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앙난방 아파트 살기 어떤가요?

멋쟁이호빵 조회수 : 3,027
작성일 : 2014-10-04 20:27:10
중앙난방은 처음 살아봐서요

겨울에 춥다고도 하고 난방비 많이 나온다고도 하던데

직접 살아보신분들 말씀 들어보고 싶어요

그리고 같은 중앙난방이어도 복도식이랑 계단식에서도 어떤 차이가 날까요?
IP : 123.215.xxx.5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0.4 8:38 PM (180.228.xxx.143)

    중앙 난방 아파트라면, 약아 빠지지 못하면 이웃 주민이 난방비 0원를 내는 동안 그 0원 내는 주민의 난방비까지 덤터기 쓰는 아파트 아니던가요?

  • 2. ㅜㅜ
    '14.10.4 8:46 PM (219.250.xxx.189)

    중앙난방은 따듯한집은 한겨울에도 반팔로살고
    추운집은 또 덜덜떨면서 삽니다
    요금은 다 똑같이내지만 억울한집이 많아요

  • 3. 네 맞아요
    '14.10.4 8:50 PM (220.76.xxx.234)

    저층은 보통 좀 추운편이고
    중 상층은 괜찮은거 같고
    좋은 점은 언제나 따뜻한 물이 나온다는거

  • 4. 천사
    '14.10.4 9:07 PM (123.213.xxx.54)

    전 쫌 많이 불편해요 난방비는 엄청나오고요 다시는 다시는이사가고싶지않은

  • 5. 불편하죠.
    '14.10.4 9:18 PM (14.32.xxx.157)

    난방이 골고루 분배 되지 않아 더운집있고, 추운집 있고 그래요.
    대체적으로 저층과 탑층이 춥죠. 전체적으로는 추운집보다는 따뜻한집이 더 많아요.
    편한점이라면 따뜻한집 잘 골라서 입주하면 개별난방보다 난방비 신경쓰지 않고 따뜻하게 지낼수 있다는거예요.
    관리실에서 일괄적으로 난방을 틀어주는것이라 일찌감치 난방 틀고 늦게까지 난방 떼줘요.
    저희 아파트도 몇일전부터 잠깐씩 난방 돌려주더군요. 10월부터 4월까지 난방이 들어와요.
    개별난방보다는 불편한데, 살아보면 또 익숙해져요

  • 6. 오래된 아파트
    '14.10.4 9:40 PM (122.34.xxx.69)

    오래된 중앙난방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요...
    #장점은
    온수를 항상 사용할 수 있어요. 여름에 한주 정도 청소할 때를 제외하고는 일년내내 수도꼭지만 틀면 따뜻한 물이 나오죠.
    한겨울에 여행을 다녀오거나 집을 며칠동안 비워도 집에 돌아왔을때 집에 냉기가 없어서 좋아요.
    난방비에 대해서는 아예 포기하기때문에, 난방비를 아낀다고 춥게 살거나 하지 않아서 좋아요.
    (만약 개별난방이라면 저희 집은 난방비를 아끼려고 아주 춥게 살았을거에요.)

    #단점은
    지금처럼 간절기(초봄, 초가을)같은 절기에는 난방을 많이 안하기 때문에 한겨울보다 지금이 훨씬 춥게 느껴져요.
    온수를 사계절내내 마음대로 쓸수 있지만 급탕비(온수사용비)가 많이 비싸요.
    여행가거나 집을 비울시에도 난방은 계속 하기때문에 아깝기도 해요.
    내가 몸이 으슬으슬하거나 가족이 아파도 난방은 우리 가족 컨디션에 맞출 수 없어요.

    #아주 한겨울(1월달)에만 피크로 많이 나오는 편이라 1년에 1~2달만 난방비가 많이 나가서(겨울내내 많이 나가는게 아니고...) 장점과 단점사이에서 그냥저냥 만족하고 살고 있어요.

  • 7. 개별
    '14.10.4 10:02 PM (125.132.xxx.110)

    난방 보다 불편하죠.

  • 8. 온수는 늘 나오지 않나요?
    '14.10.5 1:30 AM (125.208.xxx.160)

    중앙난방이건 지역난방이건 온수는 1년 내내 나오지 않나요?
    친정부터 치자면 중앙난방 두번 살아봤고 지역난방 2번 살아봤는데 온수는 늘 나오던데요. 급탕비가 늘 부과되잖아요. 저희는 여름에도 온수 많이 써서 급탕비가 관리비에서 늘 많이 나와요.
    중앙난방은 저희 경우는 좀 더웠어요. 특히 초봄은 낮에는 정말 문 열어놓고 살아야 할 정도로 더웠어요.
    대신 지역난방보다 난방비는 많이 나오는 편이었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4851 여성분들에게 궁금한 게 있습니다. 7 궁금 2014/10/08 1,454
424850 내연녀두고 위자료 한푼도 못준다는 남편 4 김성미 2014/10/08 2,942
424849 유민아빠에게 절하고 가셨다는.... 6 ........ 2014/10/08 2,495
424848 폐경이 가까워지신분들...궁금해요~ 5 가을바람 2014/10/08 3,070
424847 녹십자 휴비딕 쓰시는 분 계시나요.. 4 체온계 2014/10/08 1,361
424846 아파트 5년 되믄 갈아타는게 낫나요? 2 부자살림 2014/10/08 2,808
424845 베이비로션을 화장할때 기초로 사용하는 분 계신가요? 4 11 2014/10/08 1,642
424844 초간단 동치미 성공했어요~^^ 10 동치미 2014/10/08 4,814
424843 전세 살다가 외국 나갈 경우에.. 2 ... 2014/10/08 771
424842 26개월 남아 맥포머스 vs 지니맥 어떤게 나을까요? 3 지니맥미니 2014/10/08 2,182
424841 초1~5 아이들에게 영화(고전~현대) 추천해주세요~~ 5 영화 2014/10/08 842
424840 손연재 "악플, 연습에 집중하며 잊어버린다" 28 긍휼히 2014/10/08 2,880
424839 등기권리증 6 빈남매 2014/10/08 2,526
424838 세월호176일) 실종자님들..겨울되기전 돌아와주세요.! 21 bluebe.. 2014/10/08 577
424837 국감장서 비키니女 보다 딱 걸린 권성동.헐~ 7 닥시러 2014/10/08 2,223
424836 슬로우비디오 8살 아이랑 같이 볼수 있나요,, 3 ,,, 2014/10/08 738
424835 카카오톡이 똥줄 탔네요. 9 ..... 2014/10/08 8,309
424834 간단한 달걀요리 7 -- 2014/10/08 2,169
424833 손가락 관절염 있는데 가야금이나 첼로 배울 수 있을까요? 2 mimi 2014/10/08 1,630
424832 성누리당 권선동 사고 쳤네요. 14 에혀혀 2014/10/08 2,930
424831 고급스러운 욕실 샤워커튼 파는곳? 3 ... 2014/10/08 1,343
424830 국감장에서 비키니보고 침흘리는 권성동 3 색누리 2014/10/08 1,209
424829 집밥을 먹으면요 6 집밥 2014/10/08 2,720
424828 세월호 유족 '증거보존' 눈물겨운 노력 12 .. 2014/10/08 1,060
424827 이번 노벨상 수상자 좀 말이 많네요. 2 동물실험 2014/10/08 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