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냉장고 떡 원래대로 되살리기
전 외국에 살고요 내일 저녁에 남편 생일이라 손님이 집에 오는데요
후식으로 떡을 준비하기로 하고 한국 가게에 가서 떡을 사왔어요
그런데 이걸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으면 상한다고 해서 현재 집에 오자마자 냉장고에 넣은 상태인데요
이걸 내일 말랑말랑하게 다시 만들 수는 비법이 있을까요?
전자렌지에 돌리면 딱딱해지고 내일 다시 떡을 찔 시간은 없는데 다시 이 떡들을 맛있게 먹을 비법 있으시면 알려 주시면 매우 감사 하겠습니다. ..
내일 갈 수 있엇으면 좋았을텐데 시간이 안 되서 오늘 갈 수 밖에 없었어요 ㅠㅠㅠ
1. //
'14.9.20 11:13 PM (113.131.xxx.57)무슨 떡인지 몰라도
찰떡종류는 따뜻할 때 냉동실에 두었다가 실온에서 해동하면 말랑말랑해지고
시루떡 종류는 끓는 물에 시루를 얹어 다시 찌면 되지만 고물색깔은 장담 할 수가 없네요...2. 원래
'14.9.20 11:15 PM (119.149.xxx.254)떡은 냉장고가 아닌 냉동에 넣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냉동떡은 살리기 쉬은데 냉장고 떡은 전자렌지던 찌던 살리기 쉽지 않습니다.3. 흠
'14.9.20 11:17 PM (1.177.xxx.116)전자렌지는 절대 쓰시면 안되구요. 도저히 다시 찔 수 없다면 자연해동밖에 없을 겁니다.
그 쪽 날씨가 어떨지 모르지만 따뜻한 실온에서 그냥 그대로 두면 드실만 할 겁니다.4. 도라
'14.9.20 11:17 PM (86.26.xxx.66)아 지금 바로 냉동실에 넣을까요? 떡종류는 송편 백설기
꿀떡 등입니다5. 앨리스
'14.9.20 11:19 PM (182.216.xxx.142)전자렌즈에 해동기능이 있어 해동하면
부드럽고 딱 먹기좋던대요..6. 도라
'14.9.20 11:19 PM (86.26.xxx.66)실온에 두면 상할 수도 있다 해서요 현재 기온은 17도 정도 입니다
7. 도라
'14.9.20 11:21 PM (86.26.xxx.66)약 26시간 이후에 먹어야 하고요
8. ...
'14.9.20 11:23 PM (218.233.xxx.220)밥통이요!! 맵쌀떡은 밥통에 넣는게 그나마 제일 낫습니다.
9. 지금
'14.9.20 11:25 PM (211.208.xxx.144)말랑한 상태면 냉동실 넣었다 몇시간전에
내 놓으면 말랑하긴한데요
떡 종류들이 한번 살짝 쪄도 될듯요
찬물에 올리지말고 물이 끓으면 찜기 놓고
그위에 떡 얹어서 찌면 됩니다
근데 너무 오래 푹 찌지 마시고
봐가면서 적당히10. 카푸치노
'14.9.20 11:27 PM (1.228.xxx.236)밥이 약간남은(습기겠죠) 보온밥통안에 냉동떡을담은 그릇을 통채로 넣어두고 2~3시간정도 그대로두면 촉촉해져요. 너무 오래두면 물러지고요 .
떡양에따라 시간조절 필수요.11. 흠
'14.9.20 11:28 PM (1.177.xxx.116)전자렌지를 쓰면 결국 수분이 날라가는거라 해동기능을 잘못 쓰면 딱딱해질 가능성이 높아요.
모임에 쓰는 용도이니 위험부담이 크니 그냥 모임 시작 몇시간 전에 실온에 내놓으면 말랑해지지 싶어요.
그리고 오래 뒀다 먹을 떡은 냉동실에 넣었다가 다시 쪄서 먹어도 된다는 말씀인데 원글님 지금 상황과는 상관이 없어요.
그런데 냉장고 떡은 냄새 안배이게 여러겹 잘 싸셔야 해요.
쪄서 드시면 찔 때 그 향이 날라가지만 자연해동을 하면 배인 음식물 냄새가 좀 날 수 있어요.12. 카푸치노
'14.9.20 11:31 PM (1.228.xxx.236)콩고물 인절미도 전기밥솥 보온기능시간 잘만 활용하면 아주 좋아요~
13. 떡은
'14.9.20 11:51 PM (211.223.xxx.160)냉장고에 넣으면 그대로 딱딱하게 굳어질 뿐이에요.
냉동을 하면 그래도 몇 시간 밖에 두면 처음에 굳은 떡 아니고서는 말랑한 떡이었다면 오래 냉동한 떡 아닌바에는 대부분 원상으로 돌아옵니다.
그리고 전자렌지에 저도 잘 돌려먹어요.
다만 전자렌지 사용시엔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합니다.
