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5만원이란 금액이 많이 어정쩡 한가요?

00 조회수 : 8,992
작성일 : 2014-11-10 14:54:34

가까운 친척동생 돌잔치에요.

저와 남편 둘이가서 축하해줄거구요 -

평소 돌잔치 반대론자(?) 이지만, 가까운 친척동생이니 진심으로 축하하는 맘으로 가요.

돌반지 하려니 , 보관이 어렵다고 돈으로 줬으면 하는거 같더라구요.

10만원하자니 부페에서  밥도 먹는데 넘 적은듯한 기분이 들고,

20만원하자니 결혼식도 아닌 돌잔치에 과한듯한 기분도 들어요

그래서 내린결론이 5만원짜리 세장 넣은 15만원인데.. 

넘 쫌스러워 보이는걸까요? ^^;;

왠지 이도저도 아닌 느낌이 드는데, 제 생각만 그런건지 다른 사람들도 15만원의 느낌이 그런건지.. 궁금하네요.

저는 친한 친구는 아니고 그렇다고 정말 인사만 하는 관계가 아니면

5만원 내기 좀 정없어 보여 그냥 2만원 정도 더 얹혀서 7만원정도 부주할때가 많거든요.

제딴엔 좀더 챙겨준 느낌이 받는사람에겐 쫌스러워 보이는건 아닐지..

15만원에 대한 느낌, 다른 님들은 어떠신지요

 

PS : 참고로, 제가 먼저 결혼. 돌잔치 다 치룬 사람인데요.. 7만원 부조한 사람에겐 5만원 받았었고,

       지금 15만원 부조한 동생에겐 10만원 받았었어요.. 그래서 제가 받은것 보다 좀더 챙겨주려는 맘이었는데..

       받은사람은 그런것까지 기억할까요?

IP : 119.69.xxx.201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14.11.10 2:57 PM (222.119.xxx.240)

    5,10 하세요
    괜히 2만원 얻어 7만원 해봤자 고마워하는 사람이 있을까 싶네요
    어정쩡할때는 차라리 과하게(7보단 10만원) 이리 내니까 두고두고 좋더라고요
    이왕 돈은 나가는거니까요^^
    10만원 내심 될거 같아요

  • 2. ~~
    '14.11.10 2:59 PM (58.140.xxx.162)

    15만원이 왜요? 저는 좋은데요? ㅎ

  • 3. 저도
    '14.11.10 3:03 PM (211.36.xxx.209)

    이상하게 15 느낌이 그래서 망설여져요
    딱 그정도가 적당하다 싶은데도요 ^^

  • 4. 저라면
    '14.11.10 3:04 PM (211.177.xxx.95)

    십만원 할 것 같아요

  • 5. ,,
    '14.11.10 3:07 PM (72.213.xxx.130)

    7만원은 10만원 하긴 아까우니 3만원 뺀 것으로 느껴지지 전혀 5만원인데 2만원 더 넣은 걸로 안 느껴져요 죄송;;;;
    전 그냥 10만원 할 듯 싶어요. 돌잔치 돈 벌려고 하는 것이긴 한데 사실 돌 보태줘야할 중요 행사는 아니라고 생각해서요.

  • 6. 받아 봤어요
    '14.11.10 3:11 PM (110.8.xxx.60)

    저도 그런 느낌 들었어요
    신경 쓰고 싶었구나 !! 그런거요
    10만원봉투는 많았는데 15만원은 그분만이었고 더 가까운 분들은 20 ,30
    그래도 신경 써서 넣구나 싶어서 10이나 15나 똑같지 않고
    신경 써주신것 같아 고마웠어요
    당연히 20넣을 자리에 아낄려고 15넣은게 아니라 10을 넣어도 무방할 정도에 15넣으면 좀 더 고심하고 신경 쓴거 느껴져서 전 좋던데요

  • 7. 무뉘
    '14.11.10 3:12 PM (223.62.xxx.43)

    돌반지하세요 17

  • 8. 그럼
    '14.11.10 3:13 PM (220.76.xxx.234)

    10하고 내복이라도 사서 같이 주면 되겠네요

  • 9. ..
    '14.11.10 3:25 PM (183.101.xxx.50)

    어쩡쩡하긴 하네요
    금액이 많다 적다 이개념은 아니고
    많은 생각이 들게 만드는 액수인것 같아서요 ^^

  • 10. 위에 이어서
    '14.11.10 3:37 PM (220.76.xxx.184)

