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번역] 시작과 시작함에 관하여 3/ 뤼디거 사프란스키

새벽의길 조회수 : 483
작성일 : 2014-10-06 05:56:17
 '사프란스키'로 검색해 보시면 이전 번역글들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3)

사람들이 슈베르테/슈나이더의 경우를 도덕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는지와관계없이, 그의 사례는 사람들이 실제로 자신의 삶의 이력 자체를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매우 크고 유혹적인 판타지에 속하기 때문에, 슈베르테/슈나이더 사례는 장차 우리에게 새로운 “슈틸러” 소설의 한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나는 또다른 타자다” 1870년에 랭보는 시적 아방가르드 프로그램을 한 문장으로 이렇게 말했다. 하나의생생히 살아 있는 인격은 그 인격이 정의될 수 없다는 것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그 인격은 지속적으로상상계 속으로 달아난다. 시짓기(Dichtung)는 인간을도대체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기 (dicht) 때문에 존재한다. 부단히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성격은 천재성의 한 특징이다. 랭보는 스스로도 갑자기 시짓는 것을 그만두었으며, 파리의 보헤미안들의 소굴에 자주 들락나락 거렸다. 그는 북아프리카의아덴으로 갔으며, 거기서 무기와 노예상으로 살았다. 그는(절필 이후) 오래된 우정의 끈을 찢어버릴 수 있는 그 어떤단 한 편의 시도 쓰지 않았다. 그는 새롭게 시작했으며, 자신의그 문장을 실현시켰다: “나는 또다른 타자다”

 

아르투어 랭보나 슈틸러, 혹은 슈베르테/슈나이더와 같은 사람들은 환상들에 열중하였는데, 왜냐하면 사람은 기꺼이어떻게 한 사람이 담배를 사러 나가서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지 이야기를 해주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그는그냥 그렇게 갔고, 너무 멀리 가벼려서 급기야 새로운 시작에 도달해 버렸다. 예를 들어 보자. 그냥 담배 사러 갔다 돌아오는 길에도 어떻게 사람들은새로운 시작을 할까?

 

하나의 가능성은 – (그냥) 잊는것이다. 망각은 시작점이 본래는 아닌 곳에서 새롭게 시작을 할 수 있는 하나의 기술이다. 괴테의 파우스트가 그 예다. 괴테는 파우스트를 거칠게 진행시켰다; (그는 파우스트 안에서) 슬픔과 기쁨을 체험했으며, 무엇보다도 몇 가지의 재앙을 불러 일으켰다. 일이 나중에 어떻게진행될지는 아무도 미리 가늠할 수 없었다. 그것은 (작가인) 괴테 역시도 몰랐고, 지금껏 해온 이야기에 스스로 질려 버린 그는그의 파우스트를 그렇게 잠들게 했다. 그 잠은 파우스트 해석자들에게서 잠을 빼앗아 가버린 망각의 잠이었다.

 

잠이 달아나 버린 사람은 그들 뿐 아니다: 우리에게 망각을 곧이 곧대로허용하지 않으려는 정신분석가 단체도 그렇다. 그들은 망각을 ‘억압’ 이라고 명명하고 우리가 좀처럼 빠져 나오지 못한다는 가설적인 전(前) 유아기의근원적 장면으로 우리를 보내 버린다. (그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망각을(그렇게) 철저하게 요리하고 소화하는 것이 우리를 망각의힘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줄 것이라는 주장이 있긴 하다. 그러나 우리가 흔히 더 자주하는 경험은 우리의관심사 속으로 포획된 망각은 곧장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는 프로이트가 사람들에게 ‘나’ 라는 주권의 한조각을 돌려주려고 했다는 것. 즉 그것을 더 현실적이고 더 현재적인 것으로 돌려 놓으려고 했다는 것을 안다.그것은 그럼으로써 (우리가) 이해 불가하고 극복될수 없는 과거로부터 지배되는 것을 멈출 수 있어야 했다. 오래된 트라우마로부터 유래하는 반복되는 강박은단절 되어야만 했다. (정신 분석의) 목표는 (이렇게) 확실히 현재와 미래에-열려있음이었다. 그 목표에 따르면 사람은 다시금 현재와 미래의 요구들에 스스로를 대면시킬 수 있어야 한다. – 즉 다시 시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안다: 사람이 한 번 과거 속으로, 즉 자신의 과거에 관한사적인 신화 속으로 한 번 말려들게 되면 그 스스로 다시 현재로 후퇴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사적인숙명 속에서 그것은 이미 충분히 어려운 일이나, 더 어려운 것은 그것이 집단적인 병리학이 될 때이다. 바로 독일의 과거로 인한 고통 같은 예에서 말이다.     

