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족들 돌아가신분들 조문객들 다 빠져나가고..??

아이블루 조회수 : 5,042
작성일 : 2014-10-31 23:19:31

저는 엄마돌아가시고 나서 제일 처음 통곡했던게..

장례식장에서는 그렇게 와닿지 않아서 그런지 그렇게까지는 통곡을 안했거든요..

3일동안 그냥 머리가 멍한 느낌이었지.. 다른 친척들이 저 붙들고 울고 불고 해도..

그냥 머리속만 하얗고 그냥 멍한 느낌만 들었어요..

근데..다정리하고 친척들도 다 되돌아가고..

집에 저희 엄마빼고 가족만 남았을때요..

그때부터는...슬픔이 밀려오면서.. 엄청나게 통곡을 했어요..

제일 첫번째로 현실이더라구요.. 그건 아마 안경험해본 분들은 모를것 같아요..

그이후에는  장레식장 가면 그게 제일 걱정되더라구요....

그게 얼마나 아픔 경험인지 이제 아니까요..

전 도저히 안되어서.. 한동안 친척집에 있는 가서 살다왔어요..

집에서는 감정 컨트롤이 안되더라구요...

그리고 집에 와서 유품 정리할때요... 그때도 진짜 힘들었던것 같아요..

솔직히 지금도 산소 가는게  일년에 2번 가는데 갈때마다 마음이 너무 아파서..

왠만하면 안가고 싶다는 생각도 들정도로..ㅠㅠ 힘들더라구요..

82쿡님들은 언제 제일 힘들던가요..???

신해철씨 가족들도 장례식 다 끝내고 집에 가서는 정말 힘들지 싶어요..ㅠㅠ
부인분들도 애들 잘키우면서 극복 잘하셨으면 좋겠어요..

IP : 175.113.xxx.99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시간
    '14.10.31 11:23 PM (182.212.xxx.51)

    시어머님만 오랜지병 끝에 돌아가셨어요
    장례식때나 집에 와서는 오히려 한쪽한켠이 뻥 뚫렸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문득문득 생각이 나서 눈물이 나요
    혼자 새벽에 잠안올때,한낮에 햇살 좋을때등등
    그냥 못해드린거 좀더 잘할걸 하는 한스러움이 있더라구요

  • 2. ...
    '14.10.31 11:29 PM (183.99.xxx.135)

    저는 아직 못 겪어봐서 모르겠지만.
    저흰 할머니가 최근에 돌아가셨어요
    같이 산 우리엄마 할머니 생전에 티격태격도 많이 하시고
    장례식장에서는 큰 눈물 안보였었거든요
    그런데 발인까지 다 끝내고 집에 들어가서 거길 끝에 앉아 그렇게 우시더라구요.

  • 3. ...
    '14.10.31 11:29 PM (183.99.xxx.135)

    거길->거실

  • 4. Drim
    '14.10.31 11:31 PM (1.230.xxx.218)

    저도 그게 제일 힘들었어요
    세상이 달라진건 없는데 나만 달라진것 같은 느낌
    어릴때는 그냥 전쟁같은거라도 나길 바랬어요
    장례식후에 들어가는 집의 낯선 느낌이 너무 힘들었어요
    결국저희는 이사왔어요
    유품정리도 탈상할때 같이했는데 지금은 후회되요
    정리하지말고 생각날때마다 볼껄하고...
    그런데 이후회는 20여년정도 지나야 드네요
    돌아가신지 20년되었어요 ㅠㅠ

  • 5. 에ㅛ
    '14.10.31 11:32 PM (110.13.xxx.37)

    지금 이때쯤이 제일 힘들때일거에요.. 그 없이 그와 함께 보내던 집에서 밤을 보내는 첫날...

  • 6. 전에
    '14.10.31 11:37 PM (121.162.xxx.225)

    남편 중2때 시아버님이 돌아가셨는데,

    장례식때는 사람도 많고 북적거리고 정신이 하나도 없어서 슬픈지 어쩐지도 잘 몰랐대요.

    그런데 장례식 마치고 집에 왔을 때 너무 힘들었다고.
    어머니와 단 둘이 남겨졌다는 생각에 너무 쓸쓸했답니다.

    신해철씨 아이들 너무 어린데 가족들 잘 극복하길 바랍니다.

  • 7. 머리가새치수북히
    '14.10.31 11:40 PM (121.188.xxx.144)

    첫일년힘들죠

  • 8. ...
    '14.11.1 12:07 AM (180.229.xxx.177)

    전 삼일장 다 치르고 그 다음날....
    아침에 눈을 떴는데...
    아... 아부지(전 아버지를 꼭 아부지라고 불렀어요ㅠㅠ)가 돌아가셨지...그 생각이 먼저 들더라구요....

    그 때 기분은 그자리에서 저도 딱 죽고 싶은 기분...ㅠㅠ
    너무 막막했어요....

