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유럽나라들 보면 참 신기한게.

건물 조회수 : 2,848
작성일 : 2014-10-22 17:24:55

건물들..중세때 지어진 건물들 말이에요.

전통 건물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고 어쩜 그리 다 웅장하고 정교할까요?

유럽의 중세시대는 전체적으로 보면 뒤떨어진 시기였는데 건물들 만큼은 진짜 갑인거 같아요.

건축기술과 문명의 발달수준은 별개일까요?

 

 

 

 

IP : 220.123.xxx.4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역사
    '14.10.22 5:39 PM (221.158.xxx.158)

    중세때 종교의 힘이 커서 많은 문제를 낳았지만... 실제로는 조금씩 발전하고 있었죠.
    건축기술과 문명수준은 별개가 아니라 관계가 깊어요.

  • 2. 저도
    '14.10.22 5:42 PM (221.151.xxx.158)

    신기하달까 궁금한게 있는데
    그런 건물들 보면 거리에 나무가 없이
    바닥까지 돌로 뒤덮여져 있쟎아요.
    왜 나무를 안 심었을까요?

  • 3. 건축
    '14.10.22 5:49 PM (119.64.xxx.194)

    윗님 말처럼 건축은 문명의 척도를 보여주죠. 중세가 뒤떨어진 시기란 건 뭐를 기준으로 보신 걸까요? 어떤 종횡적인 비교없이 그냥 교과서에서 배운대로 암흑 시대였다 이렇게 인식하고 계신다면 아마 중세의 종교가 어떤 위치였는지 한번 알아보세요. 종교가 지배하긴 했지만 그 종교에 모든 문명이 몰려 건축 역시 그만한 결과물이 나온 거죠.

    그리고 지금 보시는 건물들이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 건 아니예요. 옛 건축설계도가 남아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걸 그대로 증개축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고풍스런 건물로 지방 도시마다 가득해 보이는 독일도 2차 대전 때 웬만한 도시들은 절반 정도가 파괴 당했습니다. 그걸 싹 밀고 새 건물로 올린 게 아니라 옛 설계도대로 그대로 옛 모습을 복원한 게 현재 우리가 와우와우 감탄하면서 보는 유럽의 '옛 건물 모습'이예요. 일부러 낡은 척 하는 새 건물이랄까요?

    우리가 감탄해야 할 것은 개발과 보존이라는 모순된 가치관 사이에서 전자에 무게를 더 싣는 시민과 위정자들이지요. 물론 그 이전에 그런 모습을 오래 보존해 온 유럽 문명의 가치도 대단한 거구요.

    북촌이나 전주 한옥 마을이 대부분 1930년대 지어졌는데 조선시대 가옥이라 믿는 것처럼 유럽 건물도 모양만 옛 모양새지, 실은 젊은 건물도 무척 많다는 걸 알아두시면 좋겠네요.

  • 4. 역사
    '14.10.22 6:05 PM (221.158.xxx.158)

    그리고 쾰른 대성당같은 건물 하나 지을려면 다양한 분야의 학문지식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건축은 종합학문이자 종합예술이라고 하잖아요.
    수학이나 공학기술뿐만 아니라 건물계획이나 공간분활 계획을 하는데도 생각해야 될게 많잖아요.
    인간(사용자)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이해도 있어야 하고.
    주변의 사회적 조건 환경적 조건도 생각해야 하고.
    소리. 음향에 대한 과학적 지식도 필요하고.
    아뭏든 광범위한 과학.학문 지식이 축적이 되어야 훌륭한 건축물도 나올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일례로 중세시대때 유럽의 철학,과학자들이 남겨놓은 빛의 굴절등 광학에 대한 연구수준을 보면 놀랍더라구요.
    중세시대때는 이슬람권이 세계에서 최고로 발달된 문명권이었던거 같습니다.
    중세 유럽의 학문수준은 흔히 알고 있듯이 낙후된게 아니라 이슬람의 진보된 학문을 받아들여 상당히 발전했던거 같아요.

