이 없었어요 .
    원하는 건 어떻게 해서든 꼭 얻으려하고.
    용돈은 한달에 오천원 줍니다.
    맞벌이라 늘 집에 간식이 있고 필요하다고 하는 건 다 사 줍니다.
    또 할머니나 어른들이 주신 용돈 잘 모아두는 편이에요.
    가끔씩 지갑보면 돈이 제법 모여 있어서 통장에 넣기도 합니다.
    벼룩시장 같은 곳에서 딱지같은 것 팔아봐서 자기 돈 소중한 것도
    돈 벌기 힘든 것도 안다고 생각했는데 ..
    제가 속상한 것 이상으로 저도 속상하겠지요 어떻게 모은 돈인데..
    지갑에 넣어다녀라 말했지만 안듣네요.
    잘못에 대한 지적보단 본인도 위로를 바라는 것 같은데 그게 잘 안됍니다. 휴
    댓글들 감사합니다.

  • 15. ㅇㅇ
    '14.11.18 8:10 PM (222.107.xxx.79)

    저도 초딩 남자애 둘을 키우는데 용돈 잃어버린적 종종있죠
    우선 전 용돈을 주면 소유권이 넘어갔으므로 잃어버렸든 누굴줬든 일절 상관안해요
    잃어버려서 속상하겠네. 담부턴 더 잘 챙겨라...하고 끝
    잃어버린 돈 다시 주지도 않고 야단이나 위로도 그닥 하지 않고..몇번 잃어버리고 그러더니 이젠 알아서 지갑에 넣어다니네요

  • 16. 용돈
    '14.11.19 12:00 AM (218.48.xxx.202)

    잃어버리는것보다...
    200원짜리 뽑기를 6000원어치 하려고 했다는게
    더 문제인듯요 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1976 박보영ᆢ참 선해보여요ᆢ눈빛 4 요물 2015/08/11 1,822
471975 교과서 ‘근현대사 축소’ 기조 그대로 2 세우실 2015/08/11 392
471974 테너 최승원 선생님이 어디 계신가요? ... 2015/08/11 773
471973 성인여자가 폭풍성장을 하기도 하나요? 18 미스테리 2015/08/11 9,691
471972 여행지에서 영어쓰기 10 ... 2015/08/11 2,712
471971 종신보험.. 왜 그러나요? 17 ... 2015/08/11 3,788
471970 저는 남편을 사랑했어요 15 사랑 2015/08/11 5,639
471969 성인이 피아노 다시 배울 때 교재는 뭘로 하면 좋을까요 2 2015/08/11 1,566
471968 서대회 무슨맛인가요? 13 온쇼 2015/08/11 2,158
471967 한번 구겨진 옷감은 되돌릴 수 없나요? 2 큰일입니다 2015/08/11 872
471966 세월호 관련 형제들과 얘기 나누다가... 20 의견구함. 2015/08/11 2,409
471965 안하던 짓을 해야 시간이 천천히 가네요 7 ㅎㅎ 2015/08/11 2,262
471964 변비있으신분 보세요~ 6 변비안녕 2015/08/11 2,214
471963 박학다식하신 82님들...이 물건(가구) 어디건지 좀 찾아주세요.. 2 눈에 삼삼 2015/08/11 1,690
471962 집안분위기 확 업시킬만한 것들 뭐 없을까요 7 손님 2015/08/11 2,220
471961 담주부터 실직상태인 남편과 뭘 하고 놀까요. 조언격려응원 부탁드.. 6 짧은휴가 2015/08/11 2,352
471960 제 후기 궁금하진 않으시겠지만 전에 영어면접 도와달라고요청받은 .. 2 2015/08/11 1,646
471959 왜 키크는 수술은 발전을 못하는걸까요..??? 8 ,,, 2015/08/11 4,289
471958 대법관후보추천위 “진보라서 안돼”… 특정 후보 결국 탈락 2 세우실 2015/08/11 1,113
471957 교원공제회 가입되어있으면... 4 .. 2015/08/11 6,785
471956 문맹인데 통장 개설 되나요? 3 통장 2015/08/11 1,229
471955 엄마가 비정상이라는 걸 어떻게 깨닫게 할 수 있을지요.. 14 mnbn 2015/08/11 5,252
471954 여름휴가 말인데요.. .. 2015/08/11 1,083
471953 선풍기 리모컨만 구입할수있나요~~? 2 으아 더워 2015/08/11 1,367
471952 무릎이 우리~한 느낌.. 자전거 타면 안될까요? 4 다이어터 2015/08/11 1,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