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볶음밥이나 김치전.. 김치가 별로 안들어갔어도 김치맛이 많이 나는 이유가 뭐죠??

김치김치김치 조회수 : 1,463
작성일 : 2014-11-07 09:32:41

사먹는건 대부분 그렇던데요..

보면 김치조각이 진짜 가뭄에 콩나듯이 보일정도로 안들어 갔는데

김치볶음밥이면 밥 전체에서..

김치전이면 밀가루만 있는 부분에서도 김치특유의 신맛이 적당하게 느껴지더라구요?

 

근데 집에서는 김치볶음밥을 해도

김치를 어마무시하게 썰어넣고 그것도 김치가 밥과 씹혀야 김치맛이 느껴지고..

(그래서 김치가 너무 많이 들어가면 짜져서 김치를 좀 씻어서 사용해요..)

김치전도 김치가 씹혀야 김치전이구나.. 싶지..

밀가루 부분과 김치맛이 따로 놀아요..

(김치맛은 강하고.. 밀가루는 밍밍하고..)

물론 김치전엔 그래서 김치국물도 넣어봤는데.. 생각했던 그맛은 역시나 안나더라구요..

 

도대체 비결이 뭘까요??

파는것처럼 색깔내려면 김치국물이나 김치가 많이 들어가야 하는데..

그러면 너무 짜거나 질어지고..

색깔은 포기하고 그냥 맛만 살려보자 하고 적당히 씻은김치 밥보다 더 많이 넣으면

얼추 되긴 하던데..

파는건 김치도 별로 안들어가는데 어떻게 꼬들하고 맛있는 김치맛이 밥 전체에서 골고루 나는건지..

 

 

 

IP : 61.74.xxx.24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글보니
    '14.11.7 9:34 AM (175.127.xxx.167)

    진짜그렇네요...조미료를 넣는지는 모르겟으나
    집에서 김치볶음밥 할때 케첩을 넣어보세요. 맛있더라구요. 저도 여기에서 배운건데
    확실히 맛을 마무리해주는 맛이 있어요.

  • 2. ...
    '14.11.7 9:36 AM (183.99.xxx.135)

    조미료랑 마요네즈가 비법이요
    집에서도 이 두가지 넣어보며
    얼추밖에서 사먹는거랑 비슷해져요

  • 3. ㅇㅇ
    '14.11.7 9:44 AM (1.247.xxx.4)

    굴소스나 각종시판소스류등 맛이 이상해서
    사용 안하다가
    애들 오므라이스나 새우볶음밥 김치볶음밥등에
    넣어 요리해봤더니 애들이 밖에서 사먹는
    음식 같다고 하면서 잘 먹더군요
    그 이후로 이런저런 소스류 사다놓고 적절히 활용하고
    있어요

  • 4. 저도 궁금하네요
    '14.11.7 9:51 AM (121.161.xxx.229)

    김치볶음밥에는 김치는 정말 때려넣어서 따로 간 안맞춰도 될만큼 넣어 볶아야 맛있고
    찌개에도 국물은 거의 안보일 정도로 넣어야 진하던데

  • 5. 김볶
    '14.11.7 10:39 AM (61.102.xxx.34)

    전에 알바하면서 배운바로는
    김치를 잘게 썰고 김치는 국물이 넉넉하게 담가진 김치를 썼어요.

    주문 들어 오면 후라이팬에 기름 두르고 식용유 조금 두르고 거기에 다진마늘과 다진 소고기를 넣어서 잠깐 볶다가 거기에 김치 다진것과 김치국물을 넉넉히 넣습니다.
    그리고 다시다 반숟가락 정도를 넣습니다.
    그리고 바글바글 끓여요. 국물이 쫄아 들게요.
    그리고 나서 밥 넣고 볶아요. 김치국물이 많이 들어갔어도 쫄아서 진해지니 질어지거나 하지 않아요
    거의 비벼지듯 하게 해서 볶아 내면 아주 맛있지요.
    물론 다시다 들어가서 입에 딱 붙게 맛있게 느껴지구요.
    마지막에 참기름 넉넉히 둘러서 섞어 내고 후라이 하나 얹어 주면 사람들이 엄지손가락 막 쳐들어 주는 그런 김치볶음밥이 되더군요.

