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돈이 어떻게 굴러 오던가요?

돈복 조회수 : 2,983
작성일 : 2014-10-10 08:11:13

열심히 살아도 큰 돈이 안 모이고

맨날 사는 게 평범 그 자체네요.

물론 별 탈 없이 무난하고 평범하게 살고 있는 것도 복이겠지만

운이 닿아서 돈을 많이 벌거나

돈이 돈을 번다거나

뭔가 내 노력보다 행운이 온 거 같단 느낌 있으세요?

어떻게 돈이 벌리던지 궁금하네요?

주식 투자 이런 건 재주 같구요.

IP : 61.79.xxx.56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결혼 때
    '14.10.10 8:25 AM (61.79.xxx.56)

    남편이 청혼이랍시고 밥은 먹여 준다고 하더니
    정말 사는 게 밥만 먹고 사는 정도네요.
    아껴 쓰고 잔돈도 소중하게 하고 이리 저리 모아도 푼돈이고
    세월이 흘러도 평범 그 자체네요.
    남들은 10걸음씩 앞서가는데 혼자 처지는 거 같아요.
    문득 답답하다 싶어서요.

  • 2. 푼돈의 기준이 얼마인지 모르지만
    '14.10.10 8:28 AM (222.106.xxx.115)

    그냥 성실하게 일하고 낭비없이 절약하며 사니까 그럭저럭 괜찮네요. 내실있는게 중요해요. 겉으로 보여지는거 말구요.

  • 3. ..
    '14.10.10 8:44 AM (218.38.xxx.245)

    다 때가 있더라구요 큰돈들어오는 때가 그래도 늘 낭비 안하고 아껴야 돈 모으는거같아요

  • 4. ...
    '14.10.10 9:05 AM (122.31.xxx.141)

    돈 벌릴때가 있어요. 죽도록 일만하면 돼요.

    그리고 그 돈으로 투자를 해야해요. 저축하면 장기간으로는 안 잃는게 최고죠.
    하지만 이자 그것이상은 없어요. 부동산이던 주식이던 자기 분야에 대해서 투자를 끊임없이 하고 위험을 감수해야 큰 돈이 들어와요. 가만히 저축하면 기회가 안 오더라구요.

    하지만 사람들이 투자를 할때 큰 돈을 쉽게 잃으니(한 두번 잃고 자신감 상실해서 다시 저축모드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죠. 이때를 넘기고 계속 투자 하다 보면 틈이나 기회가 보여요.) 잃는 것보다는 그래도 나으니 저축하라고 하는거 같아요.
    그리고 주식이던 부동산이던 재주로 돈 버는 사람은 드물고 거의 다 노력이에요. 일확천금 아니고 위험감수하고 부지런히 투자하는거에요.

    하지만 이 모든 것도 저축한 목돈, 종자돈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죠. 그래서 저축이 중요해요.

  • 5. 가랑비에 옷깃젖듯이
    '14.10.10 9:25 AM (119.203.xxx.172)

    사업하는 사람 아니면 큰돈이 확 들어오지 않아요.

    사업하는 사람들(장사하는 사람) 조차도 얼마나 아끼는데요.

    가랑비에 옷깃젖듯이 조금이라도 모이면 저금하고 저금하다보면 남들이야기하는 목돈이 되는거더라고요.

  • 6.
    '14.10.10 12:55 PM (183.101.xxx.9)

    노력한만큼 성과가 나는때가 돈들어올때 같았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5755 지하철,버스에서 자리양보의 기준이 어떻게들 되시나요? 15 자리양보 2014/10/13 1,892
425754 TK의 朴대통령 지지도 50.4%, 1년새 20%p↓ 5 ... 2014/10/13 1,190
425753 길 잃은 강아지 6 아닌밤중에 2014/10/13 1,412
425752 시어머니가 시댁집에서 산후조리하라시는데.. 34 2014/10/13 10,280
425751 왜 기가 죽는지 모르겠어요. 17 자게 2014/10/13 4,968
425750 정작 이혼해라,애낳지말라는 사람들보면 25 순리 2014/10/13 4,099
425749 왜이렇게 사람들이 싫어지죠... 8 ... 2014/10/13 1,967
425748 인터넷에서 이혼가정 어떠냐고 물어보면 28 ㅇㅇ 2014/10/13 3,884
425747 82쿡에 뭘 기대하십니까? 29 루나틱 2014/10/13 2,343
425746 조언좀 부탁드려요 아기 기관 보내는 문제 3 .. 2014/10/13 942
425745 참기를 방앗간에서 짜 드시는 분들, 가르쳐주세요. 21 ㅇ ㅇ 2014/10/13 5,759
425744 이제 몇시간후면 아기낳으러 가요... 22 .... 2014/10/13 1,968
425743 나이들면서 말수 적어지신 분 있나요? 2 궁금 2014/10/13 1,547
425742 친구가 별로 없어서 가끔 외로워요 16 심심 2014/10/13 5,349
425741 이런 전세 위험할까요? 1 멋쟁이호빵 2014/10/13 949
425740 다음생엔 이지아 처럼 한번 살아보고 싶네요 23 .... 2014/10/13 5,724
425739 해장국집, 고깃집, 북어국집, 칼국수집 어딜갈까요? 12 야식 2014/10/13 1,423
425738 (부탁 감사!!)80대이신 삼촌부부 음식 주문 선물 추천 1 선물 2014/10/13 664
425737 조리원 2주만 하고 혼자 아기돌보기하려는데.. 17 임산부 2014/10/13 2,740
425736 아이허브 판매금지예정 품목 28 2014/10/13 12,339
425735 무차를 먹으니 관절이 영 안 아파요 54 겨울 2014/10/13 9,703
425734 핸드폰 요금 문의드립니다. 1 안단테 2014/10/13 421
425733 올수리 기간 얼마나 잡아야 하나요? 8 알콩 2014/10/13 4,404
425732 요즘은 현실적인 드라마는 찿기가 힘드네요 12 ㅇㅇ 2014/10/12 2,347
425731 샐러리 남은 거 어떻게 보관하세요? 4 colla 2014/10/12 1,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