  • 9. 맞아요
    '14.11.1 1:26 AM (175.118.xxx.182)

    안 겪어본 사람은 어떤 마음인지 모를것 같아요.
    집안 곳곳에 떠난 가족의 흔적은 그대로이고...
    떠들썩한 위로도 사라지고...
    정말 그 마음은 뭐라 설명이 안 되네요.

    신해철씨 부인...아이들과 셋만 집에 남았을때...
    거기다 아이들도 잠들고 혼자 깨어있다면...
    어떤 마음일까 생각하면 너무 마음 아파요.ㅠㅠ

    그리고 우리 세월호 가족들도... ㅠㅠ

  • 10. ㅇㅇ
    '14.11.1 7:30 AM (203.170.xxx.245) - 삭제된댓글

    저도 아빠가 몇년 투병하시다 돌아가셨을때 장례식 동안에는 정신도 없고 마음 한편이 후련했달까. 이렇게 끝이 났구나 병원생활도. 이런 생각이 들어서 슬픔보다는 그냥 실감이 안났어요. 그런데 발인 끝나고 남은 세식구만 집에 들어오는데 다같이 울음이 터지더라구요. 아빠를 놔두고 우리만 왔구나 이제 앞으로도 계속 이 집에 같이 있을 수는 없구나 실감이 나서요. 지금 남은 가족들이 가장 힘들때가 아닌가 싶어요.

  • 11. 아버지 빈자리가 커요
    '14.11.1 7:46 AM (220.127.xxx.38)

    ..ㅜ.ㅜ

  • 12. 김흥임
    '14.11.1 8:07 AM (49.174.xxx.58)

    이제시작이죠
    내가 울어도울어도 그는 사진속에서 바보처럼웃으며 날 바라보기만하고

    세상에서 하나둘 그의이름이지워져갈때
    의료보험 상실연락오고등등

    전 엄마라도 굳건히견뎌 그예쁜아이들 지켜내야할텐데
    그마음만드네요

  • 13. 나이가 드니까
    '14.11.1 11:26 AM (182.219.xxx.95)

    슬픔이라는 감정도 노화해요
    전보다 덜 슬퍼요
    그래서 노인분들이 자식 장례식 치르고 오자마자
    밥타령하신다는 말이 이해가되요.
    늙으면 희노애락이 다 퇴화해서 감정이 무뎌지나봅니다.
    우리 가족은 오랜 지병 끝에 돌아가신 아버지
    자중엔 무덤덤 해지더군요
    가끔씩 감정이 올라오면 스스로 자제해요
    괜찮아 괜찮아 그정도면 잘사신거야~~~ 그러면서 스스로를 위로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4594 서울 근교 가족여행할만한 데가 있을까요? 4 고민 2014/11/10 1,548
434593 절임배추 사다가도 김치담기 어려울까요? 12 정녕 2014/11/10 2,513
434592 늙어가는 부모님과 커가는 아이들을 보다가 답답해지는 기분을 느꼈.. 4 등불 2014/11/10 1,818
434591 윈도우 XP를 윈도우 7으로 6 어떻게 하나.. 2014/11/10 1,401
434590 카카오톡 왜이러죠? 9 별라리 2014/11/10 2,429
434589 이 영어문장에 숨은 뜻이 있나요? 2 ..... 2014/11/10 966
434588 시장에서 파는 흙없는 고구마는 중국산인가요? 13 고구마 2014/11/10 4,035
434587 모달내의 지금 2014/11/10 819
434586 전기요 추천해주세요 전기요 2014/11/10 728
434585 등산 매력있네요. 10 ㅇㅇ 2014/11/10 2,905
434584 헤나 염색약 어디서 구입하나요??(30대 중반 새치로 인한 고민.. 4 ... 2014/11/10 2,864
434583 시부모님과 부산 여행, 호텔이나 팬션 추천 부탁드려요. 8 ^^ 2014/11/10 1,507
434582 단추 많이 파는 곳 있을까요.. 4 서울 2014/11/10 2,871
434581 올해 학교급식실 조리보조원 초봉은? 6 ... 2014/11/10 2,163
434580 대추차 끓이려면 말린대추지요~? 5 luckym.. 2014/11/10 1,662
434579 아이랑 핸드폰 공유하시나요? 1 열어 봐 2014/11/10 586
434578 실손보험 어떤게 좋은가요 7 6769 2014/11/10 2,202
434577 잘해줘봐야 소용없는것같아요 8 ^^^^ 2014/11/10 3,576
434576 달걀이랑 토마토같이 스크램블해먹는음식? 14 ... 2014/11/10 3,218
434575 새 고교 역사교과서 근현대사 비중 줄인다 2 세우실 2014/11/10 536
434574 생신상에 딱 3가지 요리만 올린다면 어느요리 추천 해주시겠어요 9 생신 2014/11/10 2,357
434573 유럽여행 인솔자의 행동을 어떻게 9 참#%여행일.. 2014/11/10 3,621
434572 얄미운 친구 2 ... 2014/11/10 1,898
434571 정 없는 남편 32 슬픈 아침 2014/11/10 12,291
434570 영어동화책 만만한줄 알았어요(조언절실부탁) 16 아녜스 2014/11/10 2,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