    10만원만 하시고 1분만 뷔페 드셈
    어떤 사람은 10만원내고 4인가족 와서 막 먹고 가더라구요
    10만원내고 이건 양심불량임

    직계가족이면 20만원 하시구요

    전 친동생 돌때 20만원 함
    결혼식땐 200만원

    백일땐 장난감 옷 선물 태어날때도 옷선물

  • 11. 흰둥이
    '14.11.10 3:39 PM (203.234.xxx.81)

    돌반지가 깔끔해보입니다

  • 12.
    '14.11.10 5:01 PM (223.62.xxx.43)

    10만원 4식구 대박이네요... 근데 어느 잔치나 그런사람이 있어서 회자되네요

  • 13. 10만원
    '14.11.10 5:41 PM (118.38.xxx.202)

    하고 둘이 밥 먹음 충분하지 애 돐잔치로 장사할 것도 아니고..
    잔치면 원래 밥을 주는게 맞는데 요즘 세상 돈을 받고 있으니 그게 잘못된거죠.

  • 14.
    '14.11.10 8:22 PM (124.111.xxx.24)

    가까운 친척동생이라면서요... ?

  • 15. 10만원에
    '14.11.10 8:23 PM (110.70.xxx.13)

    4식구 식사도 욕될거 아닙니다. 무슨 잔치가 언제부터 이문남기는 장사가 됐나요.

  • 16. 으이구
    '14.11.10 9:13 PM (125.208.xxx.186)

    못된 사람들 많네요. 내 아이 돌잔치에 십만원 축의금 내고 네식구와서 밥 먹으면 어때요. 내 아들 돌 축한데 돈 안받고도 식사대접 하겠던데.. 안받는다해도 다들 봉투내셔서 나중에 갚으려 합니다. 결혼처럼 돈많이 드는 행사도 아닌데 부조가 적으면 어떠고 많으면 어때요

  • 17. 그럼
    '14.11.10 11:58 PM (124.111.xxx.24)

    돈은 왜내고 반지는 왜사줘요? 그냥 맨손에 맨입에 온가족참석하세요... 부조문화는 무시하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6115 20개월 아기가 한말 때문에 미안해요 13 2015/08/24 4,577
476114 생 알로에 보관법 아시는분 있나요 1 아모르파티 2015/08/24 3,727
476113 "수요미식회" 책 사보신 분~ 내용이 좋나요 .. 먹는 즐거움.. 2015/08/24 912
476112 버스에서 좌석에 몸 밀착시키면서 서 있는 미친놈... 2 대중교통 이.. 2015/08/24 1,763
476111 날씬하거나 마르신분들 28 .. 2015/08/24 7,455
476110 오나의귀신님 마지막회안보는게낫나요? 24 aa 2015/08/24 3,709
476109 항공정비사가 되려면 어느 학교에 보내야 할까요? 15 진로 2015/08/24 4,708
476108 저는 서울or부산 어디서 살아야 할까요??????? 25 션션 2015/08/24 2,495
476107 생수를 안먹는 뚱뚱한 남편 7 물을 2015/08/24 2,997
476106 초4조카 공부 도움이 필요해요 12 도움 2015/08/24 1,524
476105 자전거 수리후... 4 ... 2015/08/24 816
476104 박명수 웬일이래요..목소리가 넘 좋네요 9 어머 2015/08/24 4,578
476103 계란찜이 그릇에 눌러붙지 않게 하려면 10 .. 2015/08/24 7,263
476102 돼지고기 쉬면 무슨 냄새나나요? 묘한 쉰내나는 돼지고기 먹어도 .. 6 2015/08/24 22,073
476101 320kwh정도면 전기세 얼마인가요? 9 전기세 2015/08/24 2,396
476100 배는 고픈데 손가락 하나 까딱하기 싫어요.. 13 ㅠㅠ 2015/08/24 1,707
476099 단단한 복숭아 vs 물렁한 복숭아 25 ㅇㅇ 2015/08/24 7,858
476098 죽느니만 못한 삶이 되버렸습니다.. 19 괴롭다 2015/08/24 10,270
476097 신촌에 18번@부대찌개 정말 맛없어요 ... 2015/08/24 987
476096 고속터미널 꽃시장에서 꽃 사고.. 동대문에 일보러 가야하는데.... 11 궁금 2015/08/24 2,554
476095 부모님문제 어디까지 관여하나요? 7 니캉내캉 2015/08/24 2,252
476094 오늘 주식 이야기 많이 올라오네요 2 .. 2015/08/24 1,732
476093 입주청소 직접할수있나요 12 sky9 2015/08/24 2,883
476092 직장 고민입니다 1 땡땡이 2015/08/24 694
476091 군사전문가 김종대씨 글. 7 엠팍 2015/08/24 2,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