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많은 경험을 해주는거 얼마나 중요할까요?

궁금 조회수 : 1,010
작성일 : 2014-11-09 21:35:45
5세 아이를 키우고 있어요
맞벌이다 보니 솔직히 주말에도 어디 나가기 힘들어서
대부분은 동네 산책이 다입니다..

애도 그냥 저희랑 집에서 노는걸 좋아하는듯해서
장난감이랑 책 갖고 많이 놀아주는데

제친구는 전업주부인데
주말마다 무슨 행사 데리고 다니고
고궁이니 미술관이니 다니고 하더라구요
집에서도 요리 체험 해준다며 같이 여리도 하고
그래서인지
애가 똘똘한듯해보였어요

다른 애들이 모르는것도 잘 알고
그림도 체계적으로 그리구오

그런거 보니 너무 애를 방치하는건가 좀 고민이 됩니다

정말 그렇게 많이 신경쓰고 하는게 큰 차이를 두게 될까요?
지금이라도 좀 편한 직장으로 옮기고 애한테 신경써야 하는건지... 어떻게 생각하세요?
IP : 211.246.xxx.17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글쎄요
    '14.11.9 10:43 PM (222.119.xxx.240)

    학교 들어가고 나서도 경험은 충분해요
    많이 안아주고 독서 많이 시키시고 대화 많이 하고 그러세요 애들 어릴때 뭐 해봤자 기억하는 애들도 있고 못하는 애들도 있는데..못하는 애들이 훨씬 많았어요
    확실한건 독서습관만 잡아주고 흥미가지게 하면 정말 계속 편하더군요 경험자들이 많아요^^
    주말에라도 전시회나 체험은 할수 있으니까 하시고요

  • 2. 아이가 똘똘한거
    '14.11.9 10:45 PM (112.165.xxx.25)

    재능적인 부분이잖아요 재능 이란게 타고 나는 거 있긴 있어요 그거 무시할 순 없고
    내 아이 재능을 얼마나 타고 났는지는 이미 태어 났으니 패스하고
    그 후 환경적인 부분만 말하자면요
    제가 아이 어렸을 때 친구분 처럼 많이 보여 주러 다니고 책도 읽어주고
    맛집도 다니고 여하튼 제가 할 수 있는 건 다 해주었답니다

    지금 아이가 열살인데요 한개도 기억을 못해요
    본인은 다닌 적이 없다고 막 우겨요
    하지만 전 알아요 이 아이가 하는 말 , 생각, 표현은 거저 나온 게 아니라는 것을
    지나가는 말로 무엇을 봤었고 본인 느낌을 말하면 저 속으로 놀래요
    그게 언제 인지 기억을 하니? 라고 말하면 그건 모르겠대요
    그게 아마 아이가 3살인가 4살 때 였을 때 인데요
    본인은 기억을 못한다지만 무의식 중에 이미 뇌에 박힌 기억을 꺼내 말하는거죠
    안좋은 기어들도 다 말해요 엄마 아빠 싸웠고 그런거요
    그리고 책을 많이 읽어 주었어요 외출을 못할 시에는요
    아이 발달사항에 항상 적혀 있는 말이
    '학생이 창의적이며 ...' 이 말이 꼭 나와요
    물론 제 아이가 타고난 부분 덕분 일 수도 있지만
    저는 그것이 지난 시간 제가 노력하며 보여준 것, 들려준 것, 읽어준 것이 이제사 나오는 게 아닐까 싶어요
    지금껏 그 부분들을 게을리 해 본적이 없거든요
    같은 또래들 중에 제 아이들 보다 똘똘한 아이들 많이 봅니다만
    창의적이다 라고 생각한 아이는 거의 없었어요
    제가 노력했던 부분이 컸다 라고 저는 믿습니다
    음식도 제가 어려서부터 다른나라 음식을 집에서 많이 만들어 먹였어요
    지금도 아이는 타나라 음식에 거부감이 없이 뭐든지 잘 먹어요
    이건 식성이 타고난 것이라기 보다는 그것 역시 어려서 오픈되어 훈련된 결과라고 생각해요