  • 5. ..
    '14.10.22 6:05 PM (121.129.xxx.139)

    새로 보수한 건축물이 대부분일걸요.
    독일만해도 2차세계대전이후 완전 폐허였잖아요

  • 6. 건축 보존
    '14.10.22 6:28 PM (175.204.xxx.131)

    전통건축물의 보존정도를 보면 유럽과 우리나라는 넘사벽으로 차이나죠.
    우리나라의 몇안남은 전통한옥들 조차도 대부분 6.25이후 새로 복원한겁니다.
    히틀러조차도 중요하고 역사적인 건축물은 피해서 공격했었죠.
    유럽에서는 중요한 건물이 아니라면 파괴된건 새로짓지만 기념비적인 건물이 공격으로 파괴되면 역사보존 차원에서
    파괴된 상태 그대로 보존하는 경우도 있어요.
    그리고 어차피 전쟁이 아니더라도 전통건축물의 내부는 계속 사용하려면 전기,설비등의 리모델링을 해가면서 사용해야 되요.

  • 7. 건축 보존
    '14.10.22 6:28 PM (175.204.xxx.131)

    그리고 결정적으로 유럽은 석조건축이고 동양은 목조건축이라서
    유럽은 전통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을수 밖에 없어요.
    목조건축은 오래 못가거든요.

  • 8. 점둘
    '14.10.22 6:29 PM (211.209.xxx.138)

    저도 그게 놀랍더라구요.
    중세유럽이 종교적으로 억압이 강하긴 했지만 지금 우리가 보는 중세시대 건물이라 함은 근대로의 길목에서 지어진 것이예요.르네상스로 향하는.그냥 낙후되었다면 그런 건물 자체를 지을 수가 없죠.돈과 기술의 집약체인데.
    저 시대에 어떻게 저런 건물을 지었나 놀라울 뿐.
    하지만 윗분도 말씀하셨듯이 그대로 남아있다기보단 끊임없이 고치고 새로 옆에 붙여 짓고 그랬더라구요.건축 자재가 돌이 많아서 더 오래 남아있을 수도 있겠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0366 김성주 공식사과 ”국감 불출석 판단 잘못, 재발 안할 것” 2 세우실 2014/10/27 846
430365 매실엑기스 100일 만에 걸러 두었어요.. 2 sos 2014/10/27 784
430364 우지원 글 올렸네요 30 ..... 2014/10/27 20,785
430363 눈에 노폐물이 쌓여요 7 ㄴㄴ 2014/10/27 1,952
430362 6학년 지인 아들이 여친을 사귀는데... 2 고민 2014/10/27 1,358
430361 타블로 딸 하루 치과치료하는거 완전 신기했어요. 36 .. 2014/10/27 14,630
430360 홍콩여행시 명품시계구매 dymom 2014/10/27 3,719
430359 이런 아내 어떤가요? (펑했습니다~) 4 90 2014/10/27 1,119
430358 40대에 미키마우스 그려진 니트티는 참아야겠죠? ㅎ 26 제발 참아줘.. 2014/10/27 4,150
430357 대한항공 마일리지 모으시나요? 7 ... 2014/10/27 1,770
430356 혹시 강아지 보험도 있을까요? 키우고 싶은데 아플까봐 걱정되서요.. 7 궁금 2014/10/27 969
430355 식단조절에 관련해서 물어볼께요.. 4 고혈압 2014/10/27 734
430354 힘 안들이고 모기잡는 간단한 방법. 10 모기헌터 2014/10/27 5,873
430353 뱃골 작은 아이... 4 momo15.. 2014/10/27 1,123
430352 스마트폰과 멀어지기 2 갱스브르 2014/10/27 811
430351 신규아파트 대출변경,진행 ???? 2 고민고민 2014/10/27 878
430350 냄새 안 나거나 약한 스프레이 추천좀 해 주세요. ..... .. 2014/10/27 377
430349 농협에서 판매하는 무배당수호천사....? 1 궁금 2014/10/27 650
430348 sovage 청바지에 대해 아시는분 1 궁금 2014/10/27 572
430347 사생활보호+정보보안+시력보호 필름 조아요ㅎㅎ 쏘양ㅎ 2014/10/27 781
430346 행복단말기 추천 좀 ... 4 시도 2014/10/27 782
430345 제2롯데월드 바닥 균열 알고 보니 의도된 연출 9 해프닝 2014/10/27 2,901
430344 제주도 가장 좋은 펜션 vs 제주 신라 7 제주 2014/10/27 4,297
430343 사촌여동생 수능 선물 좀 추천해주세요~ 3 . 2014/10/27 989
430342 지인 암 후유증 8 심장쿵쾅 2014/10/27 2,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