  • 6. ..
    '14.11.7 11:24 AM (175.197.xxx.240)

    위 댓글님,
    김치국물을 바글바글 끓여 졸아든 후에 밥을 비비듯 볶아낸다..
    잘 배웠습니다.

  • 7. ....
    '14.11.7 2:05 PM (180.224.xxx.46)

    김치국물이 많이 들어가야하는 듯요...

    제 비법을 풀어 놓자면 김치볶음밥을 할 때는 기름을 두르지 않고 김치국물을 넉넉히 넣고 김치를 볶아요.
    국물이 좋아들면 밥을 넣어 같이 볶고 간은 처음에 김치국물을 충분히 넣었기 때문에 따로 하지 않아도
    되고 참기름, 깨만 두르면 되요.
    김치찌개도 다싯물을 좀 한 국자쯤 덜 넣고 대신 김치국물로 간을 맞춰요.
    김치전도 부침가루 반죽할 때 물을 좀 덜넣고 김치국물을 첨가하면 색깔도 먹음직스럽고 맛도 좋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57895 이싼타가 합의 안해주면 집행유예 불가해요 9 천벌 2015/01/19 1,987
457894 체한거같은데..증상좀봐주세요 ㅠㅠ 5 아침 2015/01/19 1,110
457893 혼자 사시는분 지방에서 부모님 올라오면 따로 3 ... 2015/01/19 744
457892 티안나는성형이 과연있나요? 13 rr 2015/01/19 3,370
457891 직장 그만둬요. 저 이제 뭐할까요? (전업하려구요) 17 홍홍 2015/01/19 3,194
457890 일반사회전공이면 역사도 포함되나요? 1 칼카스 2015/01/19 553
457889 불면증때문에 밤12시 넘어서 밥먹고 잡니다 4 2015/01/19 1,824
457888 죽제조기 써보신분 도움말씀 부탁드립니다 2 세네모 2015/01/19 1,300
457887 '13월의 세금 폭탄' 연말정산에 직장인 뿔났다 세우실 2015/01/19 820
457886 이번주에 중국 상해 갑니다.... 날씨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 2015/01/19 845
457885 임금 삭감에 대처하는 자세? 4 직장선배님들.. 2015/01/19 949
457884 확장한집 베란다 만들기 1 마징가그녀 2015/01/19 4,428
457883 60-70대 어머니들 척추협착증..어딜 가면 좀 나아질까요? 7 허리 2015/01/19 1,902
457882 올레티비?이런데서 다시보기 몇시간후? 1 ㅇㅇ 2015/01/19 6,484
457881 언더헤어 왁싱..어디서해주나요 6 언더헤어 2015/01/19 6,122
457880 부부사이 괜찮은데, 각방 쓰는 분들 많나요? 9 궁금이 2015/01/19 3,360
457879 연말정산 안경구입비 서류 제출해야하나요? 2 .. 2015/01/19 1,377
457878 어제 서준이 질투하는 모습 보셨어요? 8 슈돌 2015/01/19 6,585
457877 회춘주스.... 8 동글이세상 2015/01/19 2,196
457876 친구들없이 웨딩촬영~~ 5 웨딩 2015/01/19 2,110
457875 저희 아빠가 거실에서 주무시는데요~ 22 - 2015/01/19 11,523
457874 여론조작단이 퍼돌리는글들은 딱 표시가 나요 1 인터넷 2015/01/19 725
457873 2015년 1월 19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5/01/19 543
457872 한국 또 터키에 최루탄 190만 발 수출해 국제적 비난 1 Smyrna.. 2015/01/19 780
457871 허삼관에 매혈기가 빠진 까닭은 2 샬랄라 2015/01/19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