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 교사들 수준 올리자어쩌자 말들 많지만

조회수 : 2,077
작성일 : 2014-11-17 16:48:15

전세계적으로봐도 평균적으로 우리나라만큼 교사수준 높은 나라도 없습니다.

물론 다들 학교 다닐 때 정말 말도 안되는 실력을 가진 교사들 적어도 한두명 정도는 만나본 경험들이 있겠지만 그것도 공부 좀 하는 애들이 봤을 때나 그런거구요. 예를들어 미국의 평균적인 공립학교 교사들은 대학나와서 십수년간 공부에 손놓은 아시안계 일반 학부모보다 모르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근데 이게 그럴만한게 일단 미국은 교사가 모두 계약직입니다. 계약직의 특성이 뭐냐. 소위 호봉이란게 없기 때문에 연봉이 거의 안오릅니다. 예를들어 우리나라 교사들 박봉이라해도 나이가 들면 연봉이 점점 오르기때문에 50-60대 이후에는 아주 풍족하진 않아도 왠만큼 생활 누리고 삽니다. 근데 미국은 계약직이기 때문에 거의 차이가 없어요. 물론 경력이 좀 쌓이면 좀 더 대우를 해주기는 하지만 그 상승폭이 매우 낮습니다.

근데요. 미국은 통계에 따르면 미국 교사들 평균 연봉이 미국 1인당 평균 GDP보다 못합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우리나라 1인당 GDP가 2만불 정도니까 대략 200만원 초반이라보면 교사 평균 월급이 저것보다 못하다는거죠.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교사 초봉이 아니라 교사 전체 평균이기 때문에 교사 초봉으로 따지면 100만원대인거고, 경력 좀 쌓여서 40-50대쯤 좀 더 대우를 받아야받는 월급이 200만원 초반이란 뜻입니다.

상황이 이러니 교사하다 그만두는 경우 정말 많구요. 찾아보니까 소위 교사자격증을 따고도 아예 학교에 발붙이지 않는 비율이 절반이고, 설령 교사가 되어도 5년 이내에 그만두는 비율이 50%에 육박하네요. 더불어 5명 중 1명꼴로 도저히 생계 유지가 안되어 따로 부업을 한다고 합니다.

아무리 오바마가 교육의 질을 높이자어쩌자해도 미국의 평균적인 학업 수준이 그렇게 낮은데는 다 이유가 있는거죠. 우리나라 교사들 철밥통이라 문제다 어쩐다하지만 대신 철밥통이기 때문에 최소한 우수인력들이 교사에 몰리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소위 교대, 사범대들어가려면 제 아무리 공부 못해도 왠만큼은 해야하잖아요.

그런데 미국은 애초에 우수 인력들이 안와요. 경쟁이 좋다하지만, 그것도 왠만큼 실력이 되는 사람들을 모아놓고 경쟁을 해야 의미가 있는거지 실력도 안되는 사람들 모아놓고 경쟁에 몰아넣는다고 실력이 좋아지는게 아니죠. 그렇다고 우리나라 학원가처럼 인센티브를 확실히 주는 것도 아니구요.

물론 소수의 유명한 사립학교들은 박사급 인재를 채용해서 선생으로 쓰기도 합니다. 대신 학비가 미국 대학등록금이랑 거의 같죠.ㅋㅋㅋ

근데 이게 비단 미국만의 현상은 아닙니다. 유럽이나 일본이나 다른 어느 나라를 가봐도 우리나라만큼 그래도 교사가 대우받고 인기직종이고 그래서 우수 인력이 몰리는 나라가 없어요.

이건 그냥 들은 이야기인데, 제가 하는 일의 특성상 외국인 교수들을 만날 일이 많습니다. 한번은 어떤 미국인 교수와 이런 저런 얘기하다가 자기 얘기를 해주는데, 자기 아버지가 사업을 해서 고등학교 1학년 정도까지는 명문 사립학교에서 다닐 수 있었답니다. 선생님들은 매우 수준높고 심지어 대학 수준의 내용도 물어보면 술술 답해주던 사람들 이었대요. 근데 아버지 사업이 망하고 좀 더 후진 동네로 이사가고 그곳 공립학교를 갔는데, 고등학교 수학 선생이 2차 방정식을 못풀더랍니다.-_- 근데 학생도 모두 못풀고 학부모도 모두 모르니 아무도 이의제기를 안한다고....

그러면서 얘기하더라구요. 근데 아마 평균적으로 보면 아마 미국 공립 고등학교 수학 교사 중 절반정도는 이차방정식 못풀껄? 교과과정에 있는데 그게 말이 되냐고? 근데 어쩌겠어, 애초에 수학 교사 지원하는 사람들 중에 사범대를 졸업해도 그걸 풀 수 있는 사람이 절반이 안되는데....라고 하더군요.ㄷㄷㄷ

사실 저도 교사 철밥통은 깨고 경쟁은 도입하는게 좋다는 입장인데, 저걸 들으니 그냥 무작정 경쟁으로 모는 것도 답은 아니구나 싶더라구요.