 

우리는 나찌 이후 하나의 개인이 아니라 집단-주체로 하나의 의심(Verdacht)을 사고 있다. “모든 죽어버린 세대들의 전통이 마치알프스 산맥처럼 산 자들의 뇌를 짖누르고 있는 것처럼 (칼 맑스)” 독일에서는또다른 곳에서 고유한 국민 교육 프로그램이 나찌의 과거를 결코 사라지지 않을 지경으로 만들고 있다. 우리는이 땅에서 나찌의 과거가 아직 충분히 제거되지 않았다는 의심을 서로에게 덧씌우면서 스스로 부담을 지우고 있으며,그것은 점점 더 억압되고 있으며, 급기야는 이러한 “억압된것의 귀환” 이 위협이 되고 있다. 선의의 여론에 의해 키워진이러한 의심 – 그리고 이 여론은 이 (나찌의 과거가 아직완전히 청산되지 않았다는) 의심을 표출하는 사람에게 도덕적인 부가가치를 더 매겨주었는데 – 은 거짓된 분위기를 만들었는데, 이 분위기는 (역설적으로) 바로 그 금기를 범하는 것, 그리고 소위 말하는 “탈선을 하는 것”을 제대로 부추기고 있다. “역사학자 논쟁” 이 있었던 80년대 말에 나찌의 범죄가 정말로 그렇게 유일무이한것이었고 다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것이었는가라는 가벼운 회의는 이미 (그런 회의를 하는 사람들이나찌의 과거를) 가볍게 만들려고 한다는 (Verharmlosung) 라는의심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그리고 사람들이 베를린의 홀로코스트 계고(戒告)비가 미학적인 실패작이라고 했을 때 그 사람들은 책임으로부터 벗어나려 한다는비난을 감수 해야만 했다.

 

이러한 공개 심판 극장 (Tribunalisierungstherater) 에서그동안 사악한 과거와 관련을 맺고 있지 않은 세대에 속한 사람들은 모든 면에 걸쳐서 (나찌의) 희생자도 아니고 범죄자나 공모자도 아닌 어조로 말하고 있다. 모든시대의 대규모의 정치적 범죄의 맨 윗자리를 방어하는 것이 관건이 될 때 아우슈비츠와 나찌는 공공연하게 독일적인 자의식의 부정적인 신화가 되었다. 이런 식으로 미디어의 관심 속에 포획된 과거는 사라질래야 사라질 수가 없다.그것은 남는다. 그러나 담소의 한 분야라는 다른 형태로 말이다. 사람들은 연방 수상 슈뢰더가 자기는 사람들이 홀로코스트 계고비를 가족들과 함께 방문했으면 한다고 말했을 때뭔가 부적절하다고 느꼈다. 그 이후 사람들은 오해의 소지가 없는 ‘당신들맘에도 들다시피’ 라는 원칙에 충실한, 나찌 시대에 관한영화 제작에서 더 이상 반감을 느낄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전율로 가득찬 역사는 멀리 밀려났고, 그것은 역사적으로 되었다. 그것은 부단히 작업되고 분석되었다. 그 역사에 들러붙어 있던 계고들과교훈들은 소비되어 버렸다. 이제는 (그 역사를) 언론이 활용하는 시간들이 부단히 그렇게 지나 가고 있다. 관심을끄는 호경기는 이렇게 해당 소재의 화제 적합성(Unterhaltungswert) 에 따라 규제된다. 멸망과 마지막 결투, 혹은 악마들이 자신의 주먹을 가지고 세상과맞짱 뜨는 자력구제의 순간들이 (역자주 – 히틀러와 나찌의행적을 소영웅화시키려는 심리를 이렇게 표현한 듯) 물어졌는데, 왜냐하면 <커다란 감정들이 있는 곳에 거대한 극장>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역사는 즐길 수 있는 것이 되었으며마침내 흥미 진진하고 눈부실 정도로 화려한 사건으로 향유되었다. 뮤지컬 역시도 곧바로 이 소재를 받아들였다. 슈퍼스타 아돌프 히틀러. 이렇게도 사람들은 새로운 시작을 발견할 수있다. (계속)                   

