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피아노천재들은 어려서

ges 조회수 : 1,890
작성일 : 2014-10-23 12:32:50

주로 어떤 특징들을 보이나요?

이번 고3 수능 영어독해책에

세계에서 피아노연주 파이널리스트들을 인터뷰한결과

의외로 그들이 어려서는 그냥 좀 재능이 있는 편에 속하지

무슨 천지개벽 나라에서 그 지방에서 유명한 정도는아니었고

처음 만난 선생님이 아주 친절하고 따뜻하고 격려해 주는 사람을 만나서

 

그후에 프로 피아노연주가가 되기위해 필수 코스인

어마어마한 연습량을 견디게 해주는 밑바탕이 되었다.

뭐 그런 글을 읽으적이 있습니다만.

 

뭔가 확신이 있어야 연습도 저렇게 할수 있지

이거해도 밥굶는다는지

아님 재능이 평범해서 해도 소용없다는 생각이 들면

저런 연습을 할수는 없을듯한데 말이죠..

 

어려서 어떤 특징들을 보이나요

IP : 210.220.xxx.11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이러니하게도
    '14.10.23 12:46 PM (218.50.xxx.49)

    예원 피아노과에서 1,2등했던 친구들이 현재는 피아노 활동 안한다는 사실... 어떤 스승님을 만나느냐도 아주 지대한 영향을 미치죠^^

  • 2. ㅎㅎㅎㅎ
    '14.10.23 12:47 PM (59.6.xxx.151)

    좋아해서요--:
    어떤 특징을 보이는 건가
    가 아니아 연습량을 견디는 이유는 좋아해서지요

    천재 아니라도 어지간한 국제 콩쿨에 입상할 정도면
    특히 피아노는 긴 시간의 연습이 필요합니다 ㅎㅎ
    할때는 하기 싫어도 몰입이 되면 그 자체가 즐거움이 되어야 감당할 수 있죠
    이미 무대에 선 경험이 있는 중에는 무대 자체가 욕구가 되기도 하고요

    폴리니는 콩쿨에서 이름을 알린 후 7년 잠적 연습했다라는 전설인지 뻥인지 ㄹㄹㄹㄹ

  • 3. 저런지문이
    '14.10.23 12:51 PM (59.27.xxx.43)

    잘못된 정보 지식 책 지문등이 평범한 사람에게 헛꿈(?)을 꾸게 하죠.

    여러분들이 이름만 들어도 아는 각 분야의 천재나 명연주자 피아니스트도 마찬가지고요..

    이런 사람들 본인이 겸양한 인터뷰한다 해서 평범한데 연습으로 이겼다..뭐 이런 류의 말 절대 믿지 마세요.

    평범한 사람은 그냥 평범한속에 열심히 노력하면 그나마 평범에서 몇 프로 재능 상승 효과정도 있지요.

    천재들이 보통의 노력도 아니고 하루 6-7시간이상 매일, 콩쿠르나 중요시합 앞두고는 하루 10시간 꼬박 매달리는 일을 1-2년도 아니고 수십년 하여..

    우리가 이름들어보는 유명 연주자 유명 피아니스트가 되는 겁니다.

    예를 들어 스비아토슬라브 리히터 같은 연주가는 이미 독학으로 어릴때 6-7세 피아노신동으로 두각을 나타내어서 당시 러시아최고음악학교를 들어가고 최고스승을 사사해서 다듬어지긴 했지만 연습만으로 된것이 아니라 본래 천재가 제도권에서 조금 다듬어 가고 명성을 알린 정도구요.

    아시다시피 예브게니 키신도 5-6살때 신동으로 알려져 7살에 카네기홀연주와 카라얀에게 천재지명받았고.. 그후로 매일 7-8시간씩 수십년을 연습해오고 베테랑이 된 지금도 테크닉지도 러시아 스승아래 꾸준히 사사하고 있구요.

    아르투루 루빈스타인경우 피아노치지 좋은 탁월한 신체 조건있어 남들보다 적은 연습량으로 시작했으니 30세이전보다 이후에 자신의 재능있음을 알고 더욱 연습매진하여 일류가 된 사람이고요.. 등등.

    결론은, 천재가+열심히 갈고닦아=> 세기의 유명 연주자가 되었다. 가 맞아요.

    특히 명연주자의 경우 초반에 천재로 이름날리다 중후반에 사라지는 사람도 아주 많기때문에

    천재성에더해 꾸준한 연습과 혹독한 자기훈련이 평생에 걸쳐 버츄오소로서 존경받는 자리에 있게 하니까..

    이게 확률로 보면 수백만분의 1의 확률로 어려운 것이지 아닐까요.

    연주자 뿐 아니라 .. 철학 과학 물리학 수학 미술 무용.. 어느분야건. 존경받는 위치까지 올라간 전문가 들이라면 재능없이 노력만으로 가능하지 절대 않습니다.