시간 초 단위로 맞춰가면서 떡 말랑한 정도를 관찰해서 오래 안 돌려야 하고요.
전자렌지도 몇분 이런 식으로 오래 돌리지 않으면 그리 수분이 확 날아가진 않고 촉촉하게 먹을 수 있어요.
아니면 밥통에 몇 시간 두고 말랑해질 때까지 둬도 됩니다.
물 끓여서 찜기로 찌는 건 자칫하면 너무 물러져서 심하게 흐물거릴 수 있어요.
그런 건 오래돼서 수분이 거의 없는 굳은 떡 찔때 좋고 만든 지 금방인 떡은 냉동고에 뒀다가 먹기 전에
몇 시간 상온에 두면 차이 없이 말랑해져요.14. 도라
'14.9.21 12:00 AM (86.26.xxx.66)모든 댓글 감사 드려요 좋은 밤 보내세요 :)
15. ,,,
'14.9.21 7:54 AM (203.229.xxx.62)냉장실이든 냉동실이든 보관 하시고 찜기에 물 올리고 물 끊으면 5분 정도 찌면
원래 상태로 되요. 멥쌀 종류라서 찌면 돼요.
찹쌀이 더 까다로워서요.16. 찜기..
'14.9.21 9:00 AM (218.234.xxx.94)찜기에 물 올리고 물 끊으면 5분 정도 찌면 됩니다 2222
(떡은 찜기에요..)17. 떡은 냉동실 보관
'14.9.21 9:33 PM (123.109.xxx.92)냉장실은 전분성분 때문에 딱딱해지는 노화현상 옵니다.
다음부터는 꼭 냉동실 보관하세요.
그리고 딱딱해진 떡은 무조건 찜해서 원상복귀 가능해요.
전자렌지 잘못 돌렸다가는 더 딱딱해지고 떡 버려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447677 | 오늘 알바 지령은 해산 다행이다? 5 | 흠.. | 2014/12/19 | 662 |
447676 | 꼴도 보기 싫은 남편. 4 | ㅡ.ㅡ | 2014/12/19 | 1,863 |
447675 | 아프리카 티비 먹방bj한테 빠졌어요 6 | 철없는 미혼.. | 2014/12/19 | 6,528 |
447674 | 진단기 치료기 할 때의 '기'자의 한자는? 2 | 헷갈려요 | 2014/12/19 | 837 |
447673 | 인천 가족모임 장소 9 | 맛집 | 2014/12/19 | 2,417 |
447672 | 며느리들 시댁도움받으면서 시짜거리는거 웃기지않나요 38 | ㅎㅎ | 2014/12/19 | 6,191 |
447671 | 통진당 해산 반대하는 사람들의 특징 28 | 파밀리어 | 2014/12/19 | 2,254 |
447670 | 나랏빚 900조원..1년새 또 78조 늘었다 8 | 경사났네 | 2014/12/19 | 1,120 |
447669 | 오늘 너무 춥나요? 2 | ㅇ | 2014/12/19 | 1,075 |
447668 | 국제결혼과 선의 차이?.. 5 | QOL | 2014/12/19 | 1,759 |
447667 | 아플때 어떻게 하세요? | ㅇㅇ | 2014/12/19 | 639 |
447666 | 아래 '남동생 애는 왜 올케 애같죠?'글에 대한 제 생각은요 7 | ,,, | 2014/12/19 | 2,319 |
447665 | 공기관 일반직3급이면 직급이 뭔가요? 6 | 공기관 | 2014/12/19 | 1,301 |
447664 | 세덱 그릇장은? 5 | 심플 | 2014/12/19 | 5,357 |
447663 | 불사조같은과자.....허니피닉칩... 20 | 마성의과자 | 2014/12/19 | 3,339 |
447662 | 오늘이 멍박각하 생일이라네요 6 | ㅇㅇ | 2014/12/19 | 790 |
447661 | 김무성 ”이렇게 나쁜 정당 다시 있어선 안돼” 20 | 세우실 | 2014/12/19 | 1,553 |
447660 | 인간극장 좋아하시나요? 9 | 트린 | 2014/12/19 | 3,462 |
447659 | 여드름 흉터치료 전문 병원 1 | 엉엉 | 2014/12/19 | 3,138 |
447658 | 플라스틱을 가열했는데요... 환기시켜야 할까요? 3 | 으악 | 2014/12/19 | 682 |
447657 | 1년된 새댁인데 1년만에 7천 빚 갚았네요...후련해요. 46 | 새댁 | 2014/12/19 | 19,552 |
447656 | 택시요금 임의로 더할수있나요? 4 | 랄라라쏭 | 2014/12/19 | 805 |
447655 | 플래티나 사각팬 이제 생산안되나요? 3 | 계란 | 2014/12/19 | 1,254 |
447654 | 운전자보험이요 5 | ^^ | 2014/12/19 | 1,073 |
447653 | 이 코트 어디건지 아시는분 ~ 10 | 코트니 | 2014/12/19 | 2,879 |