IP : 210.98.xxx.20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특히
    '14.11.17 5:02 PM (39.7.xxx.119)

    젊은 공립학교 교사분들은 엄청난 임용고시를 뚫고 선생님이 되신 분들이죠~

  • 2.
    '14.11.17 5:11 PM (210.98.xxx.202)

    ^^님, 높은 교육수준이 좋은 인성을 보장해주진 못하지만, 반대로 교육수준이 낮다고 인성이 좋다는 보장도 없죠.

    그리고 우리나라 교사의 문제는 인성의 문제라기보단 제도의 문제입니다. 교사가 학생을 때려도, 반대로 학생이 교사를 때려도 학교차원에서 쉬쉬할 수 밖에 없게만드는 그 분위기나 제도의 문제이지, 교사 자체의 문제라 보기 어려워요. 어차피 어느 집단을 가든 싸이코같은 사람은 존재하기 마련이니까요. 단지 교사의 문제는 일부 교사가 싸이코 짓을 해도 그것을 누군가 신고하고 처벌할 수 있는 제도나 분위기가 미비하다는게 문제죠.

    전 과거의 교사들이라고 특별히 더 사명감이 있었다거나 인성이 더 높았다고 생각하지 않거든요.

  • 3. 여우같은마누라
    '14.11.17 5:19 PM (39.7.xxx.244)

    학부때 교사론이었나.. 교직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미국은 부전공 여러개씩 해서 한 사람이 영어도 가르치고 수학도 가르치고 한다는 얘기 듣고 헐.. 했는데 그런 뜻이었군요. 전문성에 있어선 많이 떨어진다는 뜻;;;;

  • 4. ...ㅈ
    '14.11.17 5:21 PM (211.109.xxx.142)

    여기에다 전국 어디서든 같은 (비슷한 수준)의 교사에게 수업을 받을 수있다는 것도 우리나라 공교육의 장점인것 같아요. 서울 학교의 교사나 저 섬마을학교의 교사나 그 어렵다는 임용고사 통과한 우수 교사이니까요. 미국이나 캐나다는 학교에서 계약하다보니 선호지역과 비선호 지역간 교사 수준이 차이 날수 밖에 없더라구요 우리나라처럼 나라에서 교사의 질을 관리해주는 곳도 없는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51389 먹보 대장 고딩 아들과 남편의 문자 메시지 9 웃겨 2014/12/31 3,978
451388 내일 좋은데 가시는 분 계세요? 5 신정 2014/12/31 1,422
451387 30대 중반 파마 5 .. 2014/12/31 1,332
451386 내일 시어머니께서 저희집근처서밥먹기로햇는데 밥만먹고가시라하면 기.. 7 고민 2014/12/31 2,373
451385 사이버대학 교수 월급 5 사이버 2014/12/31 11,910
451384 높은 아파트가 답답하게 느껴져요 .. 10 바람꽃 2014/12/31 3,069
451383 강동원 의원,투표소 수개표 방식..개정안 발의 9 .. 2014/12/31 925
451382 부산 가는 중이에요. 자랑 맞음! 32 츄파춥스 2014/12/31 4,068
451381 일리있는 사랑에 임수정이 나왔다면 12 Dgd 2014/12/31 2,635
451380 전기렌지 카**일몰 지*스 주문하신분 계신가요? 2 괜챦을까 2014/12/31 1,068
451379 국제시장 영화를 부모님과 같이 봤어요... 7 겨울조아 2014/12/31 2,722
451378 로맨스 소설중에 수위가 낮은 8 ㅂㅈㄷ 2014/12/31 3,419
451377 숄에서 나온 각질제거기 써보신분 3 계세요? 2014/12/31 1,811
451376 인구보건복지협회 검사 아시나요? 검사 2014/12/31 971
451375 이 사람은 진심으로 잘되었으면 좋겠다! 10 ㅇㅇ 2014/12/31 2,262
451374 공무원 월급.. 9급140.7급 170.5급 220입니다 31 QOL 2014/12/31 23,734
451373 시내 식당 추천 부탁드려요 2 로디 2014/12/31 848
451372 매사에 부정적인 사람을 만났더니 기운이 빠지네요- - 4 새해복많이받.. 2014/12/31 4,673
451371 박원순, 2014년 마지막날 팽목항 찾아 세월호 유가족 위로 10 샬랄라 2014/12/31 1,724
451370 국제시장 감상문 (스포 및 요약) 11 건너 마을 .. 2014/12/31 2,621
451369 자영업 하시는 분들께 여쭐게요. 자영업 초보. 21 야나 2014/12/31 3,958
451368 애들 침대에서 자면 원래 더 얌전히 자나요? 3 마이미 2014/12/31 1,203
451367 걸을때마다 무릎에 소리가 많이 나고 약하다는 느낌이 드는건 왜 .. 4 질문 2014/12/31 2,008
451366 최민수씨 별로네요 22 ... 2014/12/31 5,712
451365 고3 아들이 스노우보드를 처음 배우게 되었습니다. 5 보드 2014/12/31 1,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