 

 

IP : 95.91.xxx.98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6067 겨울옷정리 다들 하셨나요? 5 ... 2014/10/15 1,917
    426066 얼굴색 안변하고 3초만에 말바꾸는 사람 13 보고도안믿겨.. 2014/10/15 2,918
    426065 아기 100일때 축하해주실래요?근데 100일에 뭐하죠? 7 꿈꾸는고양이.. 2014/10/15 963
    426064 요즘 과일 뭐가 맛있나요? 10 과일 2014/10/15 2,295
    426063 요즘 고구마나 밤이 다 맛있을 때인가요? 4 간식 2014/10/15 949
    426062 AFP, 산케이 전 지국장 출국정지 연장 보도 5 홍길순네 2014/10/15 389
    426061 2014년 10월 15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4/10/15 455
    426060 답답합니다... 6 답답. 2014/10/15 1,175
    426059 복사 거부하는 문방구...기분 나쁘네요 8 복사 2014/10/15 2,914
    426058 은없다는 말이 뭔 뜻이에요? 6 궁금 2014/10/15 2,011
    426057 손석희 김종인대담 "박정권 끝났다?" 9 닥시러 2014/10/15 3,172
    426056 호의가 계속되면 둘리인줄 안다더니 20 ㄷㄷ 2014/10/15 10,909
    426055 경차라서 더 그런지? 운전이 너무 스트레스예요 7 ... 2014/10/15 2,997
    426054 오늘 카톡 밴드 다 탈퇴했어요. 그런데 질문이... 7 무국 2014/10/15 3,365
    426053 카톡 궁금 1 넬리 2014/10/15 593
    426052 본방사수 못하고 결제해서 다시보기중인데... 36 무도.. 2014/10/15 4,285
    426051 북한 석유매장량 세계3위. 8 닥시러 2014/10/15 2,511
    426050 나가려고 문 열면 그 사이로 쏙 나가는 사람 21 분노~~ 2014/10/15 3,288
    426049 얼굴이 짧고 넓어서 턱 때문에 더 커 보이는 얼굴인데 코수술하면.. 2 .. 2014/10/15 959
    426048 아빠가 공인중개사 걸고 딸이할수도 6 공부안되는딸.. 2014/10/15 2,346
    426047 백분토론, 성X여대 김X수 코미디언 또 나오새쎄여 4 지금 2014/10/15 1,153
    426046 마이시크릿호텔 ----- 질문있는데요... 2 단감 2014/10/15 1,486
    426045 아이 학교 보내고 나서 하루도 즐거운 날이 없네요. 101 학부모 2014/10/15 18,605
    426044 햇빛 알레르기와 피부건조증땜에 가려움도 심하고 피부가 엉망이네요.. 3 강서구 피부.. 2014/10/15 1,428
    426043 나의 사랑 나의 신부 1 .... 2014/10/15 1,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