    이건 약간 다른 말인데 제가 이렇게 했던 이유는요
    제가 결혼 전 회사에 있을 때 면접을 보면요
    보수적인 집안에서 엄하게 자란 사람들은요 순하게 시키는 일은 성실하게 자랐는데
    생각하는 면이나 기타 등등 이 뭐랄까 답답하고 꽉 막힌 기분이 들었어요
    하나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더군요
    그런 모습을 보면서 저는 다양한 경험과 개방적인 집안 속에서 자라면
    좀 다르게 자랄 수 있을 것이라 믿었어요
    부모가 어떤 말을 하고 생활을 하고 어떤 방식의 교육을 하고
    그 모든것이 아이에게 도움이 될 것이란 믿음이 있었어요
    제가 그렇게 정성을 들이는 이유가 바로 그거랍니다
    타고난 부분은 어쩔 수 없지만 후천적으로 내가 긍정적으로 바라는 인간형에
    근접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양육하고 있지요

  • 3. ,,,
    '14.11.9 10:53 PM (14.138.xxx.144)

    많이 경험해줬는데 5살이전에 다닌 연극 공연 미술관 하나도 기억 못하네요.
    완전 돈 낭비인 거죠.
    윗님처럼 그런 게 숨어있다가 발현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밖에서 뛰어놀릴걸 그랬어요.
    대신 오히려 책 많이 읽은 것은 기억하고요.
    7세부터 부지런히 다니셔도 되는데
    아이가 좋아하지 않거나 관심없으면 안하셔도 되요.

    전 제가 미술관 좋아해서 그렇게 아이를 데리고 다녔건만
    지금 젤 싫어하는 게 미술관 관람이에요.ㅠㅠ
    좋아하는 게 위주로 차근차근 데리고 다니세요.

  • 4. ...
    '14.11.9 11:26 PM (124.5.xxx.39)

    별 도움 안됩니다

    그냥 집에서 아이랑 놀아주세요 ㅎ

  • 5. 소피친구
    '14.11.10 3:25 AM (115.140.xxx.29)

    연극 공연 미술관은 다니던 아이들이 더 좋아해요. 잘 안가고 어쩌다 학교체험으로 가는 아이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다니던 아이들은 관람태도도 좋고 집중도 잘 하던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62079 서울국제유아교육전 사전등록 하세요. 1 유용한 정보.. 2015/07/08 588
462078 닭가슴살 삶아서 구워먹으면 3 다이어트 2015/07/08 1,544
462077 갑자기 하체가 너무 날씬해졌던 과거 친구. 3 루나레나10.. 2015/07/08 4,553
462076 하늘 하늘 원피스 입을때 Y자로 붙어서 너무 신경쓰이는데 방법이.. 18 특허라도 내.. 2015/07/08 5,003
462075 너무 잘 체해서 괴롭네요 ㅠㅠ 30 2015/07/08 5,181
462074 중3 자녀들 이번 기말고사 도덕시험 잘 봤나요? 2 도덕 2015/07/08 1,083
462073 피부관리실 오래 다니면 더 안좋나요? 피부야 2015/07/08 841
462072 다이어트땜에 아메리카노만 드시는분? 12 고민 2015/07/08 4,398
462071 토요일 근무 절대 안하는 회사가 있나요? 23 ... 2015/07/08 3,548
462070 국어를 계속 잘 하려면 어떻게 공부시켜야될까요? 2 중1학년 2015/07/08 1,028
462069 중1 기말고사 ........ 2015/07/08 658
462068 요즘은 냄비 바닥 떼워주는데 없죠? 냄비 2015/07/08 564
462067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겠네요 아파트입주고.. 2015/07/08 488
462066 탄핵 사유는 안돼나요? 9 잘모르지만 .. 2015/07/08 1,628
462065 재즈가수 말 ㄹ 공연 만원이네요 오오 가난뱅이 2015/07/08 786
462064 착한남편이랑 사는분들 어떠세요? 29 한번살아보라.. 2015/07/08 8,021
462063 영유아 검진에서요.. .. 2015/07/08 610
462062 외장하드가요 갑자기 고장났는데요. 1 외장하드 2015/07/08 687
462061 몸이너무 아파서요.(근육통 + 오한) 2 십년뒤1 2015/07/08 2,915
462060 가수 아이유 얼굴 에서요 37 oo 2015/07/08 17,871
462059 까페 순수입 1 &&.. 2015/07/08 1,682
462058 새집증후군 제거 업체 추천 부탁드려요 도움 필요해.. 2015/07/08 460
462057 아기 혼자 키우기 즐거워셨던분도 계시나요? 12 ㅇㅇ 2015/07/08 2,708
462056 유승민 “원내대표직 사퇴···법과 원칙, 정의 지키고 싶었다” .. 9 세우실 2015/07/08 2,391
462055 카스뮤직이 한곡만 재생되는데 커피사랑 2015/07/08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