    아인슈타인이니 에디슨이니 등의 어렸을때 둔재였다 천재가 되었고.. 이거 정말 잘못된 상식이구요,
    단지 제도권에 맞지 않는 성향이였을뿐 본래부터 특정분야에 매우 탁월한 지능인이였는게 맞지요.

  • 4. 제 생각
    '14.10.23 12:52 PM (180.224.xxx.143)

    아주 티나게 못 하는 전공자 아니면 윗등수들은 대략 비슷비슷합니다.
    여기서 윗등수란 악기별 3등 이내...
    그 전공자들 중 누가 유학을 가고, 누가 두각을 나타내고, 국제콩클에 나가서 입상하고, 누가 귀국 후 교수까지 가느냐,
    오로지 부모의 열정과 돈에 달려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극히 드문 경우 돈도 없고 부모의 심적물적 받침도 전혀 없는 상태에서 성공하는 전공자도 있으나
    말 그대로 지극히 드뭅니다.
    예능과 악기만큼 부모와 돈이 중요한 전공이 없습니다.

    요약하면 윗등수들은 재능과 능력이 엇비슷하나
    누가 성공하느냐는 부모(의 열정과 끈기)와 돈으로 결정된다는 것.

  • 5. ㅁㄴㅇㄹ
    '14.10.23 1:23 PM (125.128.xxx.198)

    윗분이 말씀하신게 딱 맞습니다. 천재가+열심히 갈고닦아=> 세기의 유명 연주자가 되었다
    전 피아노 전공자인데.. 학부때 저희과에서 절대음감 아닌 사람은 거의 없었어요.
    저도 어릴때부터 음악이나 어떤 소리를 들어도 다 계이름으로 들렸고요.
    타고난 음감 뿐만 아니라 운동만큼 엄청난 연습이 필요해요.
    "천재가 매일 10시간씩 연습하는것"에다 부모님 경제력, 국제 콩쿨, 레이블사, 교수 등등 뒷받침 해줄 것들을 다 갖추어야 겨우 됩니다.
    참..어렵죠...ㅜ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7921 수원에서 1970년에 시작했다던 보영만두.....진짜 맛없네요... 9 ㅜㅜㅜ 2014/12/20 3,093
447920 예술하는 사람들은 왜 성격이 이상하다고 하는거죠? 12 ........ 2014/12/20 12,306
447919 한예리씨 예쁘지않나요 7 해무 2014/12/20 2,445
447918 스쿼트를 하면 허벅지가 굵어진다/가늘어진다? 2 궁금 2014/12/20 11,368
447917 유학하고 고학력인데 사회생활 안하는분들 많은듯 7 2014/12/20 4,421
447916 ... 21 이제34 2014/12/20 6,993
447915 세월호249일) 실종자님들..가족 품에 꼭 안기시길 .. 10 bluebe.. 2014/12/20 531
447914 뉴스타파 좋아요! 1 2014/12/20 778
447913 삼시세끼 밍키양.. 3 그랬어 2014/12/20 3,960
447912 박정희 말입니다 질문이에요 9 ㅁㄴㅇ 2014/12/20 1,298
447911 추적60분. 대한민국의 눈물 4 송년기획 2014/12/20 1,903
447910 네이버에서 영화를 다운 받았는데요 2014/12/20 663
447909 자라 옷 어때요? 16 궁금 2014/12/20 4,773
447908 레이저시술 효과있나요?ㅠ 의견이 너무 갈려서 헷갈려요.. 5 skin 2014/12/20 12,224
447907 [단독]北 사이버 전문가 "국내 원자력 발전소 해킹 북.. 2 또 북한이니.. 2014/12/20 1,127
447906 미생 작가는 원작 이해도가 참 없는 것 같네요. 31 .... 2014/12/20 13,087
447905 세입자가 낸 못구멍 100여개 3 세입자가 낸.. 2014/12/20 3,699
447904 부모님에게 다른 형제 흉 들어주고 바보된 기분 1 ... 2014/12/20 1,194
447903 미생, 종영이 너무 아쉽네요 19 ..... 2014/12/20 4,543
447902 대구분들 집값 어찌 생각하시나요? 10 그대구분들 2014/12/20 3,676
447901 스카프선물 4 선물 2014/12/20 1,079
447900 종아리가 굵어 치마를 못입으니 나이 들수록 옷 입는게 힘들어 져.. 12 ,,,, 2014/12/20 4,353
447899 부부와 아기가 160으로 살 수 있을까요?..(펑했어요) 19 찹쌀옹심이 2014/12/20 4,254
447898 코트안에 입을 질좋은 니트어디서 사시나요? 9 패션꽝 2014/12/20 6,070
447897 손발톱은왜 밤에 깎으면 안되나요? 6 깎고싶다 2014/12/20 2,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