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악공부하신 분들요 장조와 단조요..

ㅇㅇ 조회수 : 978
작성일 : 2014-10-04 23:22:09
인간이 아무런 음악 교육을 받지 않아도
장조를 들으면 유쾌하고 단조를 들으면 우울해지는데
그 기제는 무엇인가요? 궁금해서요..

사실 부엉이 소리나 바람소리 같은 건
들으면 스산함이 연상되는데
충분히 연상물과 관련이 있으니까 납득이되요.
장단조는 왜 인간이 본능적으로 다르게 느껴지나요?
IP : 203.226.xxx.77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와. . .
    '14.10.5 12:49 AM (218.237.xxx.135)

    생각 안 해본건지 . . .배웠는데 잊은건지.^^"
    일단 지금 생각하기엔.
    화성에서 근음이 되는 그러니까 그 뿌리음. . .맨 밑의 음과 중간음의 사이가 장,단조가 결정되는 이유인데요.
    음계나 음 사이의 거리를 나누는 방법들과 명칭들은 많이있지만
    우리가 익숙하게 듣는 피아노의 음정들을 가지고 얘기하면.
    장조보다 단조의 두 음 거리가 반음 더 좁거든요.
    장조의 울림이 더 경쾌하게, 더 완전하게 느껴지는 이유를 찾지 못한 저로서는 이 대답이 무슨 소용이 있겠냐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인간의 귀가 그 완전한 장조의 울림의 좁아짐을 불완전한 상태로 감지하는 게 아닐런지^^;;찌그러지는 느낌이랄까.
    그러니까 단조는 뭔가 구겨져 있는 뚫어야 할 대상을 찾는 상태라면
    장조의느낌은 단조의 답답함을 해결하는 넓은 울림, 해답을 주는 게 아닐지요.
    그래서 화성이 적절하고 다양하게 배치될수록 음악이 더 아름답게 느껴질것 같아요. 해결되었을 때의 희열을 준달까 .

    더 정확한 답을 주실분이 계시면 좋겠네요.
    저도 궁금합니다.

  • 2. ㅋㅋ
    '14.10.5 1:23 AM (218.237.xxx.135)

    원글님 댓글 라나 남기셨던데 어디가셨어용.
    ㅎㅎ
    이 밤에 어린 장금이가 생각나는군요.
    홍시맛이 나서 홍시맛이 난다고 하는데 왜냐고 물으신다면. . .ㅠㅠ
    음정간의 거리로는 원글님의 궁금증을 해소할 순 없겠군요.
    좀전에 댓글이 하나 있었다가 사라졌는데
    그 분 말씀도 좋았습니다.
    대부분의 서양음악을 듣고 교육받은 사람은 평균율에 익숙해져 있고 학습되어져 있죠. 그런 이유에서도 찾을 수 있을거고.
    그분 말씀처럼 자기만의 음계를 가진. . .서양음악에 걸 노출된 사람들은
    원글님이 말씀하신 단조와 슬픔의 관계에 덜 민감하다니꺼 . .이 부분도 생각해보셔요.
    아..그리고 명칭에서도 답을 유추해볼수도 . .
    단조 의 단은 짧다, 가깝다의 단이고
    장조의 장은 길다라는 뜻입니다.

    님의 머리에 누가 양동이를 씌우고 막대기로 머리를 때린다면 작은 양동이 쓰고 맞는것 보다
    큰 양동이가 머리와의 간격이 더 있으니 울림도 좋고 기분도 덜 나쁘지 않을까요 . 아이구야. .ㅎ ㅎ
    크허헉. . .제가 쓰고도 너무 웃겨서 . . .데굴거리다가...자야겠습니다. ㅋ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7656 휘발유 차량에 경유를 넣으면?? 4 급해요 2014/11/20 2,369
437655 어제 저녁부터 베란다에있던 소고기 괜찮을까요? 1 아까운 2014/11/20 675
437654 인조가죽 롱부츠 딱딱한가요? 1 롱부츠 2014/11/20 955
437653 대학생 아들 우울증 6 2014/11/20 4,150
437652 실갈치포?는 어떻게 먹는것이예요? 2 궁금 2014/11/20 1,578
437651 요즘 중학생은 어떤 패딩 입고 다니나요? 11 2014/11/20 3,263
437650 가스렌지 점화 문제로,,,전기렌지로 바꿀까 생각중인데요 9 렌지 2014/11/20 2,451
437649 황학동 주방용품 거리 소매는 안되나요? 1 마리 2014/11/20 1,232
437648 삼채 파는데 어디 없을까요?? 3 ,. 2014/11/20 959
437647 밥솥구매 3 하이 2014/11/20 1,051
437646 입원해 계신 엄마 입맛 돋굴 반찬 아이디어 좀 주세요! 20 기체 2014/11/20 2,969
437645 달맞이꽃종자유 조기폐경막는데 도움될까요?? 2 ., 2014/11/20 2,820
437644 이럴 땐 어떤 마음 가짐이 필요한지.. 예신 2014/11/20 789
437643 철 지난 와이셔츠 보관 어떻게 하세요? 2 옷보관법 2014/11/20 1,102
437642 오래된 화분 흙 다시 사용해도 되나요? 4 토토 2014/11/20 2,710
437641 태국 자유여행 다녀오신분있나요? 16 태국여행 2014/11/20 2,977
437640 무능력한 남편 vs 막장 시어머니(시댁) vs 제멋대로 자식 14 궁금 2014/11/20 4,942
437639 강아지 있는 집 밤외출시 불 켜두나요? 3 초보 2014/11/20 2,356
437638 2014년 11월 20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4/11/20 681
437637 미국에서 소매치기 당했어요 16 마칠지 2014/11/20 3,854
437636 꼴찌 도맡아 하는 초1아들.선생님과상담..ㅜ 27 초1맘 2014/11/20 5,193
437635 드라마 불꽃의 주제는 뭘까요? 23 재미 2014/11/20 3,374
437634 기독교인들만 봐주세요 36 질문 2014/11/20 2,323
437633 아이의 엉뚱한 상상력이란 ^^ 4 2014/11/20 990
437632 브래지어 얼마나 오래 쓰세요? 15 살림살이 2014/